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역대 제학관(提學官) 제도의 변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598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조선 중기 이후의 제독관(提督官)?교양관(敎養官) 제도가 모델로 삼았던 중국의 제학관(提學官) 제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중국의 제학관은, 시기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조선 중기 이후의 제독관(提督官)?교양관(敎養官) 제도가 모델로 삼았던 중국의 제학관(提學官) 제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중국의 제학관은, 시기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지방교육에 관한 사무를 전담하는 관원?관서를 가리킨다. 중국에서 이제학관 제도가 처음 시행된 것은 송대로서, 북송 숭녕 2년(1103)에 노(路)에 제거학사사(提擧學事司)를 설치하고 제거학교관(提擧學校官) 또는 제거학사(提擧學事)를 파견한 것이 그것이다. 이전까지는 지방 장이(長貳), 즉 지방 여러 행정구역의 정?부 장관이 지방교육에 관한 사무를 관할하였는데, 이 때 처음으로 이전의 관행을 바꾸어 지방교육을 관장하는 별도의 전담 관서?관원을 두기 시작한 것이다. 송대에 처음 설치된 제거학사사는 원대의 유학제거사(儒學提擧司)와 명대의 제독학교관(提督學校官) 제도로 계승되었다. 이처럼 중국에서는 송대 이후 별도의 관서?관원을 두어 지방교육에 관한 사무를 독립적으로 관할하게 하는 지방교육 관리 체제가 정착되어갔다. 반면, 한국에서는 조선 중기 이후 중국의 제도를 모방하여 제독관?교양관을 설치하였지만 기존의 지방관 중심 교육 관리 체제가 근본적으로 변화하지는 않았다. 이것이 중국과 한국 전통사회의 지방교육 관리 체제상의 중요한 차이점 중의 하나인데, 이에 관해서는 향후 별도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머리말
      • Ⅱ. 송대의 제거학사사(提擧學事司)
      • Ⅲ. 원대의 유학제거사(儒學提擧司)
      • Ⅳ. 명대의 제독학교관(提督學校官)
      • 요약
      • Ⅰ. 머리말
      • Ⅱ. 송대의 제거학사사(提擧學事司)
      • Ⅲ. 원대의 유학제거사(儒學提擧司)
      • Ⅳ. 명대의 제독학교관(提督學校官)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中文摘要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宋榮凱, "論明代地方儒學提學官的設置、職責和作用" 11 (11): 1-4, 2009

      2 郭培貴, "試論明代提學制度的發展" 4 : 62-78, 1997

      3 王炳照, "簡明中國敎育史 第4版" 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08

      4 "皇明詔令"

      5 尹選波, "明代督學制度述論" 5 : 126-131, 1999

      6 오금성, "明代提學官制의 一硏究" 동양사학회 16 : 16-60, 1973

      7 沈紹輝, "我國敎育督導制度的産生與發展" 1 : 30-33, 1998

      8 "宋會要輯稿<崇儒>" 中華書局 1999

      9 "宋史<職官志>"

      10 苗春德, "宋代敎育" 河南大學出版社 1992

      1 宋榮凱, "論明代地方儒學提學官的設置、職責和作用" 11 (11): 1-4, 2009

      2 郭培貴, "試論明代提學制度的發展" 4 : 62-78, 1997

      3 王炳照, "簡明中國敎育史 第4版" 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08

      4 "皇明詔令"

      5 尹選波, "明代督學制度述論" 5 : 126-131, 1999

      6 오금성, "明代提學官制의 一硏究" 동양사학회 16 : 16-60, 1973

      7 沈紹輝, "我國敎育督導制度的産生與發展" 1 : 30-33, 1998

      8 "宋會要輯稿<崇儒>" 中華書局 1999

      9 "宋史<職官志>"

      10 苗春德, "宋代敎育" 河南大學出版社 1992

      11 "大明會典<禮部>(이상, 中國基本古籍庫(Ancient book Client) 所收)"

      12 "元史<刑法志>"

      13 "元典章<禮部>"

      14 王炳照, "中外敎育管理史" 湖南師範大學出版社 2000

      15 孫培靑, "中國敎育管理史" 人民敎育出版社 1996

      16 江銘, "中國敎育督導史" 人民敎育出版社 2003

      17 吳宣德, "中國敎育制度通史 第4卷" 山東敎育出版社 2000

      18 黃明光, "“明代省級敎育行政官員”-“提學”硏究" 2 : 16-21, 1998

      19 董興艶, "‘提調官’與明代地方敎育管理體系" 11 : 17-20,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5-05-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History or Education ->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교육사학회 -> 교육사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History o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56 1.46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