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화 이후 나타난 직업세계의 빠른 변화와 경제침체로 인한 고용불안정은 진로결정 및 직업세계로의 진출을 앞둔 대학생들에게 큰 스트레스 요인이자 최고의 고민으로 손꼽힌다. 이런 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906713
서울 :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 2018. 8
2018
영어
서울
112 ; 26 cm
지도교수: 이동혁
I804:11004-20000010211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산업화 이후 나타난 직업세계의 빠른 변화와 경제침체로 인한 고용불안정은 진로결정 및 직업세계로의 진출을 앞둔 대학생들에게 큰 스트레스 요인이자 최고의 고민으로 손꼽힌다. 이런 시...
산업화 이후 나타난 직업세계의 빠른 변화와 경제침체로 인한 고용불안정은 진로결정 및 직업세계로의 진출을 앞둔 대학생들에게 큰 스트레스 요인이자 최고의 고민으로 손꼽힌다. 이런 시대적 흐름에 맞춰 부상하게 된 개념인 진로적응성은 심리사회적 자원으로서 개인이 진로에 관련한 발달과업과 변화들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예측할 수 없는 미래로의 전환과 적응을 위한 능력이라 정의된다. 진로적응성은 긍정적인 심리적·사회적 자원과 인지적 기술의 집합체로서 현 시대를 살고 있는 개인들에게는 필수불가결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이를 반영하듯, 진로적응성을 측정하는 검사도구가 세계 곳곳에서 개발되고 타당화되었으며 이는 진로적응성에 대한 연구를 본격화시켰다. 이 후, 국내에서도 진로적응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해마다 진행되어졌으나 아직 이를 하나로 정리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진로적응성 연구들을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분석하여 진로적응성이란 무엇이며 이와 관련된 변인들은 무엇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진로적응성과 연관을 보인 변인들로는 진로장벽, 진로탐색행동, 진로관련행동, 계획된 우연기술, 자기주도학습, 강점활용, 진로소명,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의사결정자율성, 진로의사결정자기효능감, 성격강점, 내적통제, 불확실성에 대한 불관용, 삶의 만족, 낙관성, 긍정심리자본, 셀프리더십과 사회자본으로 확인되었으며 확인된 변인들은 각각 진로적응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혹은 부적인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로적응성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을 분류하고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학문적인 통합에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 한 그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의미를 제공함으로서 국내 대학생들의 보다 건강한 진로발달과 진로적응성을 향상시켜 추후의 삶의 만족으로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다방면적 진로상담적 개입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의의와 함께 본 연구의 구체적인 함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서술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work environment becomes more volatile and uncertain, adaptability is becoming significantly important for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success. Career adaptability is a psychosocial resource for adapting to changes in career-related circumst...
As the work environment becomes more volatile and uncertain, adaptability is becoming significantly important for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success. Career adaptability is a psychosocial resource for adapting to changes in career-related circumstances and managing tasks and transitions. As a central construct of Career Construction Theory and the field of vocational psychology, a large amount of research on career adaptability have been published over the year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areer adaptability and its related variables for college students by synthesizing the findings of past research. A total of 125 effect sizes and 57 primary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meta-analysis. The effect size was correlation and the analysis was based on random-effects model due to the heterogeneity of individuals studies. The variables related to career adaptability identified in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Career Barrier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ccupational Engagement, Planned Happenstance Skills, Self-Regulated Learning, Strengths Use, Calling,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haracter Strength, Internal Locus of Control, Intolerance of Uncertainty, Life Satisfaction, Optimism,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Leadership, and Social Capital. All of the variables above showed either positive or negative association to career adaptability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sizes. Moreover, sub-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moderating variables which were publication status and measurement instrument.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positive psychosocial resources of college students' for their successful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adaptability that leads to their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analysis as well as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