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서적 문제, 비행, 학업스트레스 및 진로성숙도가 고등학생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s of emotional problem, delinquency, academic stress, and career maturity on suicidal thoughts of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74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predictors of suicidal idea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pecially verified an independent impact of career maturity on suicidal thought. This research used the 7th welfare panel data of KIHS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ender, emotional problem(depression and anxiety), delinquency, academic stress and vocational maturity independently influenced on suicidal idea. Greater emotional problem and severe delinquent and higher academic stress were related to more suicidal idea and higher career maturity was associated with fewer suicidal thought. And, female students reported more suicidal idea than male students. Total explanatory variance of final regression model was 24.1 perc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clinicians and researchers should consider together emotional problem, delinquency, and academic stress to more deeply understand for teenager’s suicide thought. Especially, helping of parent and school for increasing career maturity may be important to prevent suicide of adolescents
      번역하기

      This study identified predictors of suicidal idea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pecially verified an independent impact of career maturity on suicidal thought. This research used the 7th welfare panel data of KIHS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

      This study identified predictors of suicidal idea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pecially verified an independent impact of career maturity on suicidal thought. This research used the 7th welfare panel data of KIHS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ender, emotional problem(depression and anxiety), delinquency, academic stress and vocational maturity independently influenced on suicidal idea. Greater emotional problem and severe delinquent and higher academic stress were related to more suicidal idea and higher career maturity was associated with fewer suicidal thought. And, female students reported more suicidal idea than male students. Total explanatory variance of final regression model was 24.1 perc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clinicians and researchers should consider together emotional problem, delinquency, and academic stress to more deeply understand for teenager’s suicide thought. Especially, helping of parent and school for increasing career maturity may be important to prevent suicide of adolesc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살사고를 예측하는 변인들의 독립적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특히 다른 변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청소년 자살에 대한 진로성숙도의 독립적인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7차 복지패널자료 중 청소년 자료(496명)를 활용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1단계에서 성별 변인을 투입하였고, 2단계에서는 정서적 문제(우울과 불안), 비행 및 학업스트레스를 투입하였고, 3단계에서는 진로성숙도를 투입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성별, 정서적 문제, 비행, 학업스트레스가 고등학생의 자살사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자살사고 점수가 더 높았고, 정서적 문제와 비행문제가 클수록, 학업스트레스가 클수록 자살사고 점수가 더 높았다. 특히, 이러한 변인들을 모두 통제한 상태에서 진로성숙도의 독립적인 영향력이 유의했으며, 진로성숙도가 높을수록 자살사고 점수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최종 회귀식의 설명량은 24.1%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등학생 시기의 자살사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우울 및 불안 수준과 함께, 비행 행동 및 학업스트레스의 정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특히, 이시기의 중요한 발달과업 중 하나인 진로 탐색 및 선택과 관련된 진로성숙도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부모와 학교가 조력하는 것이 청소년기의 자살을 예방하는데 일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살사고를 예측하는 변인들의 독립적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특히 다른 변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청소년 자살에 대한 진로성숙도의 독립적인 영향력을 확인하...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살사고를 예측하는 변인들의 독립적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특히 다른 변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청소년 자살에 대한 진로성숙도의 독립적인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7차 복지패널자료 중 청소년 자료(496명)를 활용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1단계에서 성별 변인을 투입하였고, 2단계에서는 정서적 문제(우울과 불안), 비행 및 학업스트레스를 투입하였고, 3단계에서는 진로성숙도를 투입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성별, 정서적 문제, 비행, 학업스트레스가 고등학생의 자살사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자살사고 점수가 더 높았고, 정서적 문제와 비행문제가 클수록, 학업스트레스가 클수록 자살사고 점수가 더 높았다. 특히, 이러한 변인들을 모두 통제한 상태에서 진로성숙도의 독립적인 영향력이 유의했으며, 진로성숙도가 높을수록 자살사고 점수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최종 회귀식의 설명량은 24.1%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등학생 시기의 자살사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우울 및 불안 수준과 함께, 비행 행동 및 학업스트레스의 정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특히, 이시기의 중요한 발달과업 중 하나인 진로 탐색 및 선택과 관련된 진로성숙도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부모와 학교가 조력하는 것이 청소년기의 자살을 예방하는데 일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래, "학교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비행과의 관계 : 지위비행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3) : 33-63, 2007

      2 정영해, "필리핀 청소년의 우울, 불안에 따른 자살위험성"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3 (13): 127-142, 2012

      3 김도영, "청소년활동과 비행 간의 경로모형 검증 -자기효능감, 적응유연성, 진로성숙도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57-182, 2013

      4 최인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19-243, 2014

      5 우채영,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변인들 간의 다차원적 구조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19-240, 2011

      6 김갑숙, "청소년의 우울, 불안과 충동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21 (21): 903-913, 2012

      7 정동하,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비행행동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로분석" 한국가족복지학회 16 (16): 171-187, 2011

      8 통계청, "청소년 통계" 통계청 2014

      9 원경림, "중학생의 가정폭력피해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59-85, 2014

      10 이윤주,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살생각 및 시도와 소외감 및 진로장벽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6 (16): 69-85, 2008

      1 김혜래, "학교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비행과의 관계 : 지위비행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3) : 33-63, 2007

      2 정영해, "필리핀 청소년의 우울, 불안에 따른 자살위험성"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3 (13): 127-142, 2012

      3 김도영, "청소년활동과 비행 간의 경로모형 검증 -자기효능감, 적응유연성, 진로성숙도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57-182, 2013

      4 최인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19-243, 2014

      5 우채영,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변인들 간의 다차원적 구조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19-240, 2011

      6 김갑숙, "청소년의 우울, 불안과 충동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21 (21): 903-913, 2012

      7 정동하,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비행행동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로분석" 한국가족복지학회 16 (16): 171-187, 2011

      8 통계청, "청소년 통계" 통계청 2014

      9 원경림, "중학생의 가정폭력피해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59-85, 2014

      10 이윤주,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살생각 및 시도와 소외감 및 진로장벽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6 (16): 69-85, 2008

      11 양원영, "인문계 고등학생의 입시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 우울에 따른 매개효과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1 (11): 59-73, 2013

      12 곽수진,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자살 생각 관련요인 분석" 한국학교보건학회 22 (22): 103-111, 2009

      13 박광배, "고등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10 (10): 298-314, 1991

      14 오승환,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 -우울․자아존중감․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6 : 53-73, 2009

      15 곽영숙, "고등학생 자살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학생 스스로 지각하는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2 (22): 294-301, 2011

      16 김옥희, "고교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인과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177-191, 2010

      1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Youth Risk Behavior Surveillance System—United States, 2011" 1-162, 2012

      18 Super, D. E., "The psychology of careers" Harper & Brothers 1957

      19 Van orden, K. A., "The 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 117 (117): 575-600, 2010

      20 Wasserman, G. A., "Suicide risk at juvenile justice intake" 36 : 239-249, 2006

      21 Bhatta, M. P., "Suicidal behaviors among adolescents in juvenile detention: Role of adverse life experiences" 9 (9): e89408-, 2014

      22 Bae, S. M., "Prediction by data mining of suicide attempts in Korean adolescents : a national study" 11 : 2367-2375, 2015

      23 Memory, J. M., "Juvenile suicides in secure detention facilities: Correction of published rates" 13 : 455-463, 1989

      24 Hayes, L. M., "Juvenile suicide in confinement: A national survey (NCJ 213691)" Office of Juvenile Justice and Delinquency Prevention 2009

      25 Lee, J. Y., "Intra-personal and extra-personal predictors of suicide attempts of South Korea adolescents" 36 (36): 428-444, 2015

      26 Smedley, M.,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among adjudicated and nonadjudicated male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40 : 108-122, 2003

      27 Bauer, R., "Depression, delinquency, and suicidal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35 (35): 36-41, 2014

      28 Nguyen, D. T.,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al ideation among Vietnamese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proposed solutions : a cross-sectional study" 13 : 1195-1213, 2013

      29 Crites, J. O., "Career Maturity Inventory: theory and research handbook" CTB/McGraw-Hill 1978

      30 Thompson, M. P., "Associations between delinquency and suicidal behaviors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adolescents" 36 (36): 57-64,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