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교육을 활동중심으로 구현할 수 있는 웹기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래피드프로토타이핑에 의하여 웹 인터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027752
2015
Korean
370.714
KCI등재
학술저널
345-360(16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교육을 활동중심으로 구현할 수 있는 웹기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래피드프로토타이핑에 의하여 웹 인터페...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교육을 활동중심으로 구현할 수 있는 웹기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래피드프로토타이핑에 의하여 웹 인터페이스 초안을 설계하고 이를 전문 가에게 검토 받아 설계안을 확정하도록 하였다. 전체적인 설계방향은 첫째, 진로교육의 활동 순서는 체계적 액 션러닝의 순서에 준하여 실행한다. 둘째, 학습의 순환이 발생할 수 있도록 선순환 구조로 설계한다. 두 가지 큰 설계 방향에 따라 구안된 인터페이스는 학습환경 플랫폼 위에 자기이해, 타인이 보는 나 찾기, 직업세계 알기, 진로결정하기, 진로실행 계획하기, 활동설계하기, 개인, 공동 평가 및 성찰하기 등의 단계가 상호작용성이 강한 위키 및 웹 2.0의 설계 방식에 따라 구현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대학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 경험 중심의 진로교육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웹을 기반으로 하여 진로 교육에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mplement Activity-Orientated Career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using the web-based interface. A draft web interface was designed by Rapid Prototyping and was thereafter taken to experts to review and determine the desi...
This study was designed to implement Activity-Orientated Career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using the web-based interface. A draft web interface was designed by Rapid Prototyping and was thereafter taken to experts to review and determine the desig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ly, the sequence of activities of career education was run in accordance with the systematic order of Action Learn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overall design direction. Secondly, the design of the study may result in virtuous cycle-to-cycle. According to two major design directions, on the learning environment platform, the interface consisted of, knowing who I am; knowing who others think I am, knowing the job world; career decisions; career action plans; action planning; individual and co-evaluation; reflection; etc. These steps were designed to b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strong interactivity of Wiki and Web 2.0 designs. This study was able to implement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centered around the activities of students at university, as well as experts, in order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Career Based Education on the web.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연,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3 (13): 22-46, 2013
2 이제경, "한국 대학생 직업목표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1 (11): 1137-1160, 2010
3 허경섭, "학습자의 활동중심의 내재적 가치 탐색" 한국교육철학학회 50 (50): 235-256, 2010
4 강인애, "학습성찰도구로서 e-포트폴리오 활성화를 위한 연구: 경희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1 (11): 495-506, 2011
5 손영민, "커리어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대학 저학년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안암교육학회 20 (20): 227-250, 2014
6 홍광표, "커리어앵커를 활용한 다문화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촉진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2 (32): 1-28, 2014
7 최애경, "커리어 e-포트폴리오(Career e-portfolio)의 비서학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비서학회 14 (14): 105-123, 2005
8 신혜숙,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및 취업성과에 대한 ‘대학취업지원기능 확충사업’의 효과 분석" 교육연구소 15 (15): 201-223, 2014
9 김정랑, "초등학생 진로의식성숙을 위한 커리어 e-포트폴리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교육학회 16 (16): 143-150, 2012
10 홍광표,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사회과 블렌디드 액션러닝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451-466, 2014
1 김동연,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3 (13): 22-46, 2013
2 이제경, "한국 대학생 직업목표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1 (11): 1137-1160, 2010
3 허경섭, "학습자의 활동중심의 내재적 가치 탐색" 한국교육철학학회 50 (50): 235-256, 2010
4 강인애, "학습성찰도구로서 e-포트폴리오 활성화를 위한 연구: 경희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1 (11): 495-506, 2011
5 손영민, "커리어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대학 저학년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안암교육학회 20 (20): 227-250, 2014
6 홍광표, "커리어앵커를 활용한 다문화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촉진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2 (32): 1-28, 2014
7 최애경, "커리어 e-포트폴리오(Career e-portfolio)의 비서학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비서학회 14 (14): 105-123, 2005
8 신혜숙,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및 취업성과에 대한 ‘대학취업지원기능 확충사업’의 효과 분석" 교육연구소 15 (15): 201-223, 2014
9 김정랑, "초등학생 진로의식성숙을 위한 커리어 e-포트폴리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교육학회 16 (16): 143-150, 2012
10 홍광표,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사회과 블렌디드 액션러닝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451-466, 2014
11 신소영, "진로결정과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습성과 인식의 관계 구조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167-185, 2014
12 최윤정, "중·고등학생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 및 진로교육 경험과 자기주도 학습태도와의 관계: 다수준 분석의 적용" 교육연구소 13 (13): 81-106, 2012
13 홍광표, "융합인재교육(STEAM)이 초등학생 고학년의 과학적 태도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3 (33): 77-99, 2015
14 김재경, "웹기반 자기주도성 e-포트폴리오가 영어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5 (15): 115-134, 2012
15 송은주, "웹기반 멘토링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고등부 특수학급 학생들의 진로계획 능력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91-114, 2011
16 최경애, "웹기반 교육체제의 질 관리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19 (19): 149-177, 2003
17 이윤우, "여자대학생의 진로탐색 활동을 위한 직업카드 개발" 한국여성심리학회 16 (16): 135-157, 2011
18 이원주,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경력관리시스템 구축"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6 (16): 145-154, 2011
19 신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이 협력 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8 (18): 241-254, 2013
20 방선희, "사이버 대학에서의 커리어 e-포트폴리오 (Career e-Portfolio) 활용을 위한 인식 조사 연구" 원격교육연구소 6 (6): 103-125, 2010
21 장경원, "대학에서의 액션러닝을 위한 과제 선정 과정 연구"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8 (8): 73-96, 2013
22 김경화, "대학생의 진로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9 (19): 359-379, 2012
23 박동열, "대학생의 직업의식에 관한 실태" 한국직업교육학회 25 (25): 1-32, 2006
24 박동진, "대학생 학습역량강화를 위한 e-포트폴리오프레임워크 기반 K-folio 구축 사례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 (17): 87-95, 2014
25 민춘기, "대학생 진로교육 개선을 위한 해외의 정책과 운영 사례 비교" 한국비교교육학회 23 (23): 31-58, 2013
26 최애경, "대학생 경력개발을 위한 e-포트폴리오 시스템구축과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13 : 169-192, 2006
27 민항기,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웹기반 진로안내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교육학회 11 (11): 349-358, 2007
28 Relan, A., "Web-based instruction" Educational Technology 41-46, 1997
29 Stake, R., "The art of case research" Sage 1995
30 Kim, S. W., "The Research Methodology" Hakjisa 2007
31 Nam, E. J., "The Effects of Activity-Oriented Career Guidance Program on Self-Esteem and Career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8 (8): 21-44, 2008
32 Lee, Y. G., "The Career Educa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Donghwa Technology 2009
33 Rothwell, W., "The Action Learning Guidebook : A Real-Time Strategy For Problem Solving, Training Design, And Employee Development" Jossey-Bass Pfeiffer 1999
34 Park, S. H., "Systematic Action Learning" Hakjisa 2010
35 Park, K. M., "Study on Overseas Experiential Learning Model based on Career Education Utilizing Action Learning" 7 (7): 81-101, 2014
36 Oh, I. K., "Roles and Process of Coaching as a Constructivism Teaching-Learning Strategy:Case Study" 5 (5): 5-25, 2003
37 Luo, Q., "Research on Physical Education Students’ Career Anchors Types in Hubei Province" 6 (6): 382-386, 2011
38 Park, S. H., "Problem based Learning and Action Learning" Hakjisa 2014
39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1985
40 Dorsey, L. T., "Instructional development paradigms"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445-465, 1997
41 Holst, O. R.,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Reading" Addison-Wesley 1969
42 Spencer, L. M., "Competence at work :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John Wiley & Sons 1993
43 Yin, R. K., "Case study research : Design and methods(2nd ed. )" Sage 1994
44 Lee, J. Y., "Career Guidance at Higher Education Level in Kore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81-90, 2001
45 Yin, R. K., "Applications of case study research" Sage 1993
46 Kim, S. B., "A study on career guidance system in higher educat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58-59, 2012
47 Lee, D. Y., "A Study on the Career Consciousness and the Recognition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s in Local National University" 1 (1): 41-68, 2011
Computational Thinking의 개념을 활용한 정보영재 판별도구의 개발
초등학생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 | 1.5 | 1.4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1 | 1.25 | 1.991 | 0.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