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증산(姜甑山) 전승에 나타난 종도(從徒)의 양상과 주요 종도의 역할 비교 = The Aspects of Disciples in the Story of Kang Jeungsan and Comparison of Major Disciples’ Ro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98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강증산의 제자에 관한 기록인 『대순전경(大巡典經) 』의 초판(初版)(1929) 4장(章) ‘문도(門徒)의 추종(追從)과 훈회(訓誨)’ 구절의 증가 양상은 초판에서는 76절, 재판에서는 161절, 3판에서...

      강증산의 제자에 관한 기록인 『대순전경(大巡典經) 』의 초판(初版)(1929) 4장(章) ‘문도(門徒)의 추종(追從)과 훈회(訓誨)’ 구절의 증가 양상은 초판에서는 76절, 재판에서는 161절, 3판에서는 136절, 5판에서는 142절, 6판에서는 205절로 나타나고 있다. 재판에서 80여 절이 넘게 급격히 구절이 증가했으나 3판에서는 30여 절 가까이 줄어들고 5판을 거쳐 다시 6판에 가서는 초판보다 130여 절이 증가하며 ‘문도의 추종과 훈회’에 대한 전승을 『대순전경』은 형성시키고 있다.
      『전경(典經) 』(1974)에서 태운(太雲) 김형렬(1855-1932)은 제생(濟生)공사에 참여한 것이 월곡(月谷) 차경석(1880-1936), 인암(仁庵) 박공우(1876-1940)와 구별된다. 태운, 월곡, 인암은 모두 자신들이나 가족들이 제생을 받았으나 세 종도 중에서 제생 공사에 참여한 종도는 태운인 것으로 나타난다. 월곡은 천지공사에서 그의 집이 특정한 일을 하는 장소로 택해지고 월곡의 개인적 욕망이 공사(公事)에서 풀어지는 면을 볼 수 있다. 그것은 동학에 참여했던 신명(神明)들의 집단적 원(冤)을 푸는 데 수장(首長)의 위치에 월곡이 올라 자신의 욕망도 이루고 동학신명들의 원한도 해소되는 공사가 이루어진 것이다. 인암은 천지공사에서 강증산에게 도통(道通) 및 도술(道術)과 관련된 물음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난다. 인암은 개인의 도통 및 도술과 관련된 면과 함께 인암은 약방(藥房) 공사와 관련이 있는데 그것은 만국의원(萬國醫院)을 설치하는 공사이다. 인암은 만국의원을 설치하라는 명과 함께 만국대장(萬國大將)이라는 칭호도 얻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his death, records on the life of Kang Jeungsan Kang were first published by Sangho Lee (李祥昊) in his book Jeungsan Cheonsa Gongsagi (甑山天師公事記, 1926) and further published into a sixth edition in 1965, a year before Lee’s dea...

      After his death, records on the life of Kang Jeungsan Kang were first published by Sangho Lee (李祥昊) in his book Jeungsan Cheonsa Gongsagi (甑山天師公事記, 1926) and further published into a sixth edition in 1965, a year before Lee’s death.
      Among his disciples, Taewoon Kim Hyingryul (太雲 金亨烈, 1862-1932), Wolgok ChaGyungseok (月谷 車京石,1880-1936), and Inam Park Gongwoo (仁庵 朴公又, 1876-1940) are more important ones. Taewoon cared for Jeungsan from the beginning of Cheonjigongsa (天地公事). Taewoon asked Jeungsan questions related to intellectuals and Inam inquired about performing Taoist magic. Taewoon played a role in listening to the meaning of Cheonjigongsa (天地公事) and in going through miraculous religious experiences such as witnessing meeting and parting, obeying the God’s order of spirits. This witnessing and experiencing from Jeungsan is performed to enhance the faith of disciples, who feel the reality of Cheonjigongsa (天地公事).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