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표는 구한말 개항장 인천에 기거하면서 한국어 교재와 사전을 만들었던 서양인들이 누구인지를 소개하고, 그들이 만든 책들의 특성을 조명하는 것이다. 스콧은 기독교 선교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25810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1-140(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표는 구한말 개항장 인천에 기거하면서 한국어 교재와 사전을 만들었던 서양인들이 누구인지를 소개하고, 그들이 만든 책들의 특성을 조명하는 것이다. 스콧은 기독교 선교사...
이 논문의 목표는 구한말 개항장 인천에 기거하면서 한국어 교재와 사전을 만들었던 서양인들이 누구인지를 소개하고, 그들이 만든 책들의 특성을 조명하는 것이다. 스콧은 기독교 선교사들보다 먼저 인천에 들어와 외교관 생활을 하면서 가까운 미래에 서양인들이 인천을 통해 물밀 듯 들어올 것이고, 이들이 가장 먼저 필요로 하는 것이 한국어를 배우는 일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는 영국 해군으로부터 신식 인쇄 설비를 지원받으며 일찌감치 한국어 문법서와 사전을 집필하여 초기 서양인들의 한국어 학습에 큰 도움을 주었다.
감리교가 인천을 선교의 거점으로 선택하면서, 감리교 선교사였던 존스 부부는 인천에 기거하였는데, 이들 부부는 특히 여자와 어린 아이들을 위한 소학교 교육을 위해 인천에 영화학교를 세우고, 순 한글로 된 책들을 연이어 집필하여 교재로 사용하면서 근대식 소학교 교육이 인천에서 자리잡게 되는 큰 역할을 하였다.
감리교가 인천에서 영화학교를 세우고 교육 선교에 중점을 두었다면, 성공회는 인천에 누가병원을 세우고 의료 선교에 헌신하였다. 성공회의 카덴 목사가 지은 한국어 회화책에는 주민들과의 원활한 소통에 필요한 일상 회화문이 실려있다. 이런 연유로 회화문에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개념들과 인천 주변의 천문 지리적 표현들이 많이 나타난다.
인천항은 서양인들의 관문 역할에만 머물렀던 곳이 아니라 서양인들이 정착하여 지역인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하면서 문명의 꽃을 피웠던 장소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westerners who lived in Incheon, an open port,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 centuries and wrote Korean-related book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books. Scott came to Incheon prior to Christian mission...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westerners who lived in Incheon, an open port,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 centuries and wrote Korean-related book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books.
Scott came to Incheon prior to Christian missionaries and lived as a diplomat, knowing that westerners would rush in through Incheon in the near future, and that the first thing they needed was to learn Korean. He wrote Korean grammar books and dictionaries using printing equipment installed on naval vessels anchored at Incheon Port, which greatly helped early Westerners learn Korean.
When Methodist chose Incheon as the base of missionary work, Mr.&Mrs. Jones, Methodist missionaries, lived in Incheon, especially for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or women and young children, and wrote books in Korean script and used them as textbooks.
While Methodists established Yongwha school in Incheon and focused on educational missions, the Anglican Church established a Luke Hospital in Incheon and devoted itself to medical missions. The Korean phrase book, written by Pastor Carden of the Anglican Church, contains daily conversation required for smooth communication with residents. For this reason, many concepts and astronomical and geographical expressions around Incheon applied in his phrases.
Incheon Port was not only a gateway to Westerners, but also a place where Westerners settled down and actively interacted with local resid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Courant, M., "한국서지" 일조각 1997
2 윤춘병, "한국감리교 도서출판 백년사" 기독교대한감리회 본부교육국 1986
3 Jones, M.B, "초학언문" 1895
4 이숙,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교사" 보고사 2020
5 박새암,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 연구 - <미감리회>를 중심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3 (13): 119-144, 2016
6 이근홍, "찰스 존 코프" 대한성공회 2015
7 허재영, "조 헤버 존스(Goe. Haber Jones, 조원시) 『국문독본』의 내용과 텍스트 출처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47) : 273-295, 2015
8 윤인섭, "외국인의 기록으로 보는 인천근대"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역사문화연구실 2007
9 이숙, "옥스퍼드 대학 소장 한국 희귀도서『ㅎ.다』 연구" 열상고전연구회 (48) : 293-312, 2015
10 Jones, G. H., "영한사전" Kyobunkwan 1914
1 Courant, M., "한국서지" 일조각 1997
2 윤춘병, "한국감리교 도서출판 백년사" 기독교대한감리회 본부교육국 1986
3 Jones, M.B, "초학언문" 1895
4 이숙,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교사" 보고사 2020
5 박새암,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 연구 - <미감리회>를 중심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3 (13): 119-144, 2016
6 이근홍, "찰스 존 코프" 대한성공회 2015
7 허재영, "조 헤버 존스(Goe. Haber Jones, 조원시) 『국문독본』의 내용과 텍스트 출처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47) : 273-295, 2015
8 윤인섭, "외국인의 기록으로 보는 인천근대"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역사문화연구실 2007
9 이숙, "옥스퍼드 대학 소장 한국 희귀도서『ㅎ.다』 연구" 열상고전연구회 (48) : 293-312, 2015
10 Jones, G. H., "영한사전" Kyobunkwan 1914
11 Scott, J, "언문말책" Statistical Department of the Inspectorate General of Customs 1887
12 김은솔, "근대계몽기 한글 학습서의 표기와 음운 현상 - 『초학언문』의 세 가지 이본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120 : 51-86, 2020
13 러시아 대장성, "국역 한국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14 Jones, G.H, "국문독본" 미이미교회책판 1903
15 김근영, "개화기 선교사들의 한글 교육"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6 관세청, "개항과 함께 한 구한말 해관 직원들(1883-1905)"
17 Ross, J, "Korean speech" Kelly and Walsh 1882
18 Carden, W.A, "Hundred Corean Phrases with Vocabulary" The Seoul Press 1901
19 Ridel, F. C, "Grammaire Coréenne" Imprimerie de L. Lévy et S. Salabelle 1881
20 Scott, J, "English-Corean dictionary" Church of England Mission Press 1891
21 Ridel, F. C,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 Yokohama 1880
22 Ross, J, "Corean primer"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77
23 김승우, "19세기말 의료선교사 엘리 랜디스(Eli B. Landis)의 한국민속 연구와 동요 채록" 한국민요학회 39 : 43-82, 2013
24 허경진, "19세기 인천에서 불려졌던 <아리랑>의 근대적 성격" 국학연구원 (115) : 253-271, 2002
코로나 19의 지역 전파양상 - 인천과 서울 간 관계적 특성을 중심으로 -
인천시민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정책 방안 연구
베트남전쟁과 인천의 시정(市政) - ‘파월 장병 및 가족 돕기 운동’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3 | 1.059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