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집논문 : 이미지의 힘: 근대 일본의 이미지 보급 = What kind of image was effective?: Dissemination of certain image in the Empire of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12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근대일본에서 국가권력을 표상하는 하나로 ‘어진영(御眞影)’은 니노미야 타카노리상(二宮尊德像), 구스노키 마사시게상(楠木正成像)과 함께 전국의 각 학교로 보급되어, 매일‘어진영’...

      근대일본에서 국가권력을 표상하는 하나로 ‘어진영(御眞影)’은 니노미야 타카노리상(二宮尊德像), 구스노키 마사시게상(楠木正成像)과 함께 전국의 각 학교로 보급되어, 매일‘어진영’숭배하는 의식을 반복함으로써, 황국에 대한 관념과 근로, 충성에 대한 의식이 육체화될 수있도록 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안전상의 문제로 봉안전에 봉납되는‘어진영’은 점차 그 불가시성을 더하여, 1940년대 초엽에야 비로서 공출되었다. 한편, 적개심을 배양하는 미디어로써 적국의 이미지가 유효하게 작용하였다. 길거리에 설치되는 동상은 국가가 추진하는 방향을 대표하는 인격을 드러냄으로써, 민중을 국가에 길들이고 권력을 증폭하는 역할을 부여받았다. 그러나 위인의 동상이라고는 하나 개인적 가치관에 입각해 제작되어지기 때문에 시대의변화에 따라 보편적 가치를 오랫동안 지속하여 표출할 수 있는 동상은 극히 드물었다. 예술전에 출품된 동상은 미술 가운데서도 가장 오래도록 명맥을 유지한다고 할 수 있는데, 표현의 자유와 한계가 있다고는 하나 마지막까지 예술성을 담보로 나상(裸像)을 만들어 갔기에 전후로 이어질 수 있었다. 이처럼, 동상을 통해 일종의 의식을 보편화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동상의 경우, 국가는 규제에 의해 난립을 조정하는 정도의 영향력에 그치고, 예술에서 그 지도성을 발휘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한다. 그러한 가운데 어진영, 그리고, 적개심을 조장하는 적의 캐릭터는 주지와 같이 명백하게, 일반에 이해되기 쉽도록 보급되어 일반에 침투되기 쉬운 효과적인 미디어였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Japan, “the Imperial portraits” which were representation of the modern nation -state promoted the spread of authority of the Emperor and penetrated with the bronze statues of Sontoku Ninomiya and Masashige Kusunoki into schools of the whole co...

      In Japan, “the Imperial portraits” which were representation of the modern nation -state promoted the spread of authority of the Emperor and penetrated with the bronze statues of Sontoku Ninomiya and Masashige Kusunoki into schools of the whole country. They contributed to the incarnation of Imperial ideas, hard work and loyalty through being prayed in the daily ritual. However, stored inside of the “Hoanden” in security matters, imperial portraits increasingly enhanced its invisibility. Statues of Ninomiya and Kusunoki which spread rapidly in the 1930s would be delivered in the early 1940s. On the other hand, the image of the person from enemy country functioned effectively as the media which bred hostility. The bronze statues installed in the street were expected to publicize the national direction, tame the people, and amplify power. But even the statue of great person which was able to express universal value continuously for a long term was rare, because it was produced based on personal sense of values. It may be said that the statues of the art exhibition kept existence most obstinate in art genres. In the limit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sculptors had continued to make the nude sculptures in the name of art since wartime to postwar. It is not easy to generalize a consciousness through images. The nation could only prevent the bronze statues from being raised too much by regulation. It could not even show leadership in art-world. Imperial portraits and those of enemy promoting hostility became intelligible and effective media in both popularization and the penetr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