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고등학생의 건강증진 생활방식 및 스포츠활동 참여도에 관한 연구 = Study of relations between life style to improve health and participation on sports activiti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560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고등학생 246명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생활방식과 스포츠활동 참여도간 상관성과 영향정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건강증진 생활방식의 중·고등학생간 비교에서 전체수행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하위개념인 '건강책임'에서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행정도를 나타냈다(p < .01).
      둘째, 건강증진 생활방식의 성별간 비교에서 전체수행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하위개념인 '운동과 영양'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행정도를 나타냈다(p < .01).
      셋째, 건강증진 생활방식의 선수여부간 비교에서 전체수행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하위개념인 '운동과 영양'에서 선수들이 일반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행정도를 나타냈다(p < .01).
      넷째, 스포츠활동 참여도의 성별간 비교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참여도를 나타냈다(p < .01).
      다섯째, 스포츠활동 참여도의 선수여부간 비교에서 선수들이 일반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참여도를 나타냈다(p < .01).
      여섯째, 건강증진 생활방식과 스포츠활동 참여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 < .001).
      일곱째, 건강증진 생활방식이 스포츠활동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회기분석한 결과,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회기방정식이 도출되었다(p < .05).





      번역하기

      중·고등학생 246명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생활방식과 스포츠활동 참여도간 상관성과 영향정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건강증진 생활방식의 중·고등학생간 비교�...

      중·고등학생 246명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생활방식과 스포츠활동 참여도간 상관성과 영향정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건강증진 생활방식의 중·고등학생간 비교에서 전체수행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하위개념인 '건강책임'에서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행정도를 나타냈다(p < .01).
      둘째, 건강증진 생활방식의 성별간 비교에서 전체수행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하위개념인 '운동과 영양'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행정도를 나타냈다(p < .01).
      셋째, 건강증진 생활방식의 선수여부간 비교에서 전체수행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하위개념인 '운동과 영양'에서 선수들이 일반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행정도를 나타냈다(p < .01).
      넷째, 스포츠활동 참여도의 성별간 비교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참여도를 나타냈다(p < .01).
      다섯째, 스포츠활동 참여도의 선수여부간 비교에서 선수들이 일반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참여도를 나타냈다(p < .01).
      여섯째, 건강증진 생활방식과 스포츠활동 참여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 < .001).
      일곱째, 건강증진 생활방식이 스포츠활동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회기분석한 결과,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회기방정식이 도출되었다(p < .05).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studied the relations and effects between life style to improve health and participation on sports activities. The subjects were 24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ifferenc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life style for improvement in heal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hole rate of performance but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responsibility in health' as lower-ranking notion(p<.01).
      2. Differences between gender on life style for improvement in heal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hole rate of performance but male student showed significantly high than female students in 'exercise and nutrition' as lower-ranking notion(p<.01).
      3. Differences between athletes and general on life style for improvement in heal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hole rate of performance but athletes showed significantly high than general in 'exercise and nutrition' as lower-ranking notion(p<.01).
      4. Differences between gender on rate of participation on sports activities, male student showed significantly high than female students(p<.01).
      5. Differences between athletes and general on rate of participation on sports activities, athletes showed significantly high than general(p<.01).
      6. As the result of interrelation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interrelation between life style for improvement in health and participation on sports activities(p<.001).
      7. A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ignificant regression equation was deduced on effects between life style for improvement in health and participation on sports activities(p<.05).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studied the relations and effects between life style to improve health and participation on sports activities. The subjects were 24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ifferences betwe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studied the relations and effects between life style to improve health and participation on sports activities. The subjects were 24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ifferenc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life style for improvement in heal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hole rate of performance but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responsibility in health' as lower-ranking notion(p<.01).
      2. Differences between gender on life style for improvement in heal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hole rate of performance but male student showed significantly high than female students in 'exercise and nutrition' as lower-ranking notion(p<.01).
      3. Differences between athletes and general on life style for improvement in heal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hole rate of performance but athletes showed significantly high than general in 'exercise and nutrition' as lower-ranking notion(p<.01).
      4. Differences between gender on rate of participation on sports activities, male student showed significantly high than female students(p<.01).
      5. Differences between athletes and general on rate of participation on sports activities, athletes showed significantly high than general(p<.01).
      6. As the result of interrelation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interrelation between life style for improvement in health and participation on sports activities(p<.001).
      7. A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ignificant regression equation was deduced on effects between life style for improvement in health and participation on sports activities(p<.05).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가설 = 3
      • 목차
      • 국문초록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가설 = 3
      • 3. 연구의 제한점 = 4
      • II. 이론적 배경 = 5
      • 1. 건강증진 = 5
      • 2. 건강증진 생활방식 = 6
      • 3. 스포츠 참여 = 9
      • III. 연구방법 = 13
      • 1. 연구대상 = 13
      • 2. 조사도구 = 13
      • 3. 분석방법 = 14
      • IV. 연구결과 = 16
      • 1. 일반사항 = 16
      •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그룹간 검정 = 16
      • 1) 건강증진 생활방식 수행정도 검정 = 16
      • 2) 스포츠활동 참여도 검정 = 18
      • 3. 건강증진 생활방식과 스포츠활동 참여도간 상관관계 = 19
      • 4. 건강증진 생활방식 정도가 스포츠활동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20
      • 1) 학교구분(중·고)별 분석 = 21
      • 2) 성별별 분석 = 23
      • 3) 선수여부별 분석 = 25
      • V. 논의 = 28
      • 1. 건강증진 생활방식 및 스포츠활동 참여도의 그룹간 비교 = 28
      • 2. 건강증진 생활방식과 스포츠활동 참여도간 상관관계 = 29
      • 3. 건강증진 생활방식이 스포츠활동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30
      • VI. 결론 = 31
      • 참고문헌 = 32
      • Abstract = 39
      • 부록 = 4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