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 하대의 경제적 양극화와 재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7468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신라 하대의 재해발생과 국가적 대응양상을 통해 야기된 民들의 동향과 경제적 양극화 그리고 이 시기의 災害와 신라의 멸망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신라 하대...

      본 논문에서는 신라 하대의 재해발생과 국가적 대응양상을 통해 야기된 民들의 동향과 경제적 양극화 그리고 이 시기의 災害와 신라의 멸망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신라 하대에는 재해로 인한 피해가 중대시기 보다 크게 나타났다. 특히 飢饉이 많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이 시기에 민들의 피해가 컸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하지만 신라 중대와 달리 이 시기에는 민들의 피해에 대한 국가권력 차원의 적극적인 노력이 강구되지 못하였다. 이에 신라 하대에는 민들의 경제적 상황이 악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民들 중에는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盜賊이나 海賊으로 변하기도 하였고, 자신의 근거지에서 생활을 영위하고 있던 민들은 도적이나 해적들의 활동으로 재산을 약탈당하면서 경제적 기반은 중대보다 약화될 수 밖에 없었다.
      신라 하대에는 정치・사회적 혼란으로 호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호족의 대두가 본격화 된 것은 진성여왕 3년(889)의 농민반란부터였다. 호족의 대두로 인해 후삼국 시대가 전개되었으며, 이후 신라는 고려에 귀부함으로써 멸망하였다.
      이와 같이 신라의 멸망의 주요한 계기로 작용한 진성여왕 3년의 농민반란은 조세수취의 모순 뿐만 아니라 재해 발생과 국가의 미온적인 대응과도 관련된다. 原新羅지역인 沙伐州에서 시작된 농민 반란이 전국적으로 확산 된 것이다. 이러한 까닭에 지방사회에서는 호족들이 독자적으로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는 모습도 나타났는데, 이 과정에서 지방사회의 독자성은 강화되어 갔다. 이러한 점에서 지방사회의 독자성 강화, 즉 호족들의 활발한 활동과 이후의 이들에 의한 신라 멸망은 재해발생과 이에 대한 국가적 대응 양상과도 어느 정도 관련 있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the movements of the people and economic polarization caused by the occurrence of disasters and national responses in the later period of Silla,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disasters in this period and the fall of Silla. In t...

      This paper examined the movements of the people and economic polarization caused by the occurrence of disasters and national responses in the later period of Silla,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disasters in this period and the fall of Silla.
      In the later period of Silla, the damage caused by disasters was greater than in the mid period. In particular, there occurred more famine, which shows that the people suffered a great deal during this period. However, unlike the mid period of Silla, the state didn’t make active efforts to deal with the damage incurred by the people during this period. As a result,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people worsened in the later period of Silla.
      Under these circumstances, some of the people turned into bandits or pirates to overcome economic difficulties, and the people who maintained their livelihood at their base were looted by activities of bandits and pirates, leading to the worsening of their economic foundation.
      In the later period of Silla, powerful local clans emerged due to political and social turmoil. It was during the peasant revolt in the 3rd year of Queen Jinseong"s reign (889) that the rise of such powerful local clans began in earnest. The rise of powerful local clans brought the era of Later Three Kingdoms and Silla collapsed later by turning to Goryeo.
      As such, the peasant revolt in the 3rd year of Queen Jinseong"s reign, which served as a major reason for the collapse of Silla, is related not only to the contradiction of tax collection but also to the lukewarm response of the state to the occurrence of disasters. The peasant revolt, which began in Sabeolju, the original province of Silla, spread across the country. For this reason, in some local communities, powerful local clans overcame this situation independently, and in this process, the independence of local communities strengthened. In this regard, the strengthening of the independence of local communities, namely the active activities of powerful local clans and the subsequent collapse of Silla by them, are somewhat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disasters and the national response to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재해피해와 국가적 대응양상
      • Ⅲ. 민들의 경제적 기반 약화와 재해
      • Ⅳ. 신라의 멸망과 재해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재해피해와 국가적 대응양상
      • Ⅲ. 민들의 경제적 기반 약화와 재해
      • Ⅳ. 신라의 멸망과 재해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동, "한국사회사연구" 일조각 1997

      2 김철준, "한국고대사회연구" 지식산업사 1975

      3 전덕재, "한국고대사회경제사" 태학사 2006

      4 김창석, "통일신라기 전장에 관한 연구" 25 : 1991

      5 황상일, "자연재해와 인위적 환경변화가 통일신라 붕괴에 미친 영향"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580-599, 2013

      6 김창겸, "이수건교수정년기념한국중세사논총" 이수건교수 정년기념 한국중세사논총간행위원회 2000

      7 권영오, "신라하대 정치사 연구" 혜안 2011

      8 김두진,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 일조각 2007

      9 권덕영, "신라하대 서남해 해적과 장보고의 해상활동" 1 : 2002

      10 한준수, "신라하대 軍鎭세력의 대두와 율령질서의 이완"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 : 109-144, 2015

      1 이기동, "한국사회사연구" 일조각 1997

      2 김철준, "한국고대사회연구" 지식산업사 1975

      3 전덕재, "한국고대사회경제사" 태학사 2006

      4 김창석, "통일신라기 전장에 관한 연구" 25 : 1991

      5 황상일, "자연재해와 인위적 환경변화가 통일신라 붕괴에 미친 영향"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580-599, 2013

      6 김창겸, "이수건교수정년기념한국중세사논총" 이수건교수 정년기념 한국중세사논총간행위원회 2000

      7 권영오, "신라하대 정치사 연구" 혜안 2011

      8 김두진,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 일조각 2007

      9 권덕영, "신라하대 서남해 해적과 장보고의 해상활동" 1 : 2002

      10 한준수, "신라하대 軍鎭세력의 대두와 율령질서의 이완"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 : 109-144, 2015

      11 전기웅, "신라의 멸망과 경문왕가" 혜안 2010

      12 김동수, "신라 헌덕・흥덕왕대의 개혁정치" 39 : 1982

      13 이기동, "신라 하대의 왕위계승과 정치과정" 80 : 1980

      14 이문기, "신라 하대 정치와 사회 연구" 학연문화사 2015

      15 김창겸, "신라 하대 왕위계승 연구" 경인문화사 2003

      16 이기봉, "신라 진성여왕대의 재이와 농민반란" 호남사학회 (62) : 65-88, 2016

      17 이기봉, "신라 원성왕대의 재이와 정치・사회적 변동" 신라사학회 (25) : 279-315, 2012

      18 이현숙, "신라 애장왕대 당 의학서 『廣利方』의 도입과 그 의의(2)" 14 : 2000

      19 윤순옥, "삼국사기를 통해 본 한국 고대의 자연재해와 가뭄주기" 대한지리학회 44 (44): 497-509, 2009

      20 이기동, "新羅 骨品制社會와 花郞徒" 일조각 1984

      21 이기봉, "新羅 聖德王代의 災異와 儒敎政治" 한국사연구회 (152) : 1-40, 2011

      22 이기봉, "新羅 憲德・興德王代의 災異와 정치・사회적 영향" 부산경남사학회 (100) : 241-269, 2016

      23 박용국, "新羅 憲德王代 金憲昌의 亂과 晉州地域" 퇴계연구소 (37) : 249-283, 2005

      24 주보돈, "新羅 下代 金憲昌의 亂과 그 性格" 한국고대사학회 (51) : 233-279, 2008

      25 이문기, "「新羅 壽昌郡護國城 八角燈樓記」로 본 新羅末 大邱 豪族 再論" 동방한문학회 (63) : 149-184, 2015

      26 손흥호, "9세기 전반 신라의 사회변동과 지방사회" 대구사학회 135 : 1-33, 2019

      27 김창겸, "9세기 일본 서부 연안에 나타난 신라인들" 신라사학회 (26) : 301-336,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8 0.98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