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건강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및 교육 실태 = A Study on the Education Status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32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with researching the degrees of requirement and satisfaction on the school reentry support as well as the education and life 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with researching the degrees of requirement and satisfaction on the school reentry support as well as the education and life status of them. The target of this study is 62 parents of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living in Gwangju and Jeolla Nam Do.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he statistical analysis with SPSS program ver.13.0 and the attentional level was set 5%. For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it was calculated to frequency and reaction percentage and the case percentage in case of multiple answers. And they were categorized by the similar themes so performed the relative analysis among sub-variables on the requirement of the school reentry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medical staffs of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sufficiently provided the information on their health status and medical treatments and encouraged them to reenter their school after the treatments. However, they hardly shared the information with children's teac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staffs and teachers.
      Second, although there are many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who answered 'getting along with all friends' in their companionship, actually there are quite a lot of children who answered that they played alone or had just 1 or 2 friends. The reason of the hard companionship was mostly they had trouble in being in touch with other friends. It mean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encourage them to keep in touch with their friends. Also there is the opinion that other peers do not understand the diseases of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of the education of understanding their friends with health impairment for peers when their school reentry.
      Third, in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and their teachers, it is shown a lot that the teachers were merely acquainted with children's diseases. Therefore, the teachers need to communicate actively on children's health status with medical staffs and be educated for understanding the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when their school reentry. Additionally, in the teachers' expectancies for the children, they need to properly expect the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or activities instead of having the prejudice on their diseases.
      Forth, it is shown that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 were not provided properly the necessary education in their general school life. Therefore, it is urgently necessary to figure for and support the educational service for them.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it is mostly negative for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aids and the medical necessity of schools, so it means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preparation for the first aids and the medical necessity of schools for children as well as the health care offices and the guidance offices.
      Fifth, the most difficult subjects for children who took health impairments to take are mathematics, physical education, and the most difficult subjects for them to participate in were experience activities for 1 night and 2 days, field trips and physical education. The reasons are the limitation of physical activities, lack of time of learning and decline of intuitive 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he individual teaching and educational counter plan to support their curricular learning and school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건강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 과정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바탕으로 장차 건강장애 학생의 성공적인 학교적응을 위한 다양한 교육적 서비스 방안들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건강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 과정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바탕으로 장차 건강장애 학생의 성공적인 학교적응을 위한 다양한 교육적 서비스 방안들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현재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거주하고 있는 건강장애학생의 부모(N=50)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몇 가지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장애 학생의 담당 의료진은 학생의 건강상태와 치료에 대한 정보를 대체로 충분히 제공하고 있었고, 건강장애 학생이 치료 후 학교에 복귀하도록 용기를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속 학교 교사와 의료진의 정보 공유 정도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의료진과 교사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또래 관계에 있어서는 장기입원 등으로 인한 또래 접촉이 부족하며 질병에 대한 또래의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상호의견을 교환하거나 건강장애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 정도, 교사에 대한 기대수준 등이 대체로 평균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건강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및 교육 실태와 관련하여 현장에서 반영되어야 할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넷째, 교과 학습 면에서는 입원 중 받은 교육 형태는 병원학교, 사이버 교육, 자원봉사자에 의한 개별교육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발병 후 수학, 체육 교과 등의 수업 참여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해 교과 학습과 학교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개별지도 및 교육대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학교생활 면에서는 필요한 교육이 적절하게 제공되지 못하고 있어 건강장애 학생의 교육서비스에 대한 보완 및 대책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학교생활의 어려움으로는 신체적인 피로와 통증, 낮은 학업성취 순으로 나타나 기존의 병원학교 프로그램이 보다 학업을 강조하는 쪽으로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학생의 의료적 욕구나 응급처치에 대한 학교의 준비가 필요하고 이를 지원할 보건실이나 상담실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진아, "학령기 아동의 입원생활 적응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34 (34): 525-533, 2004

      2 교육인적자원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제13조 1항 관련 별표 제8호"

      3 박은혜, "장애개념 재정립을 통한 건강장애학생 지원체계 개발" 이화여대 특수교육연구소 125-164, 2003

      4 진주혜, "소아암 초기 생존 아동의 학교생활 경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5 박은혜, "건강장애학생이 겪는 어려움과 지원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12 (12): 223-243, 2005

      6 박은혜, "건강장애학생의 학교적응 지원을 위한 기초연구" 39 (39): 143-168, 2004

      7 박은혜,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에 대한 부모 요구 조사" 39 (39): 175-193, 2005

      8 김은주,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병원학교 운영 지원체계의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9 박은혜,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모형 개발" 40 (40): 269-298, 2005

      10 교육인적자원부,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 방안" 교육인적자원부 2006

      1 오진아, "학령기 아동의 입원생활 적응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34 (34): 525-533, 2004

      2 교육인적자원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제13조 1항 관련 별표 제8호"

      3 박은혜, "장애개념 재정립을 통한 건강장애학생 지원체계 개발" 이화여대 특수교육연구소 125-164, 2003

      4 진주혜, "소아암 초기 생존 아동의 학교생활 경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5 박은혜, "건강장애학생이 겪는 어려움과 지원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12 (12): 223-243, 2005

      6 박은혜, "건강장애학생의 학교적응 지원을 위한 기초연구" 39 (39): 143-168, 2004

      7 박은혜,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에 대한 부모 요구 조사" 39 (39): 175-193, 2005

      8 김은주,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병원학교 운영 지원체계의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9 박은혜,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모형 개발" 40 (40): 269-298, 2005

      10 교육인적자원부,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 방안" 교육인적자원부 2006

      11 Bigge, J., "Teaching individuals physical, health, or multiple disabilities" Merrill 2001

      12 Katz, E. R., "Teacher, parent, and child evaluative ratings of a school reintegration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newly diagnosed cancer" 21 : 69-75, 1992

      13 Lightfoot, J, "Supporting pupils in mainstream school with an illness or disability: young people's views" 25 (25): 267-283, 1999

      14 Rynard, D. W., "School support programs for chronically ill children: Evaluating the adjustments of children with cancer at school" 27 (27): 31-46, 1998

      15 Sexson, S. B, "School reentry for the child with chronic illness" 23 (23): 115-125, 1993

      16 Thies, M. K, "Identify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hronic illness in school children" 69 (69): 392-397, 1999

      17 Brown, R. T, "Cognitive, neurophychological, and academic sequelae in children with leukemia" 26 (26): 74-90, 1993

      18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특수교육통계" 교육인적자원부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