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의약품 포장 기재사항의 글자 크기별 가독성 = Readability of Package Labeling of Nonprescription Drugs by Font Siz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461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 일반의약품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의약품의 포장 기재사항을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의약품 포장 기재사항에 대해 글자 크기...

      연구목적 : 일반의약품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의약품의 포장 기재사항을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의약품 포장 기재사항에 대해 글자 크기에 따른 가독성을 평가하고 일반의약품 포장 기재사항에 적합한 글자 크기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20세 이상 79세 이하의 일반 성인 400명으로 동일한 크기의 5개 연령대(20-30대, 40대, 50대, 60대, 70대)로 범주화하여 구성하였다. 연구 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이며, 대상자의 글자 크기별 선호도와 가독성은 글자 크기 6포인트, 8포인트 및 10포인트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대상자 366명이 설문지 작성을 완료하였다. 대상자들은 연령, 성별 및 교육수준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큰 글자 크기, 즉 10포인트를 가장 선호하였고, 또한 10포인트에서 가독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20세 이상 79세 이하의 일반 사용자에게 적합한 일반의약품 포장 기재사항의 글자 크기는 10포인트이므로 일반의 약품 포장 기재사항을 최소 10포인트의 글자 크기로 제작할 것을 권장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e package labeling should be readable and understandable for the safe use of nonprescription drug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readability and identify adequate font size for package labeling of nonprescription drugs. Method...

      Objective : The package labeling should be readable and understandable for the safe use of nonprescription drug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readability and identify adequate font size for package labeling of nonprescription drugs.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400 adults between 20 and 79 years old composed of equal size in five age-category (20s to 30s, 40s, 5s, 60s, and 70s). The study instrument was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 including preference and readability of drug labeling in 6, 8 and 10 point. Results : 366 participa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Participants preferred 10 point regardless of age, sex, or education level, showed the highest level of readability in 10 point. Conclusion : The adequate font size of drug labeling between 20 and 79 years old adults was 10 point, and we、 recommend the package labeling of nonprescription drugs should be at least 10 poi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국,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공간 구조적 특성" 한국콘텐츠학회 8 (8): 86-96, 2008

      2 임창욱, "농약 표시 글자 크기 가이드라인 설정을 위한 가독성 평가"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3 (13): 29-35, 2011

      3 정신해, "노안 연령에서 한글서체의 선호도와 가독성 평가" 한국안광학회 18 (18): 149-156, 2013

      4 Ministry of Food & Drug safety, "Regulations on labeling of pharmaceutical drugs. Osong: Ministry of Food &Drug safety"

      5 Hashemi H, "Population-based study of presbyopia in Sharoud, Iran" 40 : 863-868, 2012

      6 Statistics Korea, "Population by census(by sex/age/level of education)" Statistics Korea 2010

      7 Statistics Korea., "Population by census(by administrative district/sex/age)" Statistics Korea 2010

      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Pharmaceutical Affairs Act"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9 Silver NC, "Perceived readability of warning labels with varied font sizes and styles" 16 : 615-625, 1993

      10 World Health Organization, "Medicines: safety of medicines-adverse drug reactions" Geneva: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1 김영국,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공간 구조적 특성" 한국콘텐츠학회 8 (8): 86-96, 2008

      2 임창욱, "농약 표시 글자 크기 가이드라인 설정을 위한 가독성 평가"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3 (13): 29-35, 2011

      3 정신해, "노안 연령에서 한글서체의 선호도와 가독성 평가" 한국안광학회 18 (18): 149-156, 2013

      4 Ministry of Food & Drug safety, "Regulations on labeling of pharmaceutical drugs. Osong: Ministry of Food &Drug safety"

      5 Hashemi H, "Population-based study of presbyopia in Sharoud, Iran" 40 : 863-868, 2012

      6 Statistics Korea, "Population by census(by sex/age/level of education)" Statistics Korea 2010

      7 Statistics Korea., "Population by census(by administrative district/sex/age)" Statistics Korea 2010

      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Pharmaceutical Affairs Act"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9 Silver NC, "Perceived readability of warning labels with varied font sizes and styles" 16 : 615-625, 1993

      10 World Health Organization, "Medicines: safety of medicines-adverse drug reactions" Geneva: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11 The Korean Press Institute, "Mass communication dictionary" The Korean Press Institute 1993

      12 Fuchs J, "Influence of font sizes on the readability and comprehensibility of package inserts" 70 (70): 584-592, 2008

      13 Song Vo Kyung, "Improvement of labelling system to prevent on misuse & abuse of the medicine-improvement terminology on medical supplies" Korea Food &Drug Administration 2008

      14 European Commission, "Guideline on the readability of the labelling and package leaflet of medicinal products for human use" Brussels: European Commission; 2009January 12

      15 Medicines and Healthcare Products Regula, "Guidance on the user testing of patient information leaflets" Medicines and Healthcare products Regulatory Agency 2005

      16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 "Guidance for industry"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

      17 Holden BA, "Global vision impairment due to uncorrected presbyopia" 126 (126): 1731-1739, 2008

      18 Mo SM, "Evaluation of factors affecting legibility" 10 : 20-23, 2008

      19 Wogalter MS, "Effects of label format on knowledge acquisition and perceived readability by younger and older adults" 46 (46): 327-344, 2003

      20 Shrank WH, "Educating patients about their medication : the potential and limitation of written drug information" 26 (26): 731-740, 2007

      21 Foster CS, "An analysis of volunteer age and level of education on performance in 'readability' testing for patient information leaflets(PILs)" 3 (3): 1-4, 2012

      22 Myung KS, "A study on the typography and legibility" 37 : 239-252, 1993

      23 Kwon KH., "A study on the improving the labelling system of the medicin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2

      24 Gyeonggi-do Siheung city branch of Kore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A study on consumers' status of knowledge about over-the-counter drugs and experiences of side effects" 33 (33): 43-62,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15 1.478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