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바르트 연구에 있어서 바르트의 변증법적 신학과 그의 교회교의학에 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진전되어 있는데 반해 변증법적 신학으로부터 교의학신학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서 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바르트 연구에 있어서 바르트의 변증법적 신학과 그의 교회교의학에 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진전되어 있는데 반해 변증법적 신학으로부터 교의학신학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서 바...
한국의 바르트 연구에 있어서 바르트의 변증법적 신학과 그의 교회교의학에 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진전되어 있는데 반해 변증법적 신학으로부터 교의학신학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서 바르트 신학사상의 전환적인 계기가 된 그의 안셀름 연구서인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Fides quaerens intellectum)에 대해서는 그리 많은 연구가 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바르트의 이 과도기적인 단계의 신학에 대해 명확한 연구와 평가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바르트 신학 연구에 약간의 혼선을 주고 있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바르트의 이 과도기적신학에 대한 연구의 지평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그의 교의학적 신학의 원리를 분명히 하고자 하는데 본 논문의 연구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연구목적에 맞게 바르트의 안셀름 연구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그과정을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바르트의 안셀름 연구서는 단순한 기획서가 아니라,바르트의 교회교의학 신학의 방법론적인 토대를 이루게 됨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그런 다음 바르트의 이 전환기적 저술에 대해 비판적인 문제제기들을 살펴보고자한다. 여기서는 바르트의 안셀름 해석이 얼마나 정당성을 가질 수 있는가에 논의의 초점이 맞추어졌던 만큼, 바르트의 안셀름 해석의 정당성을 위주로 다루고자 한다. 다음으로 안셀름의 존재론적 신존재증명의 신학적 방법론이 된 “이해하기 위해 믿는다”(credo ut intelligam)를 바르트가 어떻게 자신의 교의학적인 신학에 수용하고 또 자신의 고유한 방법으로 변형을 시켰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바르트가 안셀름으로부터 획득한 이러한 신학방법론은 변증법적 신학과의 결별이후 바르트 자신이 찾고 있던 새로운 신학적 인식방법론의 기초를 이룬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될것이다. 끝으로 신학을 인간의 인식 위에 기초지우려는 시대적 경향 즉, 데카르트(Decartes)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cogito ergo sum)의 인식원리에기초한 신학방법론에 대한 대안으로서 바르트는 안셀름의 인식방법론을 제시하고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오늘날의 신학방법론 논의에 대한 대안제시를 대신할 수 있으리라 본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철호, "현대신학과 현대개혁신학"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2
2 Anselm, G. Proslogion, "프로슬로기온" 한들출판사 2005
3 박성규, "신학의 과제와 설교의 과제의 일치성에 대한 연구 칼 바르트의 신학과 설교를 중심으로" 한국조직신학회 (25) : 217-252, 2009
4 Barth, Karl, "Römerbrief" TVZ 1922
5 Barth, Karl., "Offenbarung, Kirche, Theologie, In Theologische Fragen und Antworten" 1986
6 Barth, Karl, "Menschenwort und Gotteswort in der christlichen Predigt, In Vorträge und kleinere Arbeiten 1922-1925" 1990
7 Descarte, R, "Meditationes de prima philolophia/Meditationen über die Grundlagen der Philosophie"
8 Gogarten, F, "Karl Barths Dogmatik" 1-, 1929
9 Beintker, M., "Karl Barth in Deutschland(1921-1935): Aufbruch-Klärung-Widerstand" 2005
10 Flasche, K., "Kann Gottes Nicht-Sein gedacht werden?, In Die Kontroverse zwischen Anselm von Canter-bury und Gaunilo von Marmoutiers" DVB 1989
1 윤철호, "현대신학과 현대개혁신학"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2
2 Anselm, G. Proslogion, "프로슬로기온" 한들출판사 2005
3 박성규, "신학의 과제와 설교의 과제의 일치성에 대한 연구 칼 바르트의 신학과 설교를 중심으로" 한국조직신학회 (25) : 217-252, 2009
4 Barth, Karl, "Römerbrief" TVZ 1922
5 Barth, Karl., "Offenbarung, Kirche, Theologie, In Theologische Fragen und Antworten" 1986
6 Barth, Karl, "Menschenwort und Gotteswort in der christlichen Predigt, In Vorträge und kleinere Arbeiten 1922-1925" 1990
7 Descarte, R, "Meditationes de prima philolophia/Meditationen über die Grundlagen der Philosophie"
8 Gogarten, F, "Karl Barths Dogmatik" 1-, 1929
9 Beintker, M., "Karl Barth in Deutschland(1921-1935): Aufbruch-Klärung-Widerstand" 2005
10 Flasche, K., "Kann Gottes Nicht-Sein gedacht werden?, In Die Kontroverse zwischen Anselm von Canter-bury und Gaunilo von Marmoutiers" DVB 1989
11 Jüngel, E., "Gott als Geheimnis der Welt, In Zur Begründung der Theologie des Gekreuzigten im Streit zwischen Theismus und Atheismus" 1978
12 Dalferth, I. U, "Fides quaerens intellectum: Theologie als Kunst der Armumentation in Anselms Proslogion" 81 : 1984
13 Barth, Karl, "Fides quaerens intellectum: Anselms Beweis der Existenz Gottes im Zusammenhnang seines theologischen Programms" TVZ 1981
14 Barth, Karl, "Fides quaerens intellectum, In Gesamtausgabe Abt. II" TVZ 1981
15 Barth, Karl, "Die christliche Dogmatik im Entwurf" 1927
16 Beintker, M, "Die Dialektik in der ‘dialektischen Theologie’ Karl Barths: Studien zur Entwicklung der Barthschen Theologie und zur Vorgeschichte der Kirchlichen Dogmatik" 101 : 1987
17 Müller, H. M, "Credo, ut intelligam" 7 : 1928
18 Diem, H., "Credo ut intelligam. Ein Wort zu Hans Michael Müllers Kritik an Karl Barths Dogmatik" 1928
19 Barth, Karl, "Briefwechsel. Band 2: 1921-1930" TVZ 1974
20 Barth, Karl, "Briefwechsel 1922-1966, In Gesamtausgabe Abt" TVZ 1971
21 Barth, Karl, "Brief an Nelly Barth" 1941
22 Schmidt, F. S, "Anselmi Canturaiensis Archiepiscopi Opera Omnia I" O.S.B 1938
소비문화의 종교성과 소비 이데올로기 비판 - 소비인간의 이미지와 대리적 소비를 중심으로
신학적 행위와 종말론적 예술로서의 예배에 대한 신학적 이해 : -회상(Anamnetic)과 청원(Epicletic)으로서의 예배 신학 정립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