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외 학생들이 경험한 학교에서의 삶-또래관계 소외 속 살아냄을 중심으로- = Life at school experienced by underprivileged students -Focusing on living in the alienation of peer relationship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04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an experiential study with the purpose of phenomenologically analyzing thelife experienced by students who are marginalized in peer relationships at school, revealing in detailhow to live in alienation, and comprehensively under...

      Purpose: This study is an experiential study with the purpose of phenomenologically analyzing thelife experienced by students who are marginalized in peer relationships at school, revealing in detailhow to live in alienation, and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alienation.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3rd grade students of B high schoolin A city, Gyeonggi-do, after nomadic sampling and validation. The experience of alienation of thestudy participants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memoirs, and movie reviewsrelated to alienation, and categorization was made in the order of central meaning, revealed themes,and essential themes using an inductive thematic analysis method. The derived themes were arrangedin the dimensions of physicality, temporality, spatiality, and relationality, which are the four fundamentalexistentials suggested by Max van Manen, to phenomenologically grasp the lives of students alienatedfrom peer relationships.
      Results: A total of 53 central meanings and 20 revealed themes were found as a result of analyzingthe lives of students living in peer-relationship marginalized schools. Finally, 9 essential themes werederived by categorizing them. In terms of physicality, students who are alienated from peer relationshipsare ‘experienced hell in this life’, ‘limited situations’, and forced to walk a tightrope. In terms oftemporality, ‘Moebius of hardship’, ‘time of lost life’, and spatial dimension ‘in a familiar land’ Hewas living the life of ‘exile’, ‘a cliff with nowhere to go’, ‘broken chain’ in terms of relationship,and ‘solitude in the crowd’. Peer-related alienation was largely occurring in the regular curriculum,such as peer culture and class scenes in the potential curriculum.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teachers' interests and roles were discussed, andit was concluded that teachers should make continuous efforts focusing on prevention as well as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lienation. Lastly, teachers' efforts to prevent alienation were presented,and follow-up studies related to alienation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또래관계 소외 학생들이 경험한 학교에서의 삶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여 소외 속살아냄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소외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목적을 둔 체험...

      연구목적 본 연구는 또래관계 소외 학생들이 경험한 학교에서의 삶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여 소외 속살아냄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소외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목적을 둔 체험연구이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A시 B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중 유목적 표집과 타당성 검증을 거쳐8명을 선정하였다. 심층면담, 참여자 회고록, 소외 관련 영화 감상문을 통해 연구 참여자의 소외 경험을수집하였고 귀납적 주제 분석법을 이용하여 중심의미, 드러난 주제, 본질적 주제의 순서로 범주화가 이루어졌다. 도출된 주제는 Max van Manen이 제시한 4개의 근본적 실존체(four fundamental existentials)인신체성,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의 차원으로 배열하여 또래관계 소외 학생의 삶을 현상학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또래관계 소외 학생들이 살아내는 학교에서의 삶을 분석한 결과 총 53개의 중심의미와 20개의드러난 주제가 발견되었으며, 이를 범주화하여 최종적으로 9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또래관계소외 학생들은 신체성 차원에서 ‘이승에서 체험한 지옥’, ‘한계상황 봉착’, ‘내몰린 외줄타기’, 시간성 차원에서 ‘고난의 뫼비우스’, ‘잃어버린 삶의 시간’, 공간성 차원에서 ‘친숙한 땅에서의 유배’, ‘갈 곳 없는낭떠러지’, 관계성 차원에서 ‘끊어진 체인’, ‘군중 속 고독’의 삶을 살아내고 있었다. 또래관계 소외는 크게잠재적 교육과정 속 또래문화와 수업 장면과 같은 정규교육과정에서 일어나고 있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관심과 역할에 관해 논의하였으며, 교사는 소외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더불어 예방에 중점을 두고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소외를 예방할수 있는 교사의 노력 방안을 제시하였고, 소외 관련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경림,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과 실제" 12 (12): 49-68, 2003

      2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9 : 91-121, 2010

      3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 연구" 한길사 2014

      4 한전숙, "현상학" 민음사 1996

      5 황지영, "템플스테이 체험과 관광 진정성 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2017

      6 권정이, "초등학생의 무용활동이 집단따돌림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4

      7 안삼도, "초등학생들의 체육수업에서 소외 양상"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8 이준상,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의 학생소외의 원인과 행동전략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9 이영석 ; 남재식, "초등교사의 체육수업 전문성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 24 (24): 109-123, 2019

      10 김혜진, "초등 체육수업에서의 소외 학생에 대한 사례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1 이호철 ; 권오륜, "초등 체육수업에서 소외학생의 행동전략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한국체육학회 44 (44): 131-140, 2005

      12 Van Manen, M., "체험 연구" 동녘 1994

      13 정상기, "체육수업에서의 소외아동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4 허창혁, "체육수업에서의 소외-비소외 모델" 2001 (2001): 223-232, 2001

      15 이호철, "체육수업 기피요인에 대한 소외 학생들의 문화기술적 접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6 조순묵, "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반성적 사고" 9 (9): 505-517, 2002

      17 황성하 ; 이창섭, "청소년의 대상화된 신체의식과 운동열정이 체육수업소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3 (53): 77-92, 2014

      18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접근" 학지사 2015

      19 허창혁,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학생 소외의 경향과 원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20 정상훈,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교사 요인으로 인한 학생 소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1 박인향, "중등 체육수업에서의 학생 소외"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8

      22 공정원, "조선족 돌봄종사자의 노인돌봄체험 연구" 성균관대학교 2018

      23 한지연, "정신장애자녀를 둔 가족의 돌봄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2016

      24 박홍원, "인간 소외와 커뮤니케이션: 마르크스 소외이론의 현재적 함의" 한국언론학회 10 (10): 101-150, 2014

      25 김보경, "유교 소외론의 이념형적 구성과 적용"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2

      26 김윤희, "운동기능이 낮은 학생의 체육수업 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0 (10): 57-76, 2003

      27 이솔지 ; 최송식, "알코올중독자의 삶에 관한 연구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사회과학연구소 30 (30): 43-71, 2014

      28 정우식, "소외학생들의 체육수업 기피요인에 대한 문화기술적 접근" 9 (9): 113-131, 2003

      29 오경환, "소외된 학습자의 체육수업 참여 기피 요인 분석" 20 (20): 274-283, 2004

      30 김춘경, "상담학 사전" 학지사 2016

      31 옥일남, "사회과 수업의 상호 작용에서 나타나는 학생 소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32 조현미,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직장생활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고신대학교대학원 2019

      33 양은숙, "말기 암 환자 가족 보호자의 호스피스 돌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34 김윤영 ; 박종률, "또래관계 소외 학생들의 체육수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8 (28): 103-134, 2021

      35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교육학 용어사전" 하우 2011

      36 정문길, "疎外論 硏究" 文學과 知性社 1978

      37 Schön, D. A., "The reflective practitioner" Basic Books 1983

      38 Seeman, M., "On the meaning of alienation" The Bobbs-Merrill Co 1959

      39 윤종혁, "OECD ‘교육 2030: 미래 교육과 역량’을 위한 현황분석과 향후과제" 2016

      40 Heidegger, M, "Being and time" Harper & Row 1962

      41 교육부, "2019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전수조사)주요 결과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