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곡 거문고 반주의 선율비교 연구 : 우조와 계면조의 동명곡(同名曲)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Melody of a Gagok on the Geomungo : Centering on the Ujo and Gyemyeongjo of the Same Title Gag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035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곡은 가사· 시조와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성악곡으로, 그 역사가 가장 길뿐 아니라 다른 성악곡과는 달리 남‧ 여의 노래로 구분하는 특성을 갖는다. 선율을 구성하는 선법에 따라 남...

      가곡은 가사· 시조와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성악곡으로, 그 역사가 가장 길뿐 아니라 다른 성악곡과는 달리 남‧ 여의 노래로 구분하는 특성을 갖는다. 선율을 구성하는 선법에 따라 남창의 우조와 계면조,여창의 우조와 계면조로 구분한다. 남창가곡에는 우조 11곡과 계면조13곡 그리고 반우반계 2곡이 있으며, 여창가곡은 우조 5곡과 계면조8곡 그리고 반우반계 2곡이 있다. 여창가곡의 곡수는 남창가곡의 절반 정도인데, 여창가곡은 남창가곡을 여자가 부를 수 있도록 조금 변형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가곡의 종류를 잘 살펴보면, 우조와 계면조로 조(調)를 달리하면서 곡 이름이 같은 동명곡(同名曲)들이 있는데, 그것은 초수대엽· 이수대엽· 중거· 평거· 두거· 삼수대엽· 소용으로 모두 7곡이다.
      가곡의 동명곡에 대한 연구는 2003년부터 서한범에 의해 상당부분이루어진 바가 있다. 서한범은 ‘초수대엽’과 ‘이수대엽’ 그리고 ‘삼수대엽’의 우조· 계면조 가곡 선율 비교를 통해 이 세 곡이 서로 변조 관계에 있음을 밝혔다. 즉, 우조 초수대엽의 기음(基音)인 황종(黃-E♭)은계면 초수대엽의 황종(黃-E♭)으로, 우조의 제2음인 태주(太-F)는 계면의 제2음 중려(仲-A♭)로 변화하였고, 우조의 제3음인 중려(仲-A♭)는 계면의 제3음 임종(林-B♭)으로, 우조의 제4음인 임종(林-B♭)은 계면의 제3음 임종(林-B♭)과 기음인 황종(黃-E♭)으로, 우조의 제5음 남려(南-C)는 계면의 기음인 황종(黃-E♭)으로 변화한 것을 밝힌 것이다.
      가곡의 선율을 비교한 연구 외에 가곡의 우조와 계면조 반주 선율을 비교한 연구로는 신화정의 연구가 있는데 그는 가곡 초수대엽의 우조·계면조 가야금 반주 선율을 비교하여, 5음 음계인 우조 초수대엽이 3음 음계인 계면 초수대엽으로 변조되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와 같이 가곡의 우조· 계면조 동명곡에 대해, 각각 선율비교와 반주 선율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우조곡이 변조되어 계면조곡이 만들어졌다는 결론을 내놓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시작된 본 연구는, 가곡 동명곡의 거문고 반주선율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즉 가곡 초수대엽· 이수대엽· 중거· 평거· 두거· 삼수대엽· 소용의 우조· 계면조 14곡의 거문고 반주선율은 각각 어떤 관계를 지니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것이다.
      우조· 계면조 각 7곡의 동명곡을 비교· 분석한 결과 우조와 계면조의 음의 변화 양상은 다음과 같았다. 우조의 기음인 황종(E♭)은 계면의 기음인 황종(E♭)으로, 제2음인 태주(F)는 계면의 제2음인 중려(A♭)로, 제3음인 중려(A♭)가 계면의 제3음인 임종(B♭)으로, 제4음인 임종(B♭)이 계면의 제3음인 임종(B♭)과 기음인 황종(E♭)으로, 제5음인 南(C)은 계면의 기음인 황종(E♭)으로 변화한 비율이 가장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물론 각 곡들에서의 비율은 조금씩 다르지만, 가곡 동명곡(초수대엽· 이수대엽· 중거· 평거· 두거· 삼수대엽· 소용)의 우조와계면조 거문고 반주의 관계는 가곡 동명곡의 선율처럼, 5음 음계인 우조곡이 3음 음계인 계면곡으로 변조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첫째는 가곡의 우조· 계면조 동명곡 14곡을 모두 연구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 그 비율에 차이는 있었지만, 각 7곡 모두 우조에서 계면조로 음이 이동할 때 일정 정도의 규칙을 갖고 있으며, 이는선행연구들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밝힐 수 있었다.
      둘째는 비교대상이 되는 음의 폭을 넓혔다는 것이다. 이는 한 박 안에서 제일 긴 음만을 비교대상으로 삼은 선행연구와 달리, 한 박 안에싯가 1/3이상 차지하는 음이나, 추성· 퇴성으로 발생하는 음들을 가치있는 음으로 인식한 것을 말한다. 이렇게 비교대상이 되는 음을 확대하였을 때, 우조에서 계면조로의 규칙적인 음 이동이라고 볼 수 있는비율들이 전체적으로 조금씩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typical Korean vocal music,like gasa and sijo,gagok(asong) has the longest history and is classified by gender.In accord with the mode of musical scale, gagok is classified into the ujo and gyemyeonjo of a male's singing and of a female's singing...

      As a typical Korean vocal music,like gasa and sijo,gagok(asong) has the longest history and is classified by gender.In accord with the mode of musical scale, gagok is classified into the ujo and gyemyeonjo of a male's singing and of a female's singing respectively.As fora male's singing,there are 11 ujo songs,13 gyemyeonjo songs,and 2 half-ujo and half-gyemyeonjo songs. As for a female's singing,there are 5ujo songs, 8 gyemyeonjo songs, and 2 half-ujo and half-gyemyeonjo songs. The number of female's singing gagoks is about a half of female's singing ones.It seems that a female's singing gagok is a little transformation of a male's singing gagok. There are some gagoks of which title is the same but jo(mode)is different―ujo or gyemyeonjo.They are all seven―chosudaeyeop, isudaeyeop, junggeo, pyeonggeo,dugeo,samsudaeyeop,andsoyong.
      Studies on the same-title-different-jo gagok has been considerably carried out by Seo Han-beom since 2003.By comparing the melodies of gagok between ujo and gyemyeonjo,Seo Han-beom has clarified that chosudaeyeop,isudaeyeop, and samsudaeyeop are in the relationship of variation.In other words, the basic sound hwanjong (黃-E♭) of ujo chosudaeyeop hasc hanged into the hwanjong (黃-E♭) of gyemyeonjo chosudaeyeop;the second sound taeju (太-F)of ujo into the second sound jungryeo (仲-A♭) of gyemyeonjo; the third sound jungryeo(仲-A♭) of ujo into the third sound imjong (林-B♭)ofgyemyeonjo;thefourth sound imjong (林-B♭)of ujo into the third sound imjong (林-B♭) and basic sound hwanjong (黃-E♭)ofgyemyeonjo;and the third sound jungryeo (仲-A♭)ofujo into the third sound imjong (林-B♭) of gyemyeonjo;and the fifth sound namryeo (南-C) of ujo into the basic sound hwanjong (黃-E♭) of gyemyeonjo.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arative studies on the melody of gagok, Sin Hwa-jeong carried out a comparative study on the ujo and gyemyeonjo melodies with accompaniment.He compared the ujo and gyemyeonjo melodies of chosudaeyeop on the gayageum, and concluded that the ujo chosudaeyeop of five musical scales was modulated into the gyemyeonjo chosudaeyeop of three musical scales.
      Thus, preceding studies on the melodies of ujo and gyemyeonjo of the same title gagok concluded that a ujo gagok was modulated into a gyemyeonjo gagok, regardless of accompaniment.
      Started on thebasisofthesepreceding studies,the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lodies ofthe same title gagok on the geomungo.In other words,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lodies of 7 respective ujo and gyemyeonjo (schosudaeyeop, isudaeyeop, junggeo,pyeonggeo, dugeo, samsudaeyeop, soyong) gagoks on the geomungo.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As for the changing modality ofsound between ujo and gyemyeonjo in general,the basic sound hwangjong (E♭)of ujo changes into the basic sound hwangjong (E♭) of gyemyeonjo; the second sound taeju(F) of ujo into the second sound jungryeo (A♭) of gyemyeonjo; the third sound jungryeo (A♭)ofujo into the third sound imjong (B♭)of gyemyeonjo;the fourth sound imjong (B♭)ofujo into the third sound imjong (B♭)and basicsound hwangjong (E♭)of gyemyeonjo; and the fifth sound nam (C) of ujo into the basic sound hwangjong (E♭)of gyemyeonjo.Though the rate of change is somewhat different by gagoks, the relationship between ujo and gyemyeonjo of the same title gagoks (schosudaeyeop, isudaeyeop, junggeo, pyeonggeo, dugeo,samsudaeyeop,andsoyong) on the geomungo seems to be like the melodies of the same title gagok―the ujo gagok of five musicalscales is modulated into the gyemyeonjo gagok of three musical scales.
      This study is meaningfulin two points.First,allthe 14 same title gagoks of ujo and gyemyeonjo are included in this study. Although the rate of changes is somewhat different,all the seven respective gagoks have a certain rule in changing from ujo to gyemyeonjo,and this finding is similar to the findings of preceding studies by and large. Second, the comparative study subjects'sound width is enlarged.Different from preceding studies of which comparative subject was only the longest sound within a beat,the investigator regarded such a sound that occupies more than a third of the length of a musical note or rest, or is generated as chuseong or toeseong,as a valuable sound in this study.Thus,if the width ofcomparative study subjects'sound is enlarged,the rate of regular sound movement from ujo to gyemyeonjo seemingly increases on the who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목차
      • <표목차>
      • I. 머리말 = 1
      • 1. 연구목적 = 1
      • (국문초록)
      • 목차
      • <표목차>
      • I. 머리말 = 1
      • 1. 연구목적 = 1
      • 2. 연구범위와 방법 = 3
      • II. 가곡 동명곡의 거문고 반주선율 비교 = 5
      • 1. 초수대엽 = 6
      • 2. 이수대엽 = 12
      • 3. 중거 = 18
      • 4. 평거 = 24
      • 5. 두거 = 30
      • 6. 삼수대엽 = 37
      • 7. 소용 = 44
      • III. 결론 = 55
      • <참고문헌> = 58
      • (ABSTRACT) = 6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