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술가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사례 연구 -미술 영재교육을 받은 예술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Artist's Identity -Focused on the Cases of Artists with Art Gifted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221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dentity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selecting a career and recognizing a job for a gifted and accomplished gifted artist who received gifted art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an artist's identity formation through the story of an artist. Informant in the study, who regarded herself as professional artist and had firm identity as artist, decided on art-related career paths based on her artistic family environments, art teachers’ recommendations, and her own interests and went on to art college while attending academy and secondary school, an institution of gifted art education. Afterwards, she became specialized as artist by internalizing and exchanging her values and norms within the artist group . The background of artist's identity was an artistic family environment, support from artist's family, “discovery of artistic talent,” “a long-term arts education and basic skills,” “exposure to artistic environment,” “meaningful aesthetic experience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and “artistic competency,” which has increased through recognition from herself and “the meaningful other.” Artists grow into their roles by interacting with these various social factors. In addition, she mentioned, “art that became life, art that expanded the horizon of meaning of life” as an effort to establish an artist’s identity. As an artist, she “matches art with life” and engages in “embodied creative activities.” In addition, she seeks to breaktheframeofthinkingincreation and builds her own identity through creative activities in pursuit of a long-held hope despite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번역하기

      Identity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selecting a career and recognizing a job for a gifted and accomplished gifted artist who received gifted art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an artist's identity formation through the story of an a...

      Identity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selecting a career and recognizing a job for a gifted and accomplished gifted artist who received gifted art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an artist's identity formation through the story of an artist. Informant in the study, who regarded herself as professional artist and had firm identity as artist, decided on art-related career paths based on her artistic family environments, art teachers’ recommendations, and her own interests and went on to art college while attending academy and secondary school, an institution of gifted art education. Afterwards, she became specialized as artist by internalizing and exchanging her values and norms within the artist group . The background of artist's identity was an artistic family environment, support from artist's family, “discovery of artistic talent,” “a long-term arts education and basic skills,” “exposure to artistic environment,” “meaningful aesthetic experience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and “artistic competency,” which has increased through recognition from herself and “the meaningful other.” Artists grow into their roles by interacting with these various social factors. In addition, she mentioned, “art that became life, art that expanded the horizon of meaning of life” as an effort to establish an artist’s identity. As an artist, she “matches art with life” and engages in “embodied creative activities.” In addition, she seeks to breaktheframeofthinkingincreation and builds her own identity through creative activities in pursuit of a long-held hope despite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 영재교육을 받은 예술가가 자신의 직업을 선택하고 직업을 인식하는데 있어 정체성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가설에서 착수되었다. 질적 연구 방법을 이용한 본 연구는 한 예술가의 심층 면담을 통해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정보 제공자는 예술적인 가정환경, 미술 교사의 권유, 그리고 자신의 흥미로 미술관련 진로를 결정하고 학원과 예술영재교육기관인 중고등학교를 다니면서 미술대학에 진학했다. 이후, 예술가 집단 안에서 그들의 가치와 규범을 내면화하고 교류하면서 예술가로서 전문성을 갖추게 되었다. 정보 제공자는 자신을 전문 예술가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예술가라는 정체성을 확고하게 가지고 있었다. 그가 이런 정체성을 가지게 된 배경에는 예술적인 가정 환경과 가족의 지지가 있었으며, 기대지평 이론이 포괄하는 “예술적 재능의 발견,” “장기적인 예술교육과 기본기가 된 전공 스킬,” “예술적인 환경에 노출,” “의미 있는 미적 경험과 교육적 경험,” “예술적으로 실력이 있음”을 자기 스스로 그리고 “의미 있는 타자”로부터 인정을 받으면서 구축해온 것이다. 예술가는 이러한 다양한 사회적 요인들과 상호작용하며 예술가로 성장했다. 또한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으로 “삶이 된 예술, 삶의 의미지평을 넓힌 예술”에 대해 언급하였다. 예술가라는 직업으로서 “예술을 삶과 일치”시키며, “체화된 창작활동”을 하고 있었다. 또한 창작에 있어 사고의 틀을 깨기 위한 노력을 하였으며,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안에서도 “진정성 있는 긴 호흡의 창작활동”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구축하고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미술 영재교육을 받은 예술가가 자신의 직업을 선택하고 직업을 인식하는데 있어 정체성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가설에서 착수되었다. 질적 연구 방법을 이용한 본 연구는 ...

      본 연구는 미술 영재교육을 받은 예술가가 자신의 직업을 선택하고 직업을 인식하는데 있어 정체성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가설에서 착수되었다. 질적 연구 방법을 이용한 본 연구는 한 예술가의 심층 면담을 통해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정보 제공자는 예술적인 가정환경, 미술 교사의 권유, 그리고 자신의 흥미로 미술관련 진로를 결정하고 학원과 예술영재교육기관인 중고등학교를 다니면서 미술대학에 진학했다. 이후, 예술가 집단 안에서 그들의 가치와 규범을 내면화하고 교류하면서 예술가로서 전문성을 갖추게 되었다. 정보 제공자는 자신을 전문 예술가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예술가라는 정체성을 확고하게 가지고 있었다. 그가 이런 정체성을 가지게 된 배경에는 예술적인 가정 환경과 가족의 지지가 있었으며, 기대지평 이론이 포괄하는 “예술적 재능의 발견,” “장기적인 예술교육과 기본기가 된 전공 스킬,” “예술적인 환경에 노출,” “의미 있는 미적 경험과 교육적 경험,” “예술적으로 실력이 있음”을 자기 스스로 그리고 “의미 있는 타자”로부터 인정을 받으면서 구축해온 것이다. 예술가는 이러한 다양한 사회적 요인들과 상호작용하며 예술가로 성장했다. 또한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으로 “삶이 된 예술, 삶의 의미지평을 넓힌 예술”에 대해 언급하였다. 예술가라는 직업으로서 “예술을 삶과 일치”시키며, “체화된 창작활동”을 하고 있었다. 또한 창작에 있어 사고의 틀을 깨기 위한 노력을 하였으며,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안에서도 “진정성 있는 긴 호흡의 창작활동”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구축하고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정, "한국 청소년들의 ‘학생으로서의 정체성’ 수용과정 또래관계를 비롯한 ‘의미 있는 타자’들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3 (43): 85-129, 2009

      2 김희경,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수용자의 기대지평에 따른 텍스트 해석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48 (48): 166-195, 2004

      3 류태호, "체육교사 임용준비생의 생활과 정체성 : 노량진 학원생을 중심으로" 7 (7): 111-123, 2000

      4 유홍준, "직업사회학" 경문사 2000

      5 Dewey, J., "존 듀이: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2003

      6 이정은, "오케스트라 연주자의 직업사회학적 분석 : 서울. 경기 지역 오케스트라의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을 중심으로" 13 : 301-355, 2001

      7 현택수, "예술과 문화의 사회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

      8 정필주, "예술가의 정체성 갈등과 대응전략 - 낙인화, 저항 그리고 미분화된 가상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 이화사회과학원 19 : 195-227, 2008

      9 김미사, "예술가 지망생들의 직업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10 이현재, "여성주의적 정체성과 인정이론 ― 헤겔 변증법의 여성주의적 재구성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6 (16): 63-84, 2005

      1 김은정, "한국 청소년들의 ‘학생으로서의 정체성’ 수용과정 또래관계를 비롯한 ‘의미 있는 타자’들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3 (43): 85-129, 2009

      2 김희경,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수용자의 기대지평에 따른 텍스트 해석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48 (48): 166-195, 2004

      3 류태호, "체육교사 임용준비생의 생활과 정체성 : 노량진 학원생을 중심으로" 7 (7): 111-123, 2000

      4 유홍준, "직업사회학" 경문사 2000

      5 Dewey, J., "존 듀이: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2003

      6 이정은, "오케스트라 연주자의 직업사회학적 분석 : 서울. 경기 지역 오케스트라의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을 중심으로" 13 : 301-355, 2001

      7 현택수, "예술과 문화의 사회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

      8 정필주, "예술가의 정체성 갈등과 대응전략 - 낙인화, 저항 그리고 미분화된 가상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 이화사회과학원 19 : 195-227, 2008

      9 김미사, "예술가 지망생들의 직업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10 이현재, "여성주의적 정체성과 인정이론 ― 헤겔 변증법의 여성주의적 재구성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6 (16): 63-84, 2005

      11 박찬기, "수용미학" 고려원 1992

      12 차봉희, "수용미학" 문학과 지성사 1985

      13 이경재, "미술교사의 정체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동국대학교 2017

      14 전신현, "미드의 사회심리학" 일신사 1994

      15 양종회, "문화예술사회학" 그린 2005

      16 박찬기, "동서독 괴테수용 비교와 문학관의 변화과정 연구" 17 : 9-38, 1992

      17 이강진, "‘직업 예술인’의 정체성 - 복수의 직업 정체성을 지닌 예술가와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 한국영상학회 13 (13): 181-195, 2015

      18 Getzels, J. W., "The personality of young artists : an empirical and theoretical exploration" 64 (64): 91-104, 1973

      19 Heiburn, J., "The economics of art and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20 Barnett, J. H., "The Sociology of art and literature" Praeger Publishers 47-48, 1976

      21 Feldhusen, J. F., "Talent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in education(TIDE)" 10 (10): 10-15, 1994

      22 Adams, M. C., "Professional self-identification among art students" 21 (21): 31-39, 1980

      23 Erikson, E. H., "Identity and the life cycle : Selected papers : Psychological issues"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Inc 1959

      24 Dewey, J., "Experience and nature" Dover Publications 1929

      25 Becker, H., "Art world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2

      26 Bayles, D., "Art & fear : Observations on the perils(and rewards)of art making" Image Continuum Press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5 0.897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