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채권자취소권에서 기초적 법률관계론의 바람직한 적용에 대한 검토 = A Study of Adequate Application of the High Probability Theory with Respect to Obligee’s Right of Revo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366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 recent case pertaining to whether an obligee may exercise the right of revocation against a payment claim incurred by fraud during a continuous supply of goods, the Supreme Court reversed and remanded the appellate court judgment that acknowledge...

      In a recent case pertaining to whether an obligee may exercise the right of revocation against a payment claim incurred by fraud during a continuous supply of goods, the Supreme Court reversed and remanded the appellate court judgment that acknowledged said claim as a preserved right, on the grounds that “deeming legal relations to exist, which serve as the basis for establishment of a claim, is difficult solely on the basis that there was a continuous transactional relationship at the time fraud was committed.”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s established position, the Court held that an obligee may exercise the right of revocation against a claim incurred after a fraudulent act if the following three requirements are met ― namely, existence of legal relations as a foundation for establishment of a claim, high probability, and establishment of a claim. Of the three requirements as seen above, “high probability” should be examined first by factoring in the existence of “an obligor’s intent of fraud” and “the need for preservation of an obligee’s executable property or asset against an obligor’s fraudulent intent.” Yet, in the subject case, the Supreme Court denied the obligee’s right of revocation on the grounds that the “existence of legal relations as a foundation for establishment of a claim” was not met,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xistence of “high probability” and “obligor’s fraudulent intent.”

      Keywords: continuous transactional relationship, payment claim, preserved right, existence of legal relations as a foundation for establishment of a claim, theory of high probability, obligor’s fraudulent intent, preservation of executable proper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법원은 최근 계속적 물품공급거래에서 사해행위 이후에 발생한 물품대금채권을 피보전채권으로 하여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 ‘사해행위 당시 계속적인 물품거...

      대법원은 최근 계속적 물품공급거래에서 사해행위 이후에 발생한 물품대금채권을 피보전채권으로 하여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 ‘사해행위 당시 계속적인 물품거래관계가 존재하였다는 사정만으로는 채권성립의 기초가 되는 법률관계가 발생되어 있었다고 할 수 없다’는 이유로 피보전채권의 성립을 부정하면서, 기초적 법률관계론(또는 고도의 개연성론)에 입각하여 사해행위 이후에 발생한 물품대금채권을 피보전채권으로 인정한 항소심 판결을 파기 후 환송하였다.
      종래 판례가 기초적 법률관계론을 통해 사해행위 이후에 발생한 채권이라도 제시된 3가지 요건(기초적 법률관계의 존재, 고도의 개연성, 채권의 성립)을 충족하면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된다고 판시한 취지는, ‘채무자가 채권자를 해한다는 사해의사로써 채권의 공동담보를 감소시키는 것은 형평과 도덕적 관점에서 허용할 수 없다는 채권자취소권 제도의 취지에 근거’한 것으로서, 위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채권자를 위하여 책임재산을 보전할 필요가 있고, 채무자에게 채권자를 해한다는 점에 대한 인식이 있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위 세 가지 요건 중 기초적 법률관계론을 적용함에 있어 가장 중점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요건은 ‘고도의 개연성’인바, 위 요건을 판단함에 있어서는 그 과정에서 추단되는 ‘채무자의 사해의사’까지 유기적으로 고려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채권자를 위한 책임재산의 보전 필요성’을 판단하는 것이 기초적 법률관계론의 취지에 부합하는 바람직한 적용이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대상판결은 계속적 물품공급계약에서 사해행위 이후에 발생한 물품대금채권으로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한 사안에서, ‘채권성립의 고도의 개연성’ 및 ‘채무자의 사해의사’에 관한 유기적 검토 없이, ‘별개의 법률관계’라는 점만을 언급하면서 ‘기초적 법률관계’라는 요건이 충족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채권자취소권의 행사를 배척하였는바, 이는 기초적 법률관계론의 취지 및 그 바람직한 적용 방안과 충돌되므로 향후 재고를 요한다.








      주제어: 계속적 물품공급거래, 계속적인 물품거래관계, 물품대금채권, 피보전채권, 기초적 법률관계론, 채권성립의 기초가 되는 법률관계, 기초적 법률관계의 존재, 고도의 개연성(론), 사해의사, 책임재산의 보전 필요성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창수, "최근 중요 민사판례 동향" 박영사 7 : 2005

      2 곽윤직, "채권총론" 박영사 2000

      3 서재국, "채권자취소소송에 있어서의 점검사항"

      4 최재형,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의 성립시기에 관한 연구" 2005

      5 김대정,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의 성립시기" (17) : 1997

      6 김욱곤, "채권자취소권의 요건론 재고" 한국법학원 33 (33):

      7 배성호, "채권자취소권에 있어서 특정물채권의 피보전채권성" 대한변호사협회 (332) : 77-89, 2004

      8 장희석, "채권자취소권에 의하여 보호되는 피보전채권의 성립시기 등" 부산판례연구회 11 : 2000

      9 오시영, "채권자취소권" 숭실대학교 출판부 2010

      10 이순동, "채권자취소권" 육법사 2017

      1 양창수, "최근 중요 민사판례 동향" 박영사 7 : 2005

      2 곽윤직, "채권총론" 박영사 2000

      3 서재국, "채권자취소소송에 있어서의 점검사항"

      4 최재형,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의 성립시기에 관한 연구" 2005

      5 김대정,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의 성립시기" (17) : 1997

      6 김욱곤, "채권자취소권의 요건론 재고" 한국법학원 33 (33):

      7 배성호, "채권자취소권에 있어서 특정물채권의 피보전채권성" 대한변호사협회 (332) : 77-89, 2004

      8 장희석, "채권자취소권에 의하여 보호되는 피보전채권의 성립시기 등" 부산판례연구회 11 : 2000

      9 오시영, "채권자취소권" 숭실대학교 출판부 2010

      10 이순동, "채권자취소권" 육법사 2017

      11 김증한, "주석 채권총칙(상)" 사법행정학회 1984

      12 황진영, "조세민사소송에 있어서 사해행위취소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13 임시규, "사해행위취소" (1) : 2002

      14 윤경, "보증인의 추상적 구상권이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될 수 있는지 여부" (42) :

      15 梁彰洙, "將來債權의 讓渡" 한국법학원 73 : 26-47,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6 0.89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