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어린이 이미지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어린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47713
청주시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초등교육학과초등교육전공 , 2016. 2
2016
한국어
372 판사항(22)
충청북도
ⅵ, 92 p.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권동택
참고문헌 : p.78-8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어린이 이미지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어린이...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어린이 이미지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어린이 이미지는 어떠한가?
둘째, 교사의 배경 변인(성별, 담당 학년별, 교육 경력별)에 따라 인식한 어린이 이미지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초점질문지를 통하여 50명의 초등학교 교사로부터 추출한 어린이 이미지 진술문 151개를 통합·편집하여 총 35개의 최종진술문을 확보하였다. 35개의 최종진술문으로 다차원척도분석 및 위계적 군집분석을 하였고, 초등학교 교사 138명에게 중요도 평정 질문지를 투입하여 35개의 각 진술문에 대한 중요도를 평정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는 어린이 이미지를 크게 ‘긍정적-부정적’ 차원과 ‘상황 관련-존재 관련’ 차원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어린이 이미지를 추출한 결과 4개의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각 군집명은 ‘자유롭고 열정적인 이미지’, ‘환경의 영향을 받는 미성숙한 이미지’, ‘자기중심적인 이미지’, ‘순수하고 선한 이미지’이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어린이 이미지에 대한 중요도 평정은 각 진술문별로 평균 2.81에서 평균 4.52까지 분포하였고, 전체 평균은 3.87이었다. 군집별 중요도는 ‘자유롭고 열정적인 이미지(군집1: M=4.19)’, ‘환경의 영향을 받는 미성숙한 이미지(군집2: M=4.07)’, ‘순수하고 선한 이미지(군집4: M=3.70)’, ‘자기중심적인 이미지(군집3: M=3.52)’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어린이 이미지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해 초등학교 교사는 어린이를 상황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상황을 창조하는 이미지로, 주변 세계 및 사물에 관심을 가지고 탐구하는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어른에 비해 신체 활동이 많고 끊임없이 체험을 통해 발달하는 존재로 인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사의 배경 변인(성별, 담당 학년, 교육 경력)에 따른 어린이 이미지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사실 또한 알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