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사서보조 일자리 참여를 통해 지적장애 사서보조 고용과정의 특징과 사서보조 일자리 참여에 있어 지적장애인 당사자와 특수교사와 사서를 포함하는 주변인의 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54397
2013
Korean
지적장애 ; 사서보조 ; 고용 ; 역할 ; Intellectual Disabilities ; Librarian Assistants ; Employment ; Roles
379.05
KCI등재
학술저널
203-223(21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사서보조 일자리 참여를 통해 지적장애 사서보조 고용과정의 특징과 사서보조 일자리 참여에 있어 지적장애인 당사자와 특수교사와 사서를 포함하는 주변인의 역...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사서보조 일자리 참여를 통해 지적장애 사서보조 고용과정의 특징과 사서보조 일자리 참여에 있어 지적장애인 당사자와 특수교사와 사서를 포함하는 주변인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는 지적장애 사서보조 3명과 이들의 특수교사 3명, 이들의 사서 3명이 참여하였으며,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영역분석을 통해 주제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사서보조 지원의 이유와 고용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지적장애 사서보조의 직업적 성공요인에 대한 사서보조 당사자의 자질과 능력 및 주변인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특수교사, 사서, 교직원 및 이용 학생, 교육청, 부모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적장애 사서보조의 직업적 성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proces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librarian assistants and the roles bystanders to support for the librarian assistants. Face-to-face interviews were implem...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proces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librarian assistants and the roles bystanders to support for the librarian assistants. Face-to-face interviews were implemented with three librarian assista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e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ree librarian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ason of seeking a librarian assistant position and the problems of recruiting process of librarian assista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figured out. As well, the personal factor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roles of bystanders includ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librarians, school staffs and students, school districts, and parents were influential to sustain librarian assistants' work. These roles were figured out to influence for librarian assista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succeed in their voc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인수, "특수학교를 졸업한 지적장애 근로자의 직업 성공요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 이효성, "커리어점프 희망일자리 만들기 프로젝트: 서울특별시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174, 2012
3 변용찬, "취업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15 (15): 153-171, 2005
4 정지훈, "직업재활전문가와 고용주가 인식하는 성공적인 고용요인에 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5 박희찬, "직업재활 전문인력 정책 현황과 방향" 한국직업재활학회 15 (15): 25-43, 2005
6 강민주, "지적장애인의 직업성공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9
7 한경은, "지적·자폐성 장애학생의 도서관현장실습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 최선실, "지원고용된 지적장애인 근로자 지원을 위한 동료근로자 개입 중재의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1 (21): 217-245, 2011
9 김성철, "중증장애인의 고용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10 오영석, "정신지체 및 자폐성 장애 학생 직종 개발" 18 (18): 3-90, 2011
1 전인수, "특수학교를 졸업한 지적장애 근로자의 직업 성공요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 이효성, "커리어점프 희망일자리 만들기 프로젝트: 서울특별시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174, 2012
3 변용찬, "취업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15 (15): 153-171, 2005
4 정지훈, "직업재활전문가와 고용주가 인식하는 성공적인 고용요인에 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5 박희찬, "직업재활 전문인력 정책 현황과 방향" 한국직업재활학회 15 (15): 25-43, 2005
6 강민주, "지적장애인의 직업성공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9
7 한경은, "지적·자폐성 장애학생의 도서관현장실습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 최선실, "지원고용된 지적장애인 근로자 지원을 위한 동료근로자 개입 중재의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1 (21): 217-245, 2011
9 김성철, "중증장애인의 고용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10 오영석, "정신지체 및 자폐성 장애 학생 직종 개발" 18 (18): 3-90, 2011
11 최동선, "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유관기관 간협력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03-309, 2010
12 박희찬, "우리나라 직업재활사 양성 교육과정 고찰" 한국직업재활학회 13 (13): 129-155, 2003
13 교육부, "각급학교 내 장애인일자리 워크숍 자료집"
14 Fillary, R., "Workplace culture analysis wher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ork : A case study approach" 30 (30): 176-180, 2005
15 Mautz, D., "Increasing integrated workplace social interaction : The effects of job modification, natural supports, adaptive communication instruction, and job coach training" 26 (26): 257-269, 2001
16 Cramm, J., "Colleagues' perception of supported employee performance" 5 (5): 269-275, 2008
17 국립특수교육원, "2012년 직무연수 제31기 특수학교 직업교육 담당교사 과정 연수교재"
초등학교 영어교과 전담교사의 통합수업에 대한 인식이 교수적 수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에서 스마트러닝의 개념화와 실천방안에 대한 전문가 인식 탐색
특수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측정을 위한 척도 타당화 연구
보편적 학습 설계의 적용 및 실행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교사의 인식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7-03-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enal of Special Education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7-07-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enal of Special Educ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7-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특수교육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69 | 0.715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