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planned under a whole purpose to understand meaning and value of Beijing in the history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Joseon and Ching. Especially this paper tried to reveal that how was Chosun``s legation (朝鮮使館) in Beijing understo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399512
2015
-
북경 ; 조선사관 ; 朝鮮使館 ; 문화교류 ; 아문제관 ; 衙門諸官 ; 회동관후시 ; 會同館後市 ; 환희 ; 幻戱 ; 아라사 ; 러시아 ; Beijing ; Chosun`s legation ; culture exchange ; Ahmunjegwan ; Hoidonggwanhusi ; Hwanhi ; Arasa ; Russia
800
KCI등재
학술저널
533-567(35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lanned under a whole purpose to understand meaning and value of Beijing in the history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Joseon and Ching. Especially this paper tried to reveal that how was Chosun``s legation (朝鮮使館) in Beijing understoo...
This paper planned under a whole purpose to understand meaning and value of Beijing in the history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Joseon and Ching. Especially this paper tried to reveal that how was Chosun``s legation (朝鮮使館) in Beijing understood and functioned, that what did Yeonhangsa (燕行使) think and view through Joseonsagwan in Beijing and that meaning occupied by Joseonsagwan in Beijing of Yeanhang(燕行) cultural history. Therefore this paper researched the records related with Joseonsagwan in Yeonhangrok(燕行錄) and behaviour and change in awareness of Yeonhangsa, and tried to show aspects of Joseonsagwan functioned and understood as a base of variety exchanges of core in Yeonhang from middle of 17C to later of 19C. However this paper focused on general meaning of Joseonsagwan and limited in after Ching rather than changes of meaning of Joseonsagwan and Yeonhangsa’s awareness projected in Joseonsagwan because records had to deal were so massive. Then this paper reached following conclusions. Joseonsagwan was representative space that Yeonhangsa communicated with Ahmunjegwan(衙門諸官), exchanged things with merchants of Beijing, met intellectuals of Ching and enjoyed foreign culture such as Hwanhi(幻 戱). Exchanges of variety of fields such as politics, diplomacy, administration, economics and culture were meaning itself of Joseon-sagwan in culture history of Yeonhang. Also Joseonsagwan offered the exist of Arasa(Russia), brought interest of new civilization, and opportunity to actually realize Joseon. They were other meanings and values of Joseonsagwan. Materials of this paper will be used to present meaning and value to records related with Beijing written by Yeonhangsa of Joseon.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태근, "중국에서 만난 조선문명과 제삼문명(러시아문명)" 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 1 : 166-179, 2003
2 김문식, "조선후기 지식인의 러시아 이해" 한국실학학회 (16) : 349-378, 2008
3 이철성, "조선후기 대청무역사 연구" 국학자료원 2000
4 정은주, "조선시대 사행기록화" 사회평론 2012
5 임기중, "연행록전집 1~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6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연행록선집보유 1~3"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8
7 이홍식, "북경 유리창의 공연예술 - 18~19세기 연행록을 중심으로 -" 한국한문학회 (47) : 593-622, 2011
8 민족문화추진회, "국역 연행록선집 1~8" 민족문화추진회 1976
9 宋浦章, "神田信夫先生古稀記念論集" 山川出版社 1992
10 이창숙, "燕行錄에 실린 중국 演戱와 그에 대한 조선인의 인식" 한국실학학회 (20) : 131-175, 2010
1 박태근, "중국에서 만난 조선문명과 제삼문명(러시아문명)" 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 1 : 166-179, 2003
2 김문식, "조선후기 지식인의 러시아 이해" 한국실학학회 (16) : 349-378, 2008
3 이철성, "조선후기 대청무역사 연구" 국학자료원 2000
4 정은주, "조선시대 사행기록화" 사회평론 2012
5 임기중, "연행록전집 1~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6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연행록선집보유 1~3"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8
7 이홍식, "북경 유리창의 공연예술 - 18~19세기 연행록을 중심으로 -" 한국한문학회 (47) : 593-622, 2011
8 민족문화추진회, "국역 연행록선집 1~8" 민족문화추진회 1976
9 宋浦章, "神田信夫先生古稀記念論集" 山川出版社 1992
10 이창숙, "燕行錄에 실린 중국 演戱와 그에 대한 조선인의 인식" 한국실학학회 (20) : 131-175, 2010
11 강동엽, "燕行使와 會同館" 한국비교문학회 (41) : 347-374, 2007
12 王靜, "淸代會同四譯館論考" 36 (36): 2006
13 劉爲, "淸代中朝使者往來硏究" 黑龍江敎育出版社 2002
14 姜龍洙, "朝鮮時代 對淸貿易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1) : 36-, 1996
15 金廷美, "朝鮮後期 對淸貿易의 전개와 貿易收稅制의 시행"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36 : 210-, 1996
16 祁慶福, "明淸時期北京的朝鮮館" 경원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8 : 68-76, 2004
17 박현규, "明淸 시대 北京 朝鮮使館 고찰" 중국사학회 (82) : 115-158, 2013
18 한동수, "實學派 學人 洪大容의 中國 建築觀과 北京 朝鮮館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15 (15): 29-40, 2006
19 王世仁, "北京文博" 古籍出版 2002
20 "KRpia 한국의 지식콘텐츠"
21 백옥경, "18세기 연행사의 정보수집활동" 명청사학회 (38) : 201-229, 2012
22 진재교, "18세기 朝鮮朝와 淸朝 學人의 학술교류-洪良浩와 紀昀을 中心으로-" 한국고전문학회 23 : 11-326, 2003
23 신익철, "18~19세기 연행사절의 북경 천주당 방문 양상과 의미" (재)한국교회사연구소 (44) : 143-183, 2014
24 계승범, "17세기 중반 나선정벌의 추이와 그 동아시아적 의미" 한국사학회 (110) : 205-246, 2013
25 이승수, "1658년 나선정벌 관련 기록의 서사지리" 한국고전문학회 (45) : 165-206, 2014
『향대기람(香臺紀覽)』을 통해 본 일제시대 대만(臺灣)의 교통과 숙식 시설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7-10-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Society for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 ![]() |
2017-10-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Hanmun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7 | 0.77 | 0.7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 | 0.86 | 1.77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