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탈리아어 단일 자음과 중첩 자음의 한국인 학습자 발화 특성 연구 = An Acoustic Study on Korean Learners’ Pronunciation of Italian Singleton and Geminate Consonan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화자가 이탈리아어의 단일 자음(singleton)과 중첩 자음(geminate)을 어떻게 발화하는지를 무성 파열음과 비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자음의 유형에 따라 모음의 지속시간과 자음의 지속시간을 비교하는 음향음성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에는 이탈리아어를 전공한 한국인 학습자 10명이 참여했으며, 이들에게 이탈리아어의 무성 치경 파열음(/t/)과 비음(/n/)이 포함된 최소대립쌍을 발음하도록 요청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의 발음 양상에 비대칭이 나타났다. 참가자들은 단일 비음과 중첩 비음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발음한 반면, 파열음에 있어서는 단일 자음과 중첩 자음을 일관되게 구별하여 발음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보였다. 이러한 양상은 한국어와 이탈리아어의 음운 체계 사이의 구조적 차이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어의 경음은 표면적으로 이탈리아어의 중첩 자음과 유사한 음향적 특징을 보일 수 있지만, 한국어는 자음의 길이를 변별적 음운 요소로 체계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특히 파열음의 경우, 단일 자음과 중첩 자음 사이에 변별적인 음소 대립이 존재하지 않으며, 경음에서의 길이를 기반으로 한 대립은 한국어 음운 체계 내에 나타나지 않는다. 반면, 참가자들이 비음의 길이 대립을 비교적 정확하게 발음한 것은 한국어에서 형태소 내부의 비음 연쇄에 대한 경험 덕분일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제1언어(모국어)의 음운 범주가 제2언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며, 자음 유형에 따라 길이 대립 습득에 비대칭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모국어에 변별적 자음 길이 대립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학습자들이 이탈리아어의 중첩 자음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명시적 교수법과 체계적인 조음 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어 화자가 이탈리아어의 단일 자음(singleton)과 중첩 자음(geminate)을 어떻게 발화하는지를 무성 파열음과 비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자음의 유형에 따라 모음의 지...

      본 연구는 한국어 화자가 이탈리아어의 단일 자음(singleton)과 중첩 자음(geminate)을 어떻게 발화하는지를 무성 파열음과 비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자음의 유형에 따라 모음의 지속시간과 자음의 지속시간을 비교하는 음향음성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에는 이탈리아어를 전공한 한국인 학습자 10명이 참여했으며, 이들에게 이탈리아어의 무성 치경 파열음(/t/)과 비음(/n/)이 포함된 최소대립쌍을 발음하도록 요청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의 발음 양상에 비대칭이 나타났다. 참가자들은 단일 비음과 중첩 비음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발음한 반면, 파열음에 있어서는 단일 자음과 중첩 자음을 일관되게 구별하여 발음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보였다. 이러한 양상은 한국어와 이탈리아어의 음운 체계 사이의 구조적 차이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어의 경음은 표면적으로 이탈리아어의 중첩 자음과 유사한 음향적 특징을 보일 수 있지만, 한국어는 자음의 길이를 변별적 음운 요소로 체계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특히 파열음의 경우, 단일 자음과 중첩 자음 사이에 변별적인 음소 대립이 존재하지 않으며, 경음에서의 길이를 기반으로 한 대립은 한국어 음운 체계 내에 나타나지 않는다. 반면, 참가자들이 비음의 길이 대립을 비교적 정확하게 발음한 것은 한국어에서 형태소 내부의 비음 연쇄에 대한 경험 덕분일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제1언어(모국어)의 음운 범주가 제2언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며, 자음 유형에 따라 길이 대립 습득에 비대칭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모국어에 변별적 자음 길이 대립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학습자들이 이탈리아어의 중첩 자음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명시적 교수법과 체계적인 조음 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native Korean speakers produce singleton and geminate consonants in Italian, focusing on voiceless plosives and nasals. An acous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vowel duration and consonant duration across different consonant types. Ten Korean learners majoring in Italian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were asked to produce Italian minimal pairs containing voiceless alveolar stops (/t/) and nasals (/n/). The results revealed an asymmetry in learners’ production patterns: while the participants clearly distinguished between singleton and geminate nasals, they showed difficulty in producing a reliable contrast between singleton and geminate plosives. This pattern appears to reflect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phonological systems of Korean and Italian. Korean tense consonants may exhibit surface-level acoustic similarities to Italian geminate consonants, but Korean does not systematically use consonant length as a contrastive phonological feature. In particular, for plosives, there is no phonemic distinction between single and geminate consonants, and length-based contrasts involving tense consonants are not represented in the Korean phonological system. In contrast, the participants' relatively accurate production of nasal length contrasts may be attributed to their experience with morpheme-internal nasal sequences in Korean.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influence of first language phonological categories o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suggest an asymmetry in the acquisition of length-based contrasts depending on consonant type. The results underscore the need for explicit instruction and structured articulatory training to help learners acquire geminate consonants in Italian, especially when their first language lacks contrastive consonant length distinction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how native Korean speakers produce singleton and geminate consonants in Italian, focusing on voiceless plosives and nasals. An acous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vowel duration and consonant duration across different conson...

      This study examines how native Korean speakers produce singleton and geminate consonants in Italian, focusing on voiceless plosives and nasals. An acous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vowel duration and consonant duration across different consonant types. Ten Korean learners majoring in Italian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were asked to produce Italian minimal pairs containing voiceless alveolar stops (/t/) and nasals (/n/). The results revealed an asymmetry in learners’ production patterns: while the participants clearly distinguished between singleton and geminate nasals, they showed difficulty in producing a reliable contrast between singleton and geminate plosives. This pattern appears to reflect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phonological systems of Korean and Italian. Korean tense consonants may exhibit surface-level acoustic similarities to Italian geminate consonants, but Korean does not systematically use consonant length as a contrastive phonological feature. In particular, for plosives, there is no phonemic distinction between single and geminate consonants, and length-based contrasts involving tense consonants are not represented in the Korean phonological system. In contrast, the participants' relatively accurate production of nasal length contrasts may be attributed to their experience with morpheme-internal nasal sequences in Korean.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influence of first language phonological categories o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suggest an asymmetry in the acquisition of length-based contrasts depending on consonant type. The results underscore the need for explicit instruction and structured articulatory training to help learners acquire geminate consonants in Italian, especially when their first language lacks contrastive consonant length distinctio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