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구성 트레이닝이 과체중 남성의 신체구성 및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630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구성과 비만 남성의 염증 요인에 대한 지구력 훈련의 효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일반인 과체중 남성 16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16명 중 8명 씩 임의 배...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구성과 비만 남성의 염증 요인에 대한 지구력 훈련의 효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일반인 과체중 남성 16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16명 중 8명 씩 임의 배정하여 신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p<.05) 통제군(control group)과 실험군(experimental group)으로 분류하였다. 실험 집단은 종단적 실험설계로 3km 달리기가 신체조성 및 염증인자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피험자들에게 부하한 운동은 400m 트랙에서 3km 달리기를 주 5회, 12주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은 어떤 훈련도 받지 않았다. 대상자들은 알부민 및 호중구 플라즈마 WBC의 농도를 측정하는 사전 및 사후 2번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처리는 통계프로그램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인별로 기술통계치(M, SD)를 산출하여 도표화하고 운동 참여 전, 12주 후 시기×집단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이 있는 이원변량반복분석(two-way repeated ANOVA)을 실시하였다. 검증으로 실험 전·후 각 집단 간의 평균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diff를 산출하여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p<.05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첫째, 신체 구성에 의하면, 무게는 수준 (P<0.01)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를 나타냈지만, BMI는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룹 (p<0.01) 사이 둘째, 플라즈마 WBC 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가 나타났다. 셋째, (p<0.001) 그룹 간에 혈장 알부민 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가 나타났다 . 넷째, 플라즈마 호중구 레벨, 레벨 사이에 상당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지구력 훈련 시 긍정적으로 신체 구성 및 염증 성 요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the effects of enduranc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inflammatory markers in overweight male. For this study, 16 overweight males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ized divided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the effects of enduranc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inflammatory markers in overweight male. For this study, 16 overweight males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ized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n=8) and experimental group(n=8). Experimental group was trained 3km running program during 12 weeks(5 days per week). However, control group did not undergo any training. Before- and after-examination respectively, took a measurement of body composition and blood samples were took 2 times, which were at pre- and post-experiment,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plasma WBC, albumin and neutrophil. The analyzed data brought about the following results by using two-way repeated ANOVA and %diff independent samples t-test with SPSS 18.0.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body composition, weigh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level(p<.01), but BMI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group. Second, according to plasma WBC level,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group(p<.01). Third, according to plasma albumin level,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group(p<.001). Fourth, according to plasma neutrophil level, no significant between level. From the result, endurance training may positively effects on body composition and inflammatory mark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규, "평지와 내리막 달리기 수행이 creatine kinase 활성도와 백혈구 및 혈중 HSP72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6 (16): 115-124, 2007

      2 공경민, "중년 비만여성의 혈관염증 관련 지표" 대한스포츠의학회 25 (25): 7-17, 2007

      3 조남형, "유산소운동이 중년여성 고지혈증과 당뇨 환자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염증반응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41 (41): 637-644, 2010

      4 변재철, "유산소성 운동이 백혈구, 혈청 알부민 및 C-반응성 단백 농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4 (14): 11-20, 2003

      5 박경득, "운동이 대사증후군의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6 백영호, "신체조성의 기초" 4 : 61-76, 2000

      7 김은성,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고교생의 비만, 간기능 지표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6 (6): 325-334, 2011

      8 임인수, "노화와 운동 효과에 대한 항산화, 내분비, 면역학적 접근" 한국운동생리학회 11 (11): 35-51, 2002

      9 Fried, S. K., "omental and subcutaneous adipose tissue of obese subjects release interlukin-6; depot difference and regulation by glucocor-ticoid" 83 : 847-850, 1998

      10 하민수, "albumin, 초성포도산염 및 카르니틴 복합 투여가 운동 후 호흡순환계 대사 변인에 미치는 영향" 10 (10): 145-158, 2005

      1 김정규, "평지와 내리막 달리기 수행이 creatine kinase 활성도와 백혈구 및 혈중 HSP72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6 (16): 115-124, 2007

      2 공경민, "중년 비만여성의 혈관염증 관련 지표" 대한스포츠의학회 25 (25): 7-17, 2007

      3 조남형, "유산소운동이 중년여성 고지혈증과 당뇨 환자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염증반응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41 (41): 637-644, 2010

      4 변재철, "유산소성 운동이 백혈구, 혈청 알부민 및 C-반응성 단백 농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4 (14): 11-20, 2003

      5 박경득, "운동이 대사증후군의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6 백영호, "신체조성의 기초" 4 : 61-76, 2000

      7 김은성,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고교생의 비만, 간기능 지표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6 (6): 325-334, 2011

      8 임인수, "노화와 운동 효과에 대한 항산화, 내분비, 면역학적 접근" 한국운동생리학회 11 (11): 35-51, 2002

      9 Fried, S. K., "omental and subcutaneous adipose tissue of obese subjects release interlukin-6; depot difference and regulation by glucocor-ticoid" 83 : 847-850, 1998

      10 하민수, "albumin, 초성포도산염 및 카르니틴 복합 투여가 운동 후 호흡순환계 대사 변인에 미치는 영향" 10 (10): 145-158, 2005

      11 Castell, L. M., "The effects of oral glutamine supplementation on athletes after prolonged, exhaustive exercise" 13 (13): 738-742, 1997

      12 Rosenson, R. S., "Statin use in acute coronary syndroms: cellular mechanisms and clinical evidence" 13 (13): 625-630, 2002

      13 Jerome, L., Abramson,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inflammation among apparently healthy middle-aged U.S. Adults" 162 : 1286-1292, 2002

      14 Peake, J. M., "Plasma cytokinechanges in relation to exercise intensity and muscle damage" 95 (95): 514-521, 2005

      15 Folsom, A. R., "Physical activity and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middle-aged women and men" 29 : 901-909, 1997

      16 Morson, B. C., "Pathology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15 : 184-187, 1980

      17 Seifi-Skishahr, F., "Influence of aerobic exercise at high and moderate intensities on lipid peroxidation in untrained men" 48 (48): 515-521, 2008

      18 Yudkin, K. S., "Inflammation, obesity, stress and coronary heart disease; is interleukin-6 the link?" 148 (148): 209-214, 2000

      19 Willoughby, D. A., "Human arthritis applied to animal models. Towards a better therapy" 34 : 471-478, 1975

      20 Marieb, E. N., "Human anatomy & physiology, Fourth edition"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 612-617, 1998

      21 Van Eeden, S. F., "Expression of the cell adhesion molecules on leukocytes that demarginate during acute maximal exercise" 86 (86): 970-976, 1999

      22 Morgan, W. P., "Exercise and mental Health, In Exercise Adherence : its Impact on Public Health" Human Kinetics 91-117, 1988

      23 Suzuki, K., "Endurance exercise causes interaction among stress hormones, cytokines, neutrophil immune functions under different exercise stresses" 66 (66): 533-542, 1999

      24 Dengel, D. R., "Effects of weight loss by diet alone or combined with aerobic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in older obese men" 43 (43): 867-871, 1994

      25 Ford, E. S., "Dose exercise reduce inflammation? physical activity and c-reactive protein among U.S. Adults" 13 : 561-568, 2002

      26 Viru, A., "Differential effects of exercise on serum lipid flow in lean and obese indivisuals during exercise in the heat" 55 : 69-74, 1995

      27 이호성, "Changes in muscle damage markers and circulating leukocytes following local muscle eccentric contractions of the elbow flexors" 한국운동생리학회 20 (20): 297-308, 2011

      28 Suzuki, K., "Capacity of circulating neutrophils to produce reactive oxygen species after exhausitive exercise" 81 (81): 1360-1367, 1996

      29 Weissberg, P. L., "Atheroscelerosis an inflammatory disease" 340 : 928-929, 1999

      30 Church, T. S., "Associations between cardiorepiratory fitness and C reactive protein in men" 22 : 1869-1876, 2002

      31 Geffken, D. F.,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markers of inflammation in healthy elderly population" 153 : 242-250, 2001

      32 Camus, G., "Are similar inflammatory factors involved in strenuous exercise and sepsis?" 20 (20): 602-610, 1994

      33 Clakson, P. M., "Antioxidants and physical performance" 35 (35): 131-141, 1995

      34 Berlin, J. A., "Ameta-analysis of physical activity in the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132 : 612-628, 1990

      35 안도열, "12주간의 규칙적인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비만노인의 신체구성과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7 (7): 213-220, 2012

      36 김찬회, "12주간 유산소운동이 20대 비만남성의 Homocysteine, CRP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웰니스학회 7 (7): 107-117, 2012

      37 오수일, "10주간의 유산소 운동이 고혈압 및 당뇨병을 동반한 비만 중년여성의 혈액관련 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3 (23): 11-21,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