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유아교사의 사회정의옹호와 아동권리 수행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유아교사의 사회정의옹호가 높을수록 아동권리옹호 수행도 높...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787156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 2021. 2
2021
한국어
372.21 판사항(22)
충청북도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Justice Advocacy and Child Rights Awareness on the Performance of Child Rights Advocacy
ix, ,102 p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김미애
참고문헌 : 72-83p
I804:43012-00000003908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유아교사의 사회정의옹호와 아동권리 수행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유아교사의 사회정의옹호가 높을수록 아동권리옹호 수행도 높...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유아교사의 사회정의옹호와 아동권리 수행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유아교사의 사회정의옹호가 높을수록 아동권리옹호 수행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정의옹호의 하위요인 중 ‘유아교육관련 정치·사회적 활동에 참여’, ‘유아교육관련 정치현안에 대한 관심과 논의’, ‘개인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정의에 대한 인지’, ‘유아교사로서 차별행위에 대한 대응과 책임감’과 아동권리옹호 수행의 하위요인인 ‘계층옹호’, ‘사례옹호’, ‘정책옹호’에서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유아교사의 사회정의옹호가 아동권리옹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사회정의옹호가 높은 유아교사일수록 아동권리옹호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정의옹호의 하위요인 중 ‘유아교사의 정치사회활동’과 ‘정치현안관심’이 아동권리옹호 수행의 하위요인 중 ‘계층옹호’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정의옹호의 하위요인 중 ‘유아교사의 정치사회활동’, ‘정치현안관심’, ‘사회정의인지’가 아동권리옹호 수행의 하위요인 중 ‘사례옹호’에 영향을 미쳤다. 사회정의옹호의 하위요인 중 ‘유아교사의 정치사회활동’ ‘정치현안관심’, ‘사회정의인지’가 아동권리옹호 수행의 하위요인 중 ‘정책옹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과 아동권리옹호 수행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이 높을수록 아동권리옹호 수행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의 하위요인인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과 아동권리옹호 수행의 하위요인인 ‘계층옹호’, ‘사례옹호’, ‘정책옹호’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이 아동권리옹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아동권리인식의 하위요인 중 ‘참여권’에 대한 인식이 높은 교사일수록 아동권리옹호 수행의 하위요인 중 ‘계층옹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권리 중 ‘발달권’에 대한 인식이 높은 교사일수록 아동권리옹호 수행의 하위요인 중 ‘사례옹호’와 ‘정책옹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옹호 수행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사회정의옹호와 아동권리인식 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유아교사의 사회정의옹호와 아동권리인식이 아동권리옹호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유아교사의 사회정의에 대한 지속적인 비판의식과 실천력, 아동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아동권리옹호 수행에 중요한 변인임을 밝혔다. 이는 유아교사의 사회정치적 이슈나 문제에 대한 옹호와 아동권리인식이 아동권리옹호 수행력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아동권리옹호자로서 유아교사의 역할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아동권리옹호 수행도를 높이기 위한 핵심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유아교사의 사회정의옹호와 아동권리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옹호 수행력을 향상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예비, 현장 교사의 교육 및 연수에 포함하여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