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일학습병행 기업현장교사 선정의 적절성, 그리고 기업현장교사의 현장 훈련 실행과 학습근로자의 학습 전이의 관계에 대한 학습 전이 풍토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481953
2018
Korean
336.24
KCI등재
학술저널
59-87(29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일학습병행 기업현장교사 선정의 적절성, 그리고 기업현장교사의 현장 훈련 실행과 학습근로자의 학습 전이의 관계에 대한 학습 전이 풍토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
이 연구는 일학습병행 기업현장교사 선정의 적절성, 그리고 기업현장교사의 현장 훈련 실행과 학습근로자의 학습 전이의 관계에 대한 학습 전이 풍토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학습병행에 참여하는 기계·로봇, 전기·전자, 정보통신 분야의 기업현장교사와 학습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업현장교사에게는 기업현장교사 선정의 적절성과 현장 훈련 실행에 관한 것을, 학습근로자에게는 학습 전이와 학습 전이 풍토에 대해 질문하였다. 총 349쌍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학습병행 기업현장교사 선정의 적절성, 기업현장교사의 현장 훈련 실행 수준, 학습근로자의 학습 전이 및 학습 전이 풍토는 상호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현장교사의 현장 훈련 실행은 기업현장교사 선정의 적절성과 학습근로자의 학습 전이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 전이 풍토의 조절된 매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일학습병행 현장 훈련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several things. First, it examines the appropriateness of designating in-company trainers for a work-learning dual system. Next, it examines the moderated-mediating effect of learning transfer climate (LTC) on the in-company...
This study aims to examine several things. First, it examines the appropriateness of designating in-company trainers for a work-learning dual system. Next, it examines the moderated-mediating effect of learning transfer climate (LTC) on the in-company trainer's on-the-job training, and the correspondent work-learner's learning transfer (LT). Subjects were small and medium-sized Korean businesses in mechanical and robotics industries, electrical and electronic industri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sectors. Trainers were asked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their selection criteria, including consideration for various competencies and aspects of on-the-job training. Learners were asked about LT and LTC. A total of 349 data set points were collected from the trainers and learners and used for data analysis. Analyses found several things. First, appropriate trainer selection criteria, on-the job training performance levels, learner's LT and LTC a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a trainer's OJT performance fully mediates trainer selection criteria and the corresponding learner's LT.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TC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propose point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work-learning dual system OJT.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현, "해양경찰공무원의 학습전이풍토가 교육훈련의 전이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51) : 59-78, 2017
2 배을규, "학습전이 요인 및 수준의 조직간 비교연구: 기업, 학교, 병원을 대상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2 (12): 29-60, 2009
3 현영섭, "판매교육 학습전이와 전이풍토간의 관계" 한국교육학회 41 (41): 14-327, 2003
4 박한규, "체계적 현장직무교육훈련(S-OJT)실시 수준과 조직몰입및 직무몰입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의 조절효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 (14): 107-126, 2011
5 전은지, "중소기업의 체계적 현장직무교육훈련(S-OJT) 프로그램 특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소기업학회 33 (33): 177-199, 2011
6 이계정, "중소기업의 체계적 현장직무교육훈련 프로그램 구성요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279-229, 2012
7 김대영, "중소기업의 구조화된 현장 훈련(SOJT)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관계자 집단의 평가 요구 비교 분석: 논리 지향 평가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16 (16): 203-230, 2012
8 이찬, "중소기업 S-OJT 훈련생의 훈련전이와 관련 변인의 관계"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47-68, 2013
9 현영섭, "조직풍토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력개발학회 9 (9): 45-60, 2007
10 배을규, "조직의 학습전이풍토가 기술사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계속전문교육(CPD) 참여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학교육학회 16 (16): 11-23, 2013
1 이승현, "해양경찰공무원의 학습전이풍토가 교육훈련의 전이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51) : 59-78, 2017
2 배을규, "학습전이 요인 및 수준의 조직간 비교연구: 기업, 학교, 병원을 대상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2 (12): 29-60, 2009
3 현영섭, "판매교육 학습전이와 전이풍토간의 관계" 한국교육학회 41 (41): 14-327, 2003
4 박한규, "체계적 현장직무교육훈련(S-OJT)실시 수준과 조직몰입및 직무몰입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의 조절효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 (14): 107-126, 2011
5 전은지, "중소기업의 체계적 현장직무교육훈련(S-OJT) 프로그램 특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소기업학회 33 (33): 177-199, 2011
6 이계정, "중소기업의 체계적 현장직무교육훈련 프로그램 구성요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279-229, 2012
7 김대영, "중소기업의 구조화된 현장 훈련(SOJT)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관계자 집단의 평가 요구 비교 분석: 논리 지향 평가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16 (16): 203-230, 2012
8 이찬, "중소기업 S-OJT 훈련생의 훈련전이와 관련 변인의 관계"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47-68, 2013
9 현영섭, "조직풍토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력개발학회 9 (9): 45-60, 2007
10 배을규, "조직의 학습전이풍토가 기술사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계속전문교육(CPD) 참여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학교육학회 16 (16): 11-23, 2013
11 전승환, "일학습병행제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2017
12 정지인, "일학습병행제의 OJT 특성이 참여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기업규모의 조절효과" 한국생산성학회 31 (31): 251-277, 2017
13 전승환, "일학습병행제 참여자·이수자 및기업현장교사 실태조사" 2016
14 강경종, "일학습병행제 성과진단 및 성과관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15 강경종, "일학습병행제 OJT 운영 모델 및 학습도구 활용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16 전승환,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의 노동시장 적응실태 및 정착성과 분석" 2016
17 고용노동부, "일학습병행 운영 매뉴얼"
18 최은혜, "신입사원 S-OJT 프로그램 특성요인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학습전이풍토의 조절효과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9 배을규, "보험 설계사의 학습 전이 풍토, 학습 전이, 직무 성과의 관계: 긍정 심리 자본의 조절된 매개 효과" 한국성인교육학회 20 (20): 77-99, 2017
20 김대영, "다양한 평가 접근법을 활용한 일학습병행제 교육훈련평가 체제 설계: 입직단계 일학습병행제를 중심으로" 289-316, 2017
21 김대영, "기업현장교사 양성 및 관리 체계 구축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22 배을규, "기업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학습 방식, 학습 전이, 전이 풍토의 관계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10 (10): 23-46, 2008
23 신은경, "기업내 무형식학습의 구성요소, 결과, 학습전이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인력개발학회 14 (14): 25-59, 2012
24 공민영, "기업 e-Learning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자기주도성, 전이풍토, 학습과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223-246, 2008
25 조세형, "구조화된 현장훈련(Structured OJT)과 조직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13 (13): 1-19, 2011
26 김계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2007
27 이학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 0" 법문사 2009
28 Cho, D. Y., "Uuintended consequences among trainers delivering structured on the job training in a Korean organization" Ohio State University 2004
29 Tabachnick, B. G.,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Allyn & Bacon 2001
30 Broad, M. L, "Transfer of training: Action packed strategies to ensure high payoff from training investment" Addison-Wesley, Reading 1992
31 Walter, D., "Training on the job" ASTD 2002
32 Holton, E. F. Ⅲ, "Toward construct validation of a transfer climate instrument" 8 (8): 95-114, 1997
33 Rouiller, J. Z.,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ansfer climate and positive transfer of training" 4 (4): 377-390, 1993
34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35 Noe, R. A, "The influence of trainee attitudes on training effectiveness" 39 : 497-523, 1986
36 Snoek, M,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al transfer climate on the use of teacher leadership competences developed in a post-initial Master's program" 37 (37): 91-100, 2014
37 Choi, Y., "The hierarchical linear relationship among structured on-the-job training activities, trainee characteristics, trainer characteristics, train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of worker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18 (18): 499-520, 2015
38 Jacobs, R. L., "Structured on the job training: Unleashing employee experience in the workplace" Berrett-Koehler 2003
39 Anderson, J. 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A review and recommended tow-step approach" 103 (103): 411-423, 1988
40 Wick, W., "Six Disciplines of Breakthrough Learning: How to Turn Training and Development into Business Result" John Wiley & Sons International Right, Inc 2010
41 Nunnally, J.,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1978
42 Johnson, S. D., "Needs assessment for organizational success"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2001
43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Hall 2006
44 Hatala, J. P, "Making transfer climate visible: Utilizing social network analysis to facilitate the transfer of training" 6 (6): 33-63, 2007
45 박윤희, "Interventions to Facilitate Transfer of Learning: Based on Stakeholders' Roles and Time Frames" 한국성인교육학회 14 (14): 151-185, 2011
46 Lim, D. H., "Influence of trainee characteristics, instructional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limate on perceived learning and training transfer" 17 (17): 85-115, 2006
47 Eddy, E. R., "Improving learning transfer in organizations" Jossey-Bass 2003
48 Holton, E. F. Ⅲ, "Holton's evaluation model: new evidence and construct elaboration" 7 (7): 37-54, 2005
49 Golsdtein, I. L.,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992
50 진수현, "HRD 기업 구성원의 무형식학습 활동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학습전이풍토의 조절효과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51 Filipczak, B, "Frick teachers frack" 30 (30): 30-36, 1993
52 Yamnil, S., "Factors affecting transfer of training in Thailand" 16 (16): 323-348, 2005
53 이일현, "EasyFlow 회귀분석" 한나래 2014
54 Holton, E. F. Ⅲ, "Developing generalized learning transfer system inventory" 11 (11): 333-360, 2000
55 Huang, W. R, "Comparison of the influences of structured on-the-job training and classroom training approaches on trainees’motivation to learn" 19 (19): 116-134, 2016
56 Podsakoff, P. M.,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88 (88): 879-903, 2003
57 Jacobs, R. L., "Case studies in workplace training and learning: Across-cultural perspective" Pearson Prentice Hall 2005
58 Preacher, K., "Ass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42 (42): 185-227, 2007
59 Hayes, A. F., "An index and test of linear moderated mediation" 50 : 1-22, 2015
60 Cromwell, S., "An examination of work-environment support factors affecting transfer of supervisory skills training to the workplace" 15 (15): 449-471, 2004
61 Cole, M. S., "Affective mechanisms linking dyfunctional behavior to performance in work teams: A moderated mediation study" 93 (93): 945-958, 2008
62 Arbuckle, J. L., "AMOS(Version 7. 0)" SPSS 2006
63 Ahadi, S,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tructured Onthe-Job Training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16 (16): 323-349, 2017
고용구조 변화와 노동시장 이중구조화: 유럽근로조건조사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2005~15
대졸자의 첫 일자리 학력 및 스킬 미스매치와 개인 특성, 취업준비 특성, 첫 일자리 특성 및 첫 일자리 성과의 관계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의 고용가능성과 직업가치관, 취업준비행동 및 NCS기반 교육과정과의 인과적 관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10-1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 직업능력개발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5-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직업능력개발연구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직업능력개발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1 | 0.81 | 0.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3 | 1.38 | 1.218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