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보유형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설계 연구 : 웹 기반 컨텐츠의 정보유형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Multimedia Information Architecture according to Types of Information : Focused on Types of Web-based cont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3466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은 단순한 기술적인 발전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인 변화와 함께 정보의 내용과 형식, 전달방식 등을 변화시킨다. 인터넷은 디지털화와 네트워크화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한이 없는 가상공간을 구현하였고, 시대는 이러한 가상공간에 적합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을 요구한다. ‘웹’이라는 미디어의 특징 가운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성과 하이퍼미디어는 기존 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을 변화시켰고, 가상공간에 적합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웹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이 제시되기도 한다. 기존에는 일방향적으로 송신자에 의해 정해진 구조에 따라 정보를 전달받는 일대 다수의 수동적인 수용자의 개념이었다. 하지만 웹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정보를 소비하는 동시에 생산하는 다수대 다수의 적극적인 사용자의 개념으로 변화되었고, 하이퍼링크에 의해 사용자는 정해진 의미가 아닌 새로운 의미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웹에서 사용자는 적극적으로 상호작용 하면서, 정보유형에 따라 그들의 탐색유형은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과거 음성에 의한 구술 단계의 정보는 활자와 인쇄술의 발전으로 텍스트 형태의 정보로 발전하였고, 그후 텔레비전의 등장으로 영상 형태의 정보로 발전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웹에서의 정보는 기존 미디어에서의 정보와 다른 유형과 성격을 가진다. 이렇게 새로운 미디어 문화는 정보의 유형과 각각의 성향에도 영향을 미치게된다.
      따라서, 기존 미디어에서와는 다른 웹에서의 정보유형을 파악한다면, 사용자의 효과적인 탐색을 위해 정보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이유로 정보·정보유형·정보탐색·정보설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정보유형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설계 방법을 탐구하였다. 웹 컨텐츠의 정보유형을 Identity, Information, Entertainment, Learning, Shopping, Community의 6가지로 분류하여, 각 유형의 성향을 홍보·정보전달·재미·사용자참여의 4가지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그리고, 사례연구와 사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정보의 유형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며 실증적으로 접근하였다. 연구결과 웹 컨텐츠의 정보유형에 따른 각각의 성향과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정보유형의 구분과 성향이 고정적인 것은 아니다. 기존의 미디어와 다른 ‘웹’이라는 새로운 미디어 문화에 의해 사회가 변화하고 정보의 내용과 형식, 전달방식이 변화하였듯이 앞으로도 새로운 미디어에 의한 변화는 계속 일어날 것이며, 따라서 정보의 유형과 성향이 고정적일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이후에 앞으로의 새로운 미디어 문화에 의해 변화될 웹 컨텐츠의 정보유형과 성향에 대한 예측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은 단순한 기술적인 발전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인 변화와 함께 정보의 내용과 형식, 전달방식 등을 변화시킨다. 인터넷은 디지털화와 네트워크화를 통해 시간과 공간...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은 단순한 기술적인 발전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인 변화와 함께 정보의 내용과 형식, 전달방식 등을 변화시킨다. 인터넷은 디지털화와 네트워크화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한이 없는 가상공간을 구현하였고, 시대는 이러한 가상공간에 적합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을 요구한다. ‘웹’이라는 미디어의 특징 가운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성과 하이퍼미디어는 기존 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을 변화시켰고, 가상공간에 적합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웹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이 제시되기도 한다. 기존에는 일방향적으로 송신자에 의해 정해진 구조에 따라 정보를 전달받는 일대 다수의 수동적인 수용자의 개념이었다. 하지만 웹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정보를 소비하는 동시에 생산하는 다수대 다수의 적극적인 사용자의 개념으로 변화되었고, 하이퍼링크에 의해 사용자는 정해진 의미가 아닌 새로운 의미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웹에서 사용자는 적극적으로 상호작용 하면서, 정보유형에 따라 그들의 탐색유형은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과거 음성에 의한 구술 단계의 정보는 활자와 인쇄술의 발전으로 텍스트 형태의 정보로 발전하였고, 그후 텔레비전의 등장으로 영상 형태의 정보로 발전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웹에서의 정보는 기존 미디어에서의 정보와 다른 유형과 성격을 가진다. 이렇게 새로운 미디어 문화는 정보의 유형과 각각의 성향에도 영향을 미치게된다.
      따라서, 기존 미디어에서와는 다른 웹에서의 정보유형을 파악한다면, 사용자의 효과적인 탐색을 위해 정보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이유로 정보·정보유형·정보탐색·정보설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정보유형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설계 방법을 탐구하였다. 웹 컨텐츠의 정보유형을 Identity, Information, Entertainment, Learning, Shopping, Community의 6가지로 분류하여, 각 유형의 성향을 홍보·정보전달·재미·사용자참여의 4가지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그리고, 사례연구와 사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정보의 유형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며 실증적으로 접근하였다. 연구결과 웹 컨텐츠의 정보유형에 따른 각각의 성향과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정보유형의 구분과 성향이 고정적인 것은 아니다. 기존의 미디어와 다른 ‘웹’이라는 새로운 미디어 문화에 의해 사회가 변화하고 정보의 내용과 형식, 전달방식이 변화하였듯이 앞으로도 새로운 미디어에 의한 변화는 계속 일어날 것이며, 따라서 정보의 유형과 성향이 고정적일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이후에 앞으로의 새로운 미디어 문화에 의해 변화될 웹 컨텐츠의 정보유형과 성향에 대한 예측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trernet has created the cyberspace which has no limitation of space and time through digitalization and networks. As the new media have changed contents of information and ways of communication, a new paradigm which is appropriate to the cyberspace is required. The new media characterized with hypermedia and user interactivity, the ‘Web’ has been represented as a suitable communication paradigm for this new space.
      The web has changed the one-to-many system of communication to the many-to-many system. When the web has not developed much, users had received intended and fixed information from one sender, but in web communication, users can create and consume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Active web users even make new meanings by hyperlinks and interact with other users, so their information search types become diverse depending on the types of information what they want to get.
      Moreover, new media affects types and characters of information. The development of printing replaced oral information by text-type information, and the television made a shift from text to visual information. The web has also created new type of information, so we can architect information for user’s effective search if we can study about the character and type of information on the web.
      In this research, the multimedia information architec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is studied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information, information search and information architecture. Types of information in web contents a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 Identity, Information, Entertainment, Learning, Shopping, and Community. Each type is described in four aspects including promotion, usability, interests, and users' participation. Case studies and surveys on users of EWHA Womans University Home Page are follow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each information type and plans of effective information architecture are explained and presented. However, the classification and quality of those information types can not be fixed, but can be changeable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So the forecast about the future of web-based contents according to new media is required after this research.
      번역하기

      The Intrernet has created the cyberspace which has no limitation of space and time through digitalization and networks. As the new media have changed contents of information and ways of communication, a new paradigm which is appropriate to the cybersp...

      The Intrernet has created the cyberspace which has no limitation of space and time through digitalization and networks. As the new media have changed contents of information and ways of communication, a new paradigm which is appropriate to the cyberspace is required. The new media characterized with hypermedia and user interactivity, the ‘Web’ has been represented as a suitable communication paradigm for this new space.
      The web has changed the one-to-many system of communication to the many-to-many system. When the web has not developed much, users had received intended and fixed information from one sender, but in web communication, users can create and consume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Active web users even make new meanings by hyperlinks and interact with other users, so their information search types become diverse depending on the types of information what they want to get.
      Moreover, new media affects types and characters of information. The development of printing replaced oral information by text-type information, and the television made a shift from text to visual information. The web has also created new type of information, so we can architect information for user’s effective search if we can study about the character and type of information on the web.
      In this research, the multimedia information architec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is studied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information, information search and information architecture. Types of information in web contents a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 Identity, Information, Entertainment, Learning, Shopping, and Community. Each type is described in four aspects including promotion, usability, interests, and users' participation. Case studies and surveys on users of EWHA Womans University Home Page are follow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each information type and plans of effective information architecture are explained and presented. However, the classification and quality of those information types can not be fixed, but can be changeable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So the forecast about the future of web-based contents according to new media is required after this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서론
      • A.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 3
      • C. 용어의 제한점 = 4
      • 목차
      • Ⅰ. 서론
      • A.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 3
      • C. 용어의 제한점 = 4
      • Ⅱ. 이론적 배경
      • A. 정보의 개념 = 5
      • 1. 정보의 어원 = 5
      • 2. 정보의 정의 = 6
      • 2-1. 일반적 정의 = 6
      • 2-2. Shannon의 정보이론적 정의 = 7
      • 2-3. 멀티미디어 컨텐츠로서의 정보 = 9
      • B. 정보의 유형 = 10
      • C. 정보탐색 = 13
      • 1. 정보탐색의 개념 = 13
      • 2. 정보탐색의 유형 = 14
      • 2-1. 일반적인 정보탐색 유형 = 14
      • 2-2.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탐색 유형 = 16
      • 2-3. 탐색과제 유형에 따른 정보탐색 유형 = 17
      • D. 멀티미디어 정보설계 = 20
      • 1. 정보설계의 개념 = 20
      • 1-1. 정보설계의 정의 = 20
      • 1-2. 정보설계의 중요성 = 20
      • 2. 정보설계의 요소 = 22
      • 2-1. Organization System = 23
      • 2-2. Navigation System = 25
      • 2-3. Labeling System = 31
      • 3. 정보구조의 유형 = 35
      • 3-1. 계층 구조 = 37
      • 3-2. 선형 구조 = 37
      • 3-3. 하이퍼텍스트 구조 = 38
      • 3-4. 데이터베이스 구조 = 39
      • Ⅲ. 정보의 유형별 분석과 사례연구
      • A. 정보의 유형별 분석 = 40
      • 1. 정보유형에 대한 설문조사 = 42
      • 2. 웹 컨텐츠의 6가지 정보유형 = 42
      • 2-1. Identity = 44
      • 2-2. Information = 46
      • 2-3. Entertainment = 48
      • 2-4. Learning = 50
      • 2-5. Shopping = 51
      • 2-6. Community = 53
      • B. 대학 홈페이지(이화여대)에 대한 사례연구 = 63
      • 1. 사례선정 = 63
      • 2. 정보구조 분석 = 64
      • 3. 사용자 설문조사 = 69
      • 4. 조사결과와 분석 = 72
      • Ⅳ. 결론 = 83
      • 참고문헌 = 87
      • 참고사이트 = 90
      • 부록
      • <부록1> 정보유형에 대한 사용자 설문조사지 = 91
      • <부록2> 이화여대 홈페이지에 대한 사용자 설문조사지 = 93
      • ABSTRACT = 1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