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세기 미제국 행보의 역사적 회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501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9․11 테러 이후 미국의 일방 주의적 대외정책 기조에 대해 많은 지식인들이 비판하고 있고, 이러한 정책 기조가 새로운 제국의 탄생으로 이어졌다는 탄식이 있으나, 이러한 시점에서 실제로 미국의 정책기조가 어떻게 유지되어 왔는가를 역사적으로 되짚어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으로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대외정책적 행보가 어떻게 진행되어왔는가를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접근하여 보고, 이러한 행보가 과연 제국주의적이었는가에 대해 심층적 분석을 시도하여 보았다. 연구에 의하면 미국의 대외정책 기조는 명백하게 제국주의적 속성을 가지고 지속되어 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론, 오늘날의 미국 대외정책 기조를 과거의 식민주의에 기초한 제국주의로 바라보는 것은 커다란 오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대외정책 기조가 영토주의의 형태를 벗어났을지는 몰라도 민족국가의 경계를 벗어나 전세계적으로 통합되는 형태가 아니라 여전히 미국을 중심으로 비미국적인 것들과 경쟁하며 생존하기 위해 팽창하려한다는 속성을 나타낸다면 이는 전통적인 약탈적 제국주의와 크게 다르다고는 볼 수 없을 것이다.
      번역하기

      9․11 테러 이후 미국의 일방 주의적 대외정책 기조에 대해 많은 지식인들이 비판하고 있고, 이러한 정책 기조가 새로운 제국의 탄생으로 이어졌다는 탄식이 있으나, 이러한 시점에서 실...

      9․11 테러 이후 미국의 일방 주의적 대외정책 기조에 대해 많은 지식인들이 비판하고 있고, 이러한 정책 기조가 새로운 제국의 탄생으로 이어졌다는 탄식이 있으나, 이러한 시점에서 실제로 미국의 정책기조가 어떻게 유지되어 왔는가를 역사적으로 되짚어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으로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대외정책적 행보가 어떻게 진행되어왔는가를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접근하여 보고, 이러한 행보가 과연 제국주의적이었는가에 대해 심층적 분석을 시도하여 보았다. 연구에 의하면 미국의 대외정책 기조는 명백하게 제국주의적 속성을 가지고 지속되어 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론, 오늘날의 미국 대외정책 기조를 과거의 식민주의에 기초한 제국주의로 바라보는 것은 커다란 오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대외정책 기조가 영토주의의 형태를 벗어났을지는 몰라도 민족국가의 경계를 벗어나 전세계적으로 통합되는 형태가 아니라 여전히 미국을 중심으로 비미국적인 것들과 경쟁하며 생존하기 위해 팽창하려한다는 속성을 나타낸다면 이는 전통적인 약탈적 제국주의와 크게 다르다고는 볼 수 없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intellectuals criticize the reinforced unilateralism of the US foreign policy after the events of September 11, 2001, and grieve over the establishment of a new Empire. At this point, it seems very valuable to investigate, through historical retrospect, how the keynote of the US foreign policy has been maintained. This study approaches the deployment of the US foreign policy on the basis of historical events, and examines profoundly whether the policy keynote has been imperialistic or not. From the analyses, I found that the past keynote of the US foreign policy has been apparently imperialistic. To be sure, the imperialistic feature of the US keynote is not based on the past colonialism or territorial expansionism. However, if the US foreign policy does not intend to accomplish an idealistic integration over the boundaries of nation states, and tries to survive by expanding its power and hostilely competing with non-American values, it could be called exploitatively imperialistic.
      번역하기

      Many intellectuals criticize the reinforced unilateralism of the US foreign policy after the events of September 11, 2001, and grieve over the establishment of a new Empire. At this point, it seems very valuable to investigate, through historical retr...

      Many intellectuals criticize the reinforced unilateralism of the US foreign policy after the events of September 11, 2001, and grieve over the establishment of a new Empire. At this point, it seems very valuable to investigate, through historical retrospect, how the keynote of the US foreign policy has been maintained. This study approaches the deployment of the US foreign policy on the basis of historical events, and examines profoundly whether the policy keynote has been imperialistic or not. From the analyses, I found that the past keynote of the US foreign policy has been apparently imperialistic. To be sure, the imperialistic feature of the US keynote is not based on the past colonialism or territorial expansionism. However, if the US foreign policy does not intend to accomplish an idealistic integration over the boundaries of nation states, and tries to survive by expanding its power and hostilely competing with non-American values, it could be called exploitatively imperialisti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제국주의 태동기로서의 초기 미국의 영토적 팽창
      • Ⅲ. 신강대국의 제국주의적 발전
      • Ⅳ. 냉전 시기의 제국주의적 전개
      • Ⅴ. 냉전 이후의 미국 제국주의의 변화
      • Ⅰ. 서론
      • Ⅱ. 제국주의 태동기로서의 초기 미국의 영토적 팽창
      • Ⅲ. 신강대국의 제국주의적 발전
      • Ⅳ. 냉전 시기의 제국주의적 전개
      • Ⅴ. 냉전 이후의 미국 제국주의의 변화
      • Ⅵ. 제국주의적 정책의 전개 양태에 대한 분석
      • Ⅶ.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