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수리 논술 교수-학습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928433

      • 저자
      • 발행사항

        인천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 2007. 2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510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인천

      • 기타서명

        Improvement in mathematical thoughts through statement solving questions as a teaching-learning program

      • 형태사항

        94 p.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최규흥
        참고문헌: p.94

      • 소장기관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 등 고등사고능력을 신장하고 교수 학습과정을 개선하여 학습자의 수학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수리 논술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수리 논술 교수 학습 모델과 수리논술 교수-학습 자료의 일반화 방안이 마련되어 다양한 방법으로 학교 현장에서 쉽게 이용 하는데 도움을 주리라 본다.
      제 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다루었다.
      제 2장은 이론적 배경을 문헌 역구와 서술 논술형 평가의 기본 지식에 대하여 논하였다.
      제 3장은 실태분석 및 실행목표1, 실행목표2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 4장은 연구 설계에 관하여 논하였다.
      제 5장은 연구 실행단계로 학습지도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제 6장은 연구 결과를 서술하고
      제 7장은 결론 및 제언으로 수리 논술 교수 학습의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 등 고등사고능력을 신장하고 교수 학습과정을 개선하여 학습자의 수학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

      본 논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 등 고등사고능력을 신장하고 교수 학습과정을 개선하여 학습자의 수학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수리 논술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수리 논술 교수 학습 모델과 수리논술 교수-학습 자료의 일반화 방안이 마련되어 다양한 방법으로 학교 현장에서 쉽게 이용 하는데 도움을 주리라 본다.
      제 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다루었다.
      제 2장은 이론적 배경을 문헌 역구와 서술 논술형 평가의 기본 지식에 대하여 논하였다.
      제 3장은 실태분석 및 실행목표1, 실행목표2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 4장은 연구 설계에 관하여 논하였다.
      제 5장은 연구 실행단계로 학습지도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제 6장은 연구 결과를 서술하고
      제 7장은 결론 및 제언으로 수리 논술 교수 학습의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expanding students' higher order thought such a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s well as awakening learners' new cognition and interest in mathematics by improving learning and teaching process.
      In addition, this provides a teaching-learning model of statement solving questions and a generalization plan of them, so that it can help us to use them as diverse methods in active classroom.
      In Chapter 1, we introduce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In Chapter 2, we discus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and the basic knowledge of statement type evaluation.
      In Chapter 3, we describe the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the performing purpose 1 and the performing purpose 2.
      In Chapter 4, we discuss the design of this study.
      In Chapter 5, we deals with the learning guidance, as a performing step of study.
      In Chapter 6, we describe the result of this study
      In Chapter 7, we suggest the teaching-learning direction of statement solving questions as a result and sugges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expanding students' higher order thought such a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s well as awakening learners' new cognition and interest in mathematics by improving learning and teaching process. In addition, 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expanding students' higher order thought such a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s well as awakening learners' new cognition and interest in mathematics by improving learning and teaching process.
      In addition, this provides a teaching-learning model of statement solving questions and a generalization plan of them, so that it can help us to use them as diverse methods in active classroom.
      In Chapter 1, we introduce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In Chapter 2, we discus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and the basic knowledge of statement type evaluation.
      In Chapter 3, we describe the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the performing purpose 1 and the performing purpose 2.
      In Chapter 4, we discuss the design of this study.
      In Chapter 5, we deals with the learning guidance, as a performing step of study.
      In Chapter 6, we describe the result of this study
      In Chapter 7, we suggest the teaching-learning direction of statement solving questions as a result and sugges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1
      • 3. 연구문제 = 2
      • 4. 연구의 제한점 = 2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1
      • 3. 연구문제 = 2
      • 4. 연구의 제한점 = 2
      • 5. 용어의 정의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1. 문헌 연구 = 4
      • 2. 수학과 서술 논술형 평가의 기본 지식 = 13
      • 3. 선행연구의 고찰 = 16
      • Ⅲ. 실태분석 및 실행목표의 설정 = 17
      • 1. 실태분석 = 17
      • 2.실행목표의 설정 = 23
      • Ⅳ. 연구의 설계 = 24
      • 1. 연구대상 = 24
      • 2. 연구기간 = 24
      • 3. 연구의 절차 = 25
      • 4. 연구의 검증 = 25
      • Ⅴ. 연구의 실행 = 26
      • 1. 실행목표 1의 실행 = 26
      • 2. 실행 목표 2의 실행 = 32
      • Ⅵ. 연구의 결과 = 87
      • 1. 검증내용 및 방법 = 87
      • 2. 검증 결과 및 해석 = 88
      • Ⅶ. 결론 및 제언 = 92
      • 참고문헌 = 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