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이 연구는 골다공증과 관련된 요인 중 인구사회학적특성·식생활습관특성·건강생활습관특성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골다공증 예방을 향상시키기 위한 습관과 건강의 중요성을 검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792010
서울 :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2009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역학및보건정보학과 , 2009. 8
2009
한국어
골다공증 ; 저소득층 65세 이상 여성 ; 인구사회학적특성 ; 식생활습관특성 ; 건강생활습관특성
서울
iv, 33p. : 삽도 ; 26 cm.
단면인쇄임.
부록수록.
지도교수: 천병철
참고문헌 : p. 19-2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이 연구는 골다공증과 관련된 요인 중 인구사회학적특성·식생활습관특성·건강생활습관특성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골다공증 예방을 향상시키기 위한 습관과 건강의 중요성을 검증...
목적 : 이 연구는 골다공증과 관련된 요인 중 인구사회학적특성·식생활습관특성·건강생활습관특성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골다공증 예방을 향상시키기 위한 습관과 건강의 중요성을 검증하고, 예방과 보건정책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조사는 인천광역시 일개구 보건소 골밀도 실의 협조를 받아 2009년 3월부터 4월까지 내원한 저소득층 65세 이상 여성 206명을 편의적으로 표본추출하여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보건소를 방문한 환자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자가 기입식으로 설문조사에 응하도록 하였다. 골밀도는 이중에너지 X-ray 골밀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다변량 분석결과 골다공증과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70세 이상에서 소득수준이 낮고,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에 유의하게 나타나 단변량 분석에서 골다공증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던 월소득액과 주거소유형태는 골다공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습관특성은 기름진 음식을 많이 섭취할 경우에 유의한 관계를 성립하였으며, 건강생활습관특성에서는 마른 사람이 유의한 관계를 성립하였다.
결론 : 인구사회학적 특성·식생활습관특성·건강생활습관특성과 골밀도 연관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골다공증 예방 및 억제는 골밀도 수치와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This research verified the habits to improve osteoporosis prevention and tried to contribute to prevention of osteoporosis and the health policy by examining the relation among the properties of population sociology, eating habits, and he...
Objectives : This research verified the habits to improve osteoporosis prevention and tried to contribute to prevention of osteoporosis and the health policy by examining the relation among the properties of population sociology, eating habits, and healthy life style out of factors related to osteoporosis.
Methods : This research selected sample subjects, 206 women over 65 years old in the low income class among people who had visited bone mineral density examination room in one of the public health centers, City of In Cheon from March to April, 2009. We explain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o the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public health center and handed out questionnaires and made them fill out the form for themselves after obtaining their approval. Bone mineral density was measured by using double-energy X-ray bone mineral density examiner.
Results : It is proved that the factors of low income people over 70, lower educated ones in sociology of population have more specific relation with bone mineral density. Otherwise, monthly income and whether he is owner or tenant have little specific relation with bone mineral density. Moreover, more greasy food eater in view of eating habit and thinner people in view of healthy life-style have more specific relation with bone mineral density.
Conclusion : By examining the relation among the properties of population sociology, eating habits, and healthy life style out of factors related to osteoporosis, we could confirm that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osteoporosis is related to the numerical value of bone mineral density.
Key words : osteoporosis, women over 65 years old, the low income class, demographic factors, eating habits, healthy life styl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