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참가승계와 필수적 공동소송의 심리특칙 - 대법원 2019. 10. 23. 선고 2012다46170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 Successorʼs Intervention and Special Provision for Indispensible Co-Litig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der Article 81 of the Korean Civil Procedure Act(hereafter, called KCPA) which stipulates successor’s intervention, the successor will apply for inter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Article 79 of the KCPA. If the inheritee apparently ...

      Under Article 81 of the Korean Civil Procedure Act(hereafter, called KCPA) which stipulates successor’s intervention, the successor will apply for inter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Article 79 of the KCPA. If the inheritee apparently does not contend for succession, the successor does not need to litigate against the inherittee separately. And the inheritee may withdraw from the procedure. However, if the other party does not agree with the withdrawal, the inheritee has to inevitably remain in the process. At this time, the form of co-litigation between the inheritee and successor is a ordinary co-litigation, which is an established position of the Korean Supreme Court(hereafter called KSC) in the previous cases. The KSC, however, ruled in this case that the co-litigation between the two parties should be subject to Article 67 of KCPA, a special provision that is applied to the indispensible co-litigation. The KSC, on the basis of changing its previous position, said that it should be applied the provisions of indispensible co-litigation, as long as the plaintiff's claims remain intact in the case of succession because one-sided Intervention as Independent party against either and preliminary or selective co-litigation were introduced under the revision of the 2002 KCPA, to prevent any inconsistency and compromise in judgment on the two claims in the same proceedings. In other words, Article 81 stipulates that the successor shall participate in a suit in accordance with Article 79 of the KCPA on the intervention as independent party, which is subject to Article 67 of the special provisions on the indispensible co-litigation, in paragraph 2, so Article 81 provides the basis for the application of the special provisions on the indispensible co-litigation. However, if the inheritee apparent does not contend for succession, the conditions for one-sided Intervention as independent party against either are not met because there is no conflict between the three parties. Furthermore, change of the opinion in this case is not reasonable because preliminary or selective co-litigation cannot be valid without a application of par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참가승계를 규정하고 있는 법 제81조에 따르면 승계인은 법 제79조의 규정에 따라 참가신청을 하게 된다. 피승계인이 승계사실을 다투지 않는 경우에는 승계인이 피승계인에 대해 별도로 신...

      참가승계를 규정하고 있는 법 제81조에 따르면 승계인은 법 제79조의 규정에 따라 참가신청을 하게 된다. 피승계인이 승계사실을 다투지 않는 경우에는 승계인이 피승계인에 대해 별도로 신청을 할 필요는 없으며 피승계인은 절차에서 탈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대방이 이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에는 부득이 절차에 남게 되는데 이 때 승계인과 피승계인간의 공동소송의 형태는 통상 공동소송이라는 것이 종전 판례의 확립된 입장이었다. 그런데 대법원은 이 사건 대상판결에서 양자간의 공동소송에는 필수적 공동소송에 적용될 심리특칙 규정인 법 제67조가 적용되어야 한다고 판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사건 대상 판결과 같이 항소하지 않은 원고의 청구가 항소심으로 이심되고 심판 대상이 됨으로써 항소심에서 승계인은 패소하고 피승계인인 원고가 승소하게 되는 결과에 이르게 되었다. 대법원은 종전 입장을 변경하는 근거로서 2002년 법 개정에 따라 편면참가와 예비적·선택적 공동소송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권리승계형 승계참가의 경우에도 원고의 청구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한 독립당사자참가소송이나 예비적·선택적 공동소송과 마찬가지로 필수적 공동소송에 관한 규정을 적용하여 같은 소송 절차에서 두 청구에 대한 판단의 모순, 저촉을 방지하고 이를 합일적으로 확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설시하고 있다. 즉, 법 제81조는 승계인이 독립당사자참가에 관한 제79조에 따라 소송에 참가할 것을 정하는데, 제79조는 제2항에서 필수적 공동소송에 관한 특칙인 제67조를 준용하고 있으므로 제81조는 승계참가에 관하여도 필수적 공동소송에 관한 특별규정을 준용할 근거가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피승계인이 승계사실을 다투지 않는 경우에는 3자간의 대립이 없으므로 편면참가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다. 나아가 예비적·선택적 공동소송 역시 당사자가 신청하지 않는 한 인정될 수 없는 것이므로 법원의 이러한 판례 변경은 타당하지 않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석민사소송법(I)" 사법행정학회 1991

      2 이시윤, "신민사소송법" 박영사 2018

      3 강현중, "민사소송법" 박영사 2018

      4 한충수, "민사소송법" 박영사 2018

      5 호문혁, "민사소송법" 법문사 2014

      6 高橋宏志, "重點講義民事訴訟法(下)" 有斐閣 2010

      7 兼子一, "絛解民事訴訟法" 弘文堂 2011

      8 高見進, "民事訴訟法理論の新たな構築(新堂幸司先生古稀祝賀), 上卷" 有斐閣 2001

      9 河野正憲, "民事訴訟法" 有斐閣 2009

      10 伊藤眞, "民事訴訟法" 有斐閣 2014

      1 "주석민사소송법(I)" 사법행정학회 1991

      2 이시윤, "신민사소송법" 박영사 2018

      3 강현중, "민사소송법" 박영사 2018

      4 한충수, "민사소송법" 박영사 2018

      5 호문혁, "민사소송법" 법문사 2014

      6 高橋宏志, "重點講義民事訴訟法(下)" 有斐閣 2010

      7 兼子一, "絛解民事訴訟法" 弘文堂 2011

      8 高見進, "民事訴訟法理論の新たな構築(新堂幸司先生古稀祝賀), 上卷" 有斐閣 2001

      9 河野正憲, "民事訴訟法" 有斐閣 2009

      10 伊藤眞, "民事訴訟法" 有斐閣 2014

      11 高田裕成, "同時審判の申出がある共同訴訟" (192) : 1996

      12 高橋宏志, "主觀的豫備的倂合について" (204) :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2-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Lawyers Association Journal -> Korean Lawyers Association Journal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Lawyers Association Journal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법조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6 1.16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8 1.05 1.09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