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북한 음악의 통시적 고찰 -『 조선중앙년감』1949년~주체108(2018)을 중심으로- = A diachronic consideration of North Korean music - Focusing on 『Joseon Central Yearbook 1949~Juche 108 (2018)』-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454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49년 이후 북한음악의 전체적인 음악사적 시기구분과 그 구분된 시기에는 어떤 장르의 음악이 주된 장르였으며 이 주된 장르는 어떻게 역할을 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의 공간문헌인 『 조선중앙년감』 최초 발간본부터 남한에서 확인할수 있는 마지막 발간본인 2018년 발간본까지의 『 조선중앙년감』에 서술된 음악부문의 내용을 연구범위로 선정하고, 그 내용구성과 편집체계 변경과 핵심용어 사용시기에 따라 구분해 보았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북한 음악을 중심으로 북한음악의 음악사적 시기를 크게 2시기로 나눌 수 있었다. 그 시기구분의 기준은 『 조선중앙년감』 1975년본에 음악부문 편집체계에서 나타난 ‘혁명문학예술’ 시기로 이전과 이후의 편집체계가 확연히 구분된다. 이보다 앞선 1973년본 문학예술부문에서 ‘주체적문예리론연구’를 소개하고 있는데 ‘주체적문예리론연구’가 소개, 서술 된후 발간본에서는 주체예술, 주체체육, 주체교예 등 문학예술부문에 대부분 주체를 사용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1973년에 소개한 ‘주체적문예리론연구’와 1975년에 소개한 ‘혁명문학예술’ 를 전·후하여 북한음악에 변화가 생겼고 다루는 소재 또한 변하게 되지만 1973년의 ‘주체적문예리론연구’는 편집체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1975년 ‘혁명문학예술’은 그 후로 4차례의 편집체계 변화에도 계속해서 ‘혁명문학예술’이 중요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혁명문학예술’의 편집체계로 구분된 1975년 전 시기를 “사회주의 문학예술시기” 로 1975년 이후 시기를 “주체적 혁명문학예술시기”로 구분하였다.
      전 시기인 “사회주의 문학예술시기”를 이끈 주된 장르는 민족음악과 합창 장르였으며, 세부적으로 고상한 사실주의와 인민음악시기, 전쟁문화와 사회주의 문학예술 기초건설시기, 사회주의문학예술발아시기, 혁명적문학예술 파종기의 4개 세부시기로 구분되었으며, 후 시기인 “주체적혁명문학예시기”를 이끈 주된 장르는 기악장르와 성악(중,합창) 장르였으며, 세부적으로 혁명적 종자를 바로잡은 혁명문학예술정착기, 우리식주체문학예술의 완성기, 주체문학예술로 문화강국 건설기, 주체문학예술의 세계화의 4개 세부시기로 구분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949년 이후 북한음악의 전체적인 음악사적 시기구분과 그 구분된 시기에는 어떤 장르의 음악이 주된 장르였으며 이 주된 장르는 어떻게 역할을 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본 연구는 1949년 이후 북한음악의 전체적인 음악사적 시기구분과 그 구분된 시기에는 어떤 장르의 음악이 주된 장르였으며 이 주된 장르는 어떻게 역할을 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의 공간문헌인 『 조선중앙년감』 최초 발간본부터 남한에서 확인할수 있는 마지막 발간본인 2018년 발간본까지의 『 조선중앙년감』에 서술된 음악부문의 내용을 연구범위로 선정하고, 그 내용구성과 편집체계 변경과 핵심용어 사용시기에 따라 구분해 보았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북한 음악을 중심으로 북한음악의 음악사적 시기를 크게 2시기로 나눌 수 있었다. 그 시기구분의 기준은 『 조선중앙년감』 1975년본에 음악부문 편집체계에서 나타난 ‘혁명문학예술’ 시기로 이전과 이후의 편집체계가 확연히 구분된다. 이보다 앞선 1973년본 문학예술부문에서 ‘주체적문예리론연구’를 소개하고 있는데 ‘주체적문예리론연구’가 소개, 서술 된후 발간본에서는 주체예술, 주체체육, 주체교예 등 문학예술부문에 대부분 주체를 사용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1973년에 소개한 ‘주체적문예리론연구’와 1975년에 소개한 ‘혁명문학예술’ 를 전·후하여 북한음악에 변화가 생겼고 다루는 소재 또한 변하게 되지만 1973년의 ‘주체적문예리론연구’는 편집체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1975년 ‘혁명문학예술’은 그 후로 4차례의 편집체계 변화에도 계속해서 ‘혁명문학예술’이 중요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혁명문학예술’의 편집체계로 구분된 1975년 전 시기를 “사회주의 문학예술시기” 로 1975년 이후 시기를 “주체적 혁명문학예술시기”로 구분하였다.
      전 시기인 “사회주의 문학예술시기”를 이끈 주된 장르는 민족음악과 합창 장르였으며, 세부적으로 고상한 사실주의와 인민음악시기, 전쟁문화와 사회주의 문학예술 기초건설시기, 사회주의문학예술발아시기, 혁명적문학예술 파종기의 4개 세부시기로 구분되었으며, 후 시기인 “주체적혁명문학예시기”를 이끈 주된 장르는 기악장르와 성악(중,합창) 장르였으며, 세부적으로 혁명적 종자를 바로잡은 혁명문학예술정착기, 우리식주체문학예술의 완성기, 주체문학예술로 문화강국 건설기, 주체문학예술의 세계화의 4개 세부시기로 구분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musical historical period of North Korean music since 1949 and what genre of music was the main genre and how it played a role. The contents of the music section described in the 『Joseon Central Yearbook』 from the first publication headquarters of the 『Joseon Central Yearbook』, which is a spatial literature of North Korea, to the last publication in South Korea in 2018, were selected as the scope of the study, and classified according to its content composition, editorial system change, and key terminology use.
      Through this method, the period of music history of North Korean music could be divided into two periods, centering on North Korean music.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period are the "revolutionary literary art" period, which appeared in the editing system of the music sector in the 1975 edition of the 『Joseon Central Yearbook』. Prior to this, in 1973, this paper introduced the "Research on Subjective Literature and Art," and after the "Research on Subjective Literature and Art" was introduced and described, most of the subjects were used in the literary and artistic sectors such as subjective art, sports, and subjective art. As a result,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on Subjective Literature" introduced in 1973 and the "Revolutionary Literature Art" introduced in 1975, North Korean music changed and the subject matter changed, but the "Research on Subjective Literature" in 1973 did not affect the editing system, and the "Revolutionary Literature Art" in 1975 continued to appear importantly despite four subsequent changes in the editing system, so this study classified the period before 1975 as the "Society Literature Art Period" and the period after 1975 as the "Subjective Revolutionary Literature Art Period."
      The main genres that led to the "Socialist Literature and Art Period" were national music and chorus. The period was divided into four sub-periods: the period of noble realism and people's music, the period of the foundation of war culture and socialist literary art, the period of the development of socialist literary art, and the period of the dissemination of revolutionary literary art. The main genres that led to the "subjective revolutionary literary art period" were instrumental and vocal (middle and chorus) genres. The period of establishment of revolutionary literary art, the period of the completion of Korean-style Juche literary art, the period of the construction of a cultural powerhouse as Juche literary art, and the period of the globalization of Juche literary ar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musical historical period of North Korean music since 1949 and what genre of music was the main genre and how it played a role. The contents of the music section described in the 『Joseon Cent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musical historical period of North Korean music since 1949 and what genre of music was the main genre and how it played a role. The contents of the music section described in the 『Joseon Central Yearbook』 from the first publication headquarters of the 『Joseon Central Yearbook』, which is a spatial literature of North Korea, to the last publication in South Korea in 2018, were selected as the scope of the study, and classified according to its content composition, editorial system change, and key terminology use.
      Through this method, the period of music history of North Korean music could be divided into two periods, centering on North Korean music.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period are the "revolutionary literary art" period, which appeared in the editing system of the music sector in the 1975 edition of the 『Joseon Central Yearbook』. Prior to this, in 1973, this paper introduced the "Research on Subjective Literature and Art," and after the "Research on Subjective Literature and Art" was introduced and described, most of the subjects were used in the literary and artistic sectors such as subjective art, sports, and subjective art. As a result,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on Subjective Literature" introduced in 1973 and the "Revolutionary Literature Art" introduced in 1975, North Korean music changed and the subject matter changed, but the "Research on Subjective Literature" in 1973 did not affect the editing system, and the "Revolutionary Literature Art" in 1975 continued to appear importantly despite four subsequent changes in the editing system, so this study classified the period before 1975 as the "Society Literature Art Period" and the period after 1975 as the "Subjective Revolutionary Literature Art Period."
      The main genres that led to the "Socialist Literature and Art Period" were national music and chorus. The period was divided into four sub-periods: the period of noble realism and people's music, the period of the foundation of war culture and socialist literary art, the period of the development of socialist literary art, and the period of the dissemination of revolutionary literary art. The main genres that led to the "subjective revolutionary literary art period" were instrumental and vocal (middle and chorus) genres. The period of establishment of revolutionary literary art, the period of the completion of Korean-style Juche literary art, the period of the construction of a cultural powerhouse as Juche literary art, and the period of the globalization of Juche literary ar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ⅴ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 1
      • 제2절 선행 연구 검토 = 3
      • 제3절 연구범위 및 방법 = 6
      • 국문요약 = ⅴ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 1
      • 제2절 선행 연구 검토 = 3
      • 제3절 연구범위 및 방법 = 6
      • 제2장 『조선중앙년감』의 예비적 검토 = 9
      • 제1절 창간 배경과 발행현황 = 9
      • 제2절 내용 구성 및 문학예술분야 편집체계 변화 검토 = 12
      • 제3절 핵심용어 사용에 따른 시기구분 = 23
      • 제4절 장르별 창작물 증가에 따른 주류 장르 검토 = 27
      • 제3장 통시적 북한음악 고찰 1: 사회주의 문학예술 = 36
      • 제1절 고상한 사실주의와 인민음악 시행기(1949~1950) = 37
      • 제2절 사회주의 문학예술 기초건설기(1951~1955) = 38
      • 제3절 사회주의문학예술의 발아기(1956) = 40
      • 제4절 혁명적문학예술 파종기(1957~1973) = 41
      • 제4장 통시적 북한음악 고찰 2: 주체혁명문학예술 = 48
      • 제1절 혁명적 종자를 바로잡은 혁명문학예술 정착기(1974~1981) = 48
      • 제2절 우리식 주체문학예술의 완성기(1982~1998) = 53
      • 제3절 주체문학예술로 사회주의 문명국 건설기(1999~2015) = 61
      • 제4절 주체문학예술의 세계화 시기(2016~2018) = 69
      • 제5장 결 론 = 73
      • 참고자료 = 76
      • 부록: 『 조선중앙년감』 수록 음악작품 = 79
      • ABSTRACT = 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