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업기회발굴과 혁신수단으로서 디자인 방법론에 관한 연구 - 글로벌 기업과 글로벌 디자인 컨설팅회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 = The Development of Design Methodology as a Tool for Developing Business Opportunity and Realizing Innovation - Case Study of Global Company and Global Design Agenc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646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ign management for competitiveness starts from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design management by CEO and is expected to completed when the design methodology was applied to work by designers, marketers, and R&D personnel. This paper studies the design methodology as a tool for managing design project focusing on the cases of global companies. Before starting the case study of the design methodology, a theoretical study on the existing design methodologies was conducted. Through this, we suggest that each case study should be methodology based on process and evaluated as comprehensive guidelines and a tool. It offers real cases dealing with observation method, creative workshop, synthesis process based on IDEO’s design thinking framework. Observation is a tool for exploring consumer needs hidden with integrated ethnography method. In addition, the creative workshop is a participation tool for cooperation with designer and non designer. Lastly, synthesis is introduced as a convergent tool integrating consumer voice, technology and market trend. These methodologies present a practical guideline for companies to develop business opportunity and realize innovation. Design centric innovation can be embodied through cooperation with designers and non-designers, and integration including consumer based insight, market trend, and technical considerations.
      번역하기

      Design management for competitiveness starts from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design management by CEO and is expected to completed when the design methodology was applied to work by designers, marketers, and R&D personnel. This paper studies the de...

      Design management for competitiveness starts from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design management by CEO and is expected to completed when the design methodology was applied to work by designers, marketers, and R&D personnel. This paper studies the design methodology as a tool for managing design project focusing on the cases of global companies. Before starting the case study of the design methodology, a theoretical study on the existing design methodologies was conducted. Through this, we suggest that each case study should be methodology based on process and evaluated as comprehensive guidelines and a tool. It offers real cases dealing with observation method, creative workshop, synthesis process based on IDEO’s design thinking framework. Observation is a tool for exploring consumer needs hidden with integrated ethnography method. In addition, the creative workshop is a participation tool for cooperation with designer and non designer. Lastly, synthesis is introduced as a convergent tool integrating consumer voice, technology and market trend. These methodologies present a practical guideline for companies to develop business opportunity and realize innovation. Design centric innovation can be embodied through cooperation with designers and non-designers, and integration including consumer based insight, market trend, and technical consider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디자인 경영은 최고 경영자가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지하면서 시작되며 디자이너, 마케터, R&D인력 모두가 디자인 방법론을 익히고 업무에 적용함으로써 완성된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 들이 학습을 통해서 각자의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 프로젝트관리를 위한 디자인 방법론을 선진 글로벌 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디자인 방법론의 사례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기존 디자인 방법론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각각의 방법론들은 프로세스에 입각해서 종합적인 가이드라인과 도구로서 평가 받을 수 있는 수준의 방법론이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IDEO의 디자인 사고의 강조점을 통해서 디자인 방법론의 수단으로서 관찰, 창의적 워크숍, 인사이트 통합(synthesis)을 사용하는 기업의 사례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관찰은 에쓰노그라피의 종합적 실행을 통하여 숨겨져 있는 소비자의 니즈를 탐구하는 방법론으로서, 창의적 워크숍 기법은 협업을 통한 비디자이너의 디자인 프로세스의 참여의 방법을 제시하는 방법론으로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통합의 방법은 고객의 목소리와 기술, 시장의 트렌드를 종합하는 융합적 방법론으로 소개되었다. 기업들은 각각의 디자인 중심의 방법론들을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발굴과 혁신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실용적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디자인 중심의 이노베이션은 디자이너와 비디자이너와 협업을 통하여, 그리고 고객 중심의 인사이트에 시장 트렌드와 기술에 대한 고려가 더해져 구현됨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디자인 경영은 최고 경영자가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지하면서 시작되며 디자이너, 마케터, R&D인력 모두가 디자인 방법론을 익히고 업무에 적용함으로써 완성된다...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디자인 경영은 최고 경영자가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지하면서 시작되며 디자이너, 마케터, R&D인력 모두가 디자인 방법론을 익히고 업무에 적용함으로써 완성된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 들이 학습을 통해서 각자의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 프로젝트관리를 위한 디자인 방법론을 선진 글로벌 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디자인 방법론의 사례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기존 디자인 방법론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각각의 방법론들은 프로세스에 입각해서 종합적인 가이드라인과 도구로서 평가 받을 수 있는 수준의 방법론이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IDEO의 디자인 사고의 강조점을 통해서 디자인 방법론의 수단으로서 관찰, 창의적 워크숍, 인사이트 통합(synthesis)을 사용하는 기업의 사례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관찰은 에쓰노그라피의 종합적 실행을 통하여 숨겨져 있는 소비자의 니즈를 탐구하는 방법론으로서, 창의적 워크숍 기법은 협업을 통한 비디자이너의 디자인 프로세스의 참여의 방법을 제시하는 방법론으로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통합의 방법은 고객의 목소리와 기술, 시장의 트렌드를 종합하는 융합적 방법론으로 소개되었다. 기업들은 각각의 디자인 중심의 방법론들을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발굴과 혁신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실용적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디자인 중심의 이노베이션은 디자이너와 비디자이너와 협업을 통하여, 그리고 고객 중심의 인사이트에 시장 트렌드와 기술에 대한 고려가 더해져 구현됨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건표, "제품의 진화와 디자인 방법론의 변화" 2002

      2 정봉금,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를 위한 디자인 방법의 응용: 디지털-자아에 아이덴티티 부여하기" 한국디자인학회 21 (21): 209-222, 2008

      3 차경은, "에쓰노그라피 방법론(Ethnography Methodology)을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프레임웍 제안" 2005

      4 김경희, "소비자중심의 마케팅과 디자인패러다임 변화요인 분석을 통한 디자인방법론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7 (7): 283-293, 2007

      5 서정호, "소비가치구조와 기업환경 변화에서의 플랫폼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디자인적 사고 플랫폼 전략-"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3) : 201-212, 2012

      6 최영현,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통합브랜드 전략개발 사례연구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통합브랜드전략개발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567-578, 2012

      7 이용재,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국내 공공 서비스 디자인 비즈니스 모델 개발"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1 (11): 549-559, 2011

      8 홍누리,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 연구 -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과 스캠퍼(SCAMPER)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275-284, 2012

      9 정경원, "디자인경영의 학문적ㆍ실무적 맥락" 2006

      10 황규영, "디자인경영을 통한 전략적 가치 창출 사례연구 -수직축 풍력발전기의 디자인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기업경영학회 15 (15): 1-16, 2008

      1 이건표, "제품의 진화와 디자인 방법론의 변화" 2002

      2 정봉금,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를 위한 디자인 방법의 응용: 디지털-자아에 아이덴티티 부여하기" 한국디자인학회 21 (21): 209-222, 2008

      3 차경은, "에쓰노그라피 방법론(Ethnography Methodology)을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프레임웍 제안" 2005

      4 김경희, "소비자중심의 마케팅과 디자인패러다임 변화요인 분석을 통한 디자인방법론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7 (7): 283-293, 2007

      5 서정호, "소비가치구조와 기업환경 변화에서의 플랫폼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디자인적 사고 플랫폼 전략-"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3) : 201-212, 2012

      6 최영현,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통합브랜드 전략개발 사례연구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통합브랜드전략개발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567-578, 2012

      7 이용재,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국내 공공 서비스 디자인 비즈니스 모델 개발"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1 (11): 549-559, 2011

      8 홍누리,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 연구 -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과 스캠퍼(SCAMPER)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275-284, 2012

      9 정경원, "디자인경영의 학문적ㆍ실무적 맥락" 2006

      10 황규영, "디자인경영을 통한 전략적 가치 창출 사례연구 -수직축 풍력발전기의 디자인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기업경영학회 15 (15): 1-16, 2008

      11 김유진, "디자인 경영 연구의 변화 추이 분석" 2006

      12 이경아, "감성-경험 기반의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3 (13): 415-426, 2013

      13 Laurenceau JP, "Using diary methods to study marital and family processes" 19 : 2005

      14 Shane, S., "The Promise of Entrepreneurship as a Field of Research" 25 (25): 2000

      15 Abe, T., "Teaching the Writing and Role of Specifications Via a Structured Teardown Process" 24 (24): 2003

      16 Gorb, Peter, "Silent Design" 8 (8): 1987

      17 Wechsler, Jacqueline, "Reflections on Service Design, Frameworks, and the Service Organization" 23 (23): 2012

      18 Clark, Brian, "Rapid Ideation in Action: Getting Good Ideas Quickly and Cheaply" 9 (9): 1998

      19 Roozenburg, N. F. M., "Product Design Fundamentals and Methods" John Willy & Sons 1995

      20 Miaskiewicz, T., "Personas and User-Centered Design: How Can Personas Benefit Product Design Processes" 32 (32): 2011

      21 Vermaas, P. E., "O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John Gero's Fbs-Model and the Prescriptive Aims of Design Methodology" 28 (28): 2007

      22 Suzuki H, "Measuring information behavior: A time budget survey in Japan" 42 : 1997

      23 빌, 모그리지, "Ideo와 스탠포드 대학의 “혁신을 통한 디자인” 육성" 2008

      24 Cain, John., "Experience-Based Design: Toward a Science of Artful Business Innovation" 9 (9): 1998

      25 Stropkay, Scott, "Embracing Complexity: A Framework for Healthcare Design" 23 (23): 2012

      26 Humphreys, T., "Embedding Expert Users in the Interaction Design Process: A Case Study" 29 (29): 2008

      27 Beverland, Michael B., "Designers and Marketers: Toward a Shared Understanding" 22 (22): 2011

      28 Verganti, Roberto, "Design, Meanings, and Radical Innovation; A Meta model and a Research Agenda" 25 (25): 2008

      29 Archer, B., "Design as a Discipline" 1 (1): 1979

      30 Houkes, W., "Design and Use as Plans: An Action-Theoretical Account" 23 (23): 2002

      31 Hubka, V., "Design Tactics = Methods + Working Principles for Design Engineers" 4 (4): 1983

      32 Kroes, Peter, "Design Methodology and the Nature of Technical Artefacts" 23 (23): 2002

      33 Petersen, Søren Ingomar, "Design Insights from User Research and Crowdsourcing" 23 (23): 2012

      34 Salvador, Tony, "Design Ethnography" 10 (10): 1999

      35 Jenkins, Julian, "Creating the Right Environment for Design" 19 (19): 2008

      36 Yin, R.K,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Sage Publications 1984

      37 Mayfield, Matt, "Battling the Demons of Complexity: Design Thinking in a Business Context" 23 (23): 2012

      38 Coates, Del., "Analyzing and Optimizing Discretionary Information" 8 (8):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8 0.81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