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교원교육 환경에서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기존의 면대면 집합연수에서 온라인 원격연수가 지배적인 형태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그러나 원격연수가 양적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774842
2018
-
교사교육 ; 교원연수 ; 직무연수 ; 온라인연수 ; 원격교육 ; 학습자 특성 ; Cyber education ; Remote education ; Online education ; Teacher training ; Teacher education
KCI등재
학술저널
215-239(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교원교육 환경에서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기존의 면대면 집합연수에서 온라인 원격연수가 지배적인 형태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그러나 원격연수가 양적으로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교원교육 환경에서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기존의 면대면 집합연수에서 온라인 원격연수가 지배적인 형태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그러나 원격연수가 양적으로 확대된 것은 분명하지만 그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이러한 변화가 교원의 연수에 대한 태도나 인식에서 어떠한 변화를 낳고 있는지에 관한 논의도 매우 미흡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먼저, 교육 환경 변화로 인한 교원의 연수 현황과 원격연수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원격연수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과 태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원격연수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결과 활용도를 비롯하여, 개선에 관한 요구 분석이 주된 연구 과제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원격연수 활성화와 연수제도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 교직 경력, 보직 여부, 성별 등에 따른 교원의 개인 특성 분석을 염두에 두고 조사도구를 개발하여 전국 초·중·고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먼저, 교원의 연수 실태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상이한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원격연수 비중은 교육기본통계조사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었으며, 또한 연수 주제에서도 교양·취미 분야에 편중된 것도 아니었다. 다음으로, 만족도, 참여도, 결과 활용도 등에서 교원 집단 간의 서로 다른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학교 교원이 중·고등학교 교원보다 연수에 대한 태도와 인식이 긍정적이었으며, 교직 경력에 따라서는 초임교원이 다른 경력집단의 교원보다 연수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한편, 본 연구의 조사는 다른 연구와 일관된 결과를 확인해 주기도 하였다. 즉, 자발적 동기에 의한 참여 집단이 비자발적 참여 집단에 비해 강좌 진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연수의 결과 활용도는 다른 무엇보다도 강좌의 주제와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로부터, 원격연수 개선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연수 강좌 및 프로그램 개발에서 반드시 학교급과 교직 경력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동일한 강좌를 개발하더라도 학교급을 구분하여 각기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초임교원의 교직 적응 및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과정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온라인 교육이 갖는 장점을 최대한 발현시키는 방향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이다. 시·도교육청 단위의 구획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시스템 개방 또는 연계 방안이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원격연수가 갖는 단점을 보완하는 방편으로 집합연수 시간을 일부 삽입하여 혼합연수 형태를 확대하는 시도는 재검토가 필요하다. 오히려 프로그램 및 시스템 개발을 통해 면대면 교육의 장점을 온라인상에서 구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rought a decisive change in the area of teacher education, and online training has become a dominant training tool replacing face-to-face training. Despite the rapid expansion in quan...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rought a decisive change in the area of teacher education, and online training has become a dominant training tool replacing face-to-face training. Despite the rapid expansion in quantity, the current states of distance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s perception on these programs are relatively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the current states of teachers’ use of distance education programs, and (b) teachers’ evaluation of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and participation in the distance education programs, and utilization of the program contents in their everyday teaching practice.
Online survey with 4,000 teachers nationwide revealed some findings contrary to those in the current National Education Statistics. Distance training was found to be the most widely-u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surpassing face-to-face training. Teachers selected distance learning courses related with pedagogy/teaching, guidance/counseling, or mandatory programs over courses about general education or hobbi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istently reported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than middle school t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Also, teachers in the beginning stages showed low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and participation in the distance training programs. Additionally, we found some result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literature. Those who participated voluntarily involved distance education courses more actively than those who participated involuntarily. Utilization of the distance training programs in teaching practice heavily depended on the course themes. Implication of the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in light of future direction of distan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Korea.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렬, "학교평가 결과의 효율적 활용" 16 (16): 184-199, 1998
2 정성수, "전국 시 · 도교육연수원의 교원연수과정 실태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29-51, 2017
3 백영균,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in ‘98 교육정책개발연구과제" 1999
4 하영자, "이러닝 성인학습자의 내재적 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른 학습지속의향, 만족도, 학업성취도의 예측"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5 (5): 49-67, 2010
5 한정선, "웹 기반 토론학습에서 교수자의 토론촉진전략에 따른 학습자의 인지적 참여도, 사회적 참여도, 만조도와의 관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5-30, 2007
6 김혜숙, "원교육연수원 직무연수 성과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5
7 최상근, "원격교육을 통한 교원 연수체제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1995
8 김혜숙, "원격교원연수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 분석" 교육연구소 17 (17): 437-459, 2016
9 김경화, "원격교원연수의 의의와 발전과제-방송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19 (19): 137-159, 2002
10 강명희, "원격교원연수에서 지각된 과제가치, ICT 활용능력, 학습 성과 간의 관계 규명" 교육연구원 27 (27): 59-81, 2011
1 박종렬, "학교평가 결과의 효율적 활용" 16 (16): 184-199, 1998
2 정성수, "전국 시 · 도교육연수원의 교원연수과정 실태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29-51, 2017
3 백영균,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in ‘98 교육정책개발연구과제" 1999
4 하영자, "이러닝 성인학습자의 내재적 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른 학습지속의향, 만족도, 학업성취도의 예측"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5 (5): 49-67, 2010
5 한정선, "웹 기반 토론학습에서 교수자의 토론촉진전략에 따른 학습자의 인지적 참여도, 사회적 참여도, 만조도와의 관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5-30, 2007
6 김혜숙, "원교육연수원 직무연수 성과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5
7 최상근, "원격교육을 통한 교원 연수체제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1995
8 김혜숙, "원격교원연수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 분석" 교육연구소 17 (17): 437-459, 2016
9 김경화, "원격교원연수의 의의와 발전과제-방송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19 (19): 137-159, 2002
10 강명희, "원격교원연수에서 지각된 과제가치, ICT 활용능력, 학습 성과 간의 관계 규명" 교육연구원 27 (27): 59-81, 2011
11 김용, "원격교원연수 질 제고를 위한 학습관리시스템기능 분석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569-577, 2014
12 하영자, "온라인 학습자의 과제가치와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577-598, 2010
13 교육개혁위원회,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교육개혁위원회 1995
14 정영식, "스마트 기술 혁신에 따른 원격교육연수원 운영 발전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15 경기도교육청, "새로운 교사연수프로그램(NTTP)모형 개발 연구" 경기도교육청 2011
16 주영주,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온라인과제가치와 만족도 및 성취도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115-135, 2008
17 이지연, "사이버강좌에서의 학습자 참여도 및 만족도에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9 (9): 27-61, 2006
18 임연욱, "사이버 학습자의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간의관계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6 (16): 177-200, 2008
19 유지원,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요인, 심리적 욕구 요인, 동기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학회 49 (49): 55-85, 2011
20 박혜정, "대학 교육에서 e-러닝의 학습효과와 관련된변인들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4 (24): 27-53, 2008
21 엄미리, "기업의 e-Learning 개발 유형에 따른 교육 효과성 비교"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297-316, 2008
22 김희규, "교직 생대단계별 연수체제 확립 방안 연구" 한국교육정책연구소 2016
23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24 교육부, "교육정보화백서" 2015
25 주영주, "교원의 원격연수프로그램 성과측정 도구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 (17): 53-64, 2014
26 김혜숙, "교원의 원격연수 참여 유형에 따른 직무역량 및 현업적용도 수준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43 (43): 99-122, 2016
27 전제상,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따른 교원연수지원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369-394, 2010
28 권성연, "교원 특성에 따른 원격교육연수 경험 및 선호도 차이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25-52, 2008
29 황재연, "교원 원격연수에서 학습자 배경변인과 온라인 학습전략에 따른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255-274, 2006
30 이윤식, "교원 연수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3
31 박수정, "교원 연수의 현업적용도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학회 53 (53): 103-129, 2015
32 김현진, "교원 역량 신장 측면에서의 원격교육연수원 현황 분석: 연수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33 Fredricks, J. A, "School engagement : Potential of the concept, state of the evidence" 74 (74): 59-109, 2004
34 Kirkpatrick, D. L,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Berrett-Koehler Publishers 1998
35 교육부, "2018년도 교원 연수 중점 추진방향" 교육부 2017
36 교육부, "2016년도 원격교육연수원 연수 운영 현황" 2016
37 유길상, "2013년 원격교육연수원 수요자 만족도 조사·분석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38 김자미, "2012년 원격교육연수원 수요자 만족도 조사·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2
39 김병찬, "1급정교사 자격연수제도의 명(明)과 암(暗) - 1급정교사 자격연수 과정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135-164, 2008
대학 플립러닝의 학습자 중심성에 대한 학습자의 경험 연구
대학 교양영어 수준별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고등교육 영역에서의 직업교육과 교양교육의 통합적 접근 가능성 탐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12-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8 | 1.48 | 1.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2 | 1.53 | 1.481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