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두빈, "한국의 민화 III : 물고기․글씨 그림" 서문당 1991
2 정재서, "한국도교의 기원과 역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6
3 이인범, "조선예술과 야나기 무네요시" (주)시공사 1999
4 나카미 마리, "야나기 무네요시 평전" 효형출판 2003
5 "선문대학교박물관 명품도록 민화편" 선문대학교출판부 2003
6 "사랑 : 매혹의 우리민화 전시회도록" 호암갤러리 1998
7 박일우, "민화의 기호학 : 민화 양식의 기호학적 이해" 불어불문학회 41 (41): 161-185, 2000
8 "민화의 계곡 I : 조선민화박물관 소장품" (주)다할미디어 2010
9 박일우, "민화 <문자도>의 기호학적 해석" 한국프랑스연구회 30 : 91-112,
10 "민화" 계명대학교박물관 2004
1 임두빈, "한국의 민화 III : 물고기․글씨 그림" 서문당 1991
2 정재서, "한국도교의 기원과 역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6
3 이인범, "조선예술과 야나기 무네요시" (주)시공사 1999
4 나카미 마리, "야나기 무네요시 평전" 효형출판 2003
5 "선문대학교박물관 명품도록 민화편" 선문대학교출판부 2003
6 "사랑 : 매혹의 우리민화 전시회도록" 호암갤러리 1998
7 박일우, "민화의 기호학 : 민화 양식의 기호학적 이해" 불어불문학회 41 (41): 161-185, 2000
8 "민화의 계곡 I : 조선민화박물관 소장품" (주)다할미디어 2010
9 박일우, "민화 <문자도>의 기호학적 해석" 한국프랑스연구회 30 : 91-112,
10 "민화" 계명대학교박물관 2004
11 윤열수, "문자도를 통해 본 민화의 지역적 특성과 작가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6
12 윤열수, "문자도" 대원사 1993
13 이명구, "동양의 타이포그라피 文字圖" Leedia 2005
14 홈스 펠치, "도교의 세계 ― 철학, 과학, 그리고 종교" ㈜사회평론 2011
15 장중혜, "나시족 동파문자의 시각적 감성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7 (7): 1010-1014, 2009
16 김성도, "그라마톨로지" 민음사 2010
17 설영화, "納西 東巴文字의 符號標識 分析" 중국인문학회 285-305, 2008
18 박일우, "‘조형’과 ‘정념’ - 파리기호학파 회화 분석의 비판적 수용" 한국프랑스학회 74 : 65-86, 2011
19 "http://www.omniglot.com/writing/naxi.htm#dongba"
20 "http://sinoglot.com/naxi/"
21 "http://shungaku.jp/index.html"
22 Boudon, P., "Les ordres de la figuration, In La sémiotique visuelle : nouveaux paradigmes, Coll. Bibliothéque Visio" Harmattan 133-155, 2010
23 Leroi-Gourhan, André, "Le geste et la parole, I. Technique et langage, Coll. Sciences d'aujourd'hui" Edition Albin Michel 1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