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토피아의 소설적 해법 = 자먀찐의 『우리들』과 쁠라또노프의 『체벤구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793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플라톤의 『국가』로부터 시작하여 도스또옙스끼의 『까라마조프의 형제』 중 『대심문관』과 자먀찐의 『우리들』에서 쁠라또노프의 『체벤구르』까지, 이상적인 사회를 주제로 한 서구...

      플라톤의 『국가』로부터 시작하여 도스또옙스끼의 『까라마조프의 형제』 중 『대심문관』과 자먀찐의 『우리들』에서 쁠라또노프의 『체벤구르』까지, 이상적인 사회를 주제로 한 서구-러시아 문학 작품에 나타나는 이상 사회의 공통점은 공동체로서의 화합과 조화이다. 그러나 『국가』에서는 공동체의 화합을 위해서라면 개인이 희생하는 것을 전제로 삼았고 『대심문관』 에서는 절대적인 권위로 인간을 억압하며, 『우리들』에서는 역사를 조작하고 수술과 처벌을 통해 사회 구성원들이 개별적으로 사고하고 회의하며 인간적 감정을 느낄 능력을 박탈한다. 기본적인 생존이 보장되고 공동체 구성원들이 일체감과 유대감을 느낀다 해도 이러한 사회는 이상적인 사회일 수 없다.
      반면에 『체벤구르』에서 체벤구르 마을의 구성원들은 고정된 일률적 강령 없이 여러 가지 실험을 거치면서 서로를 위해 노동하고 유대감과 목표의식을 공유하는 이상적 공동체로 발전해 나간다. 이 과정이야말로 진정한 유토피아이다. 체벤구르 마을은 오히려 그 체제가 완성되고 난 이후에 내부로부터 부패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하여 결국은 정체불명의 군대에게 습격당해 와해된다. 이것은 체벤구르 마을이 이상향의 모습을 잃어버리고 완전히 타락하는 것을 막기 위한 작가의 장치이면서 또한 영원히 안정된 이상향은 존재할 수 없다는 절망의 표현으로도 보인다.
      이러한 이상향의 타락은 유토피아 소설로서 『체벤구르』의 장르 구분에 문제를 제기할 소지가 되며,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그러나 작품 안에서 체벤구르 마을은 건설되고 발전하는 과정에 있었을 때는 분명 행복한 공동체로서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여기에 문학 속의 유토피아를 위한 하나의 해답이 있다. 건설적인 목표를 향하여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자발적으로 함께 노력하는 과정이 이상향이라는 것이다. 이런 방향에서 접근할 때 유토피아는 역동적인 모습을 띠고 다양한 변화의 가능성을 가지며, 구성원들에게 하나의 고정된 체제를 강요하기보다 구성원들과 함께 성장하는 세계가 된다. 『체벤구르』에서 뿔라또노프는 이상적공동체의 건설 과정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사상으로서의 유토피아와 유토피아문학에 대한 하나의 해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은 혁명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통해 유토피아 건설의 이상을 실제로 체험해본 사람만이 보여줄 수 있는 관점이다. 소비에트 문학 혹은 현대 러시아 문학을 연구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를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서론
      • 2-1. 자먀찐의 『우리들』
      • 2-2. 자유와 행복의 문제 : 『우리들』, 『대심문관』, 『국가』의 사상적 계보
      • 2-3. 『체벤구르』와 유토피아
      • 국문요약
      • 1. 서론
      • 2-1. 자먀찐의 『우리들』
      • 2-2. 자유와 행복의 문제 : 『우리들』, 『대심문관』, 『국가』의 사상적 계보
      • 2-3. 『체벤구르』와 유토피아
      • 3. 결론
      • 참고문헌
      • Резюме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형숙, "『우리들』 속의 우리들, 우리들 속의 『우리들』: 자먀찐의 안티유토피아" 문예미학회 (7) : 213-237, 2000

      2 Waterfield, Robin, "“Introduction.” Republic" Oxford University Press 11-12, 2008

      3 Платонов, А.П, "Чевенгур // Котлован. Роман. Повести. Рассказы" У-фактория 2005

      4 Святловский, В, "Утопический социализм // Русский утопический роман"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922

      5 이형숙, "Роман Евг. Замятина “Мы” как “роман о романе" 한국러시아문학회 (2) : 433-442, 1996

      6 Федоров, Н.Ф, "Ни эгоизм, ни альтруизм, а родство! //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4 т" Издательская группа 《Прогресс》 198-199, 1995

      7 Замятин, Е.И, "Мы // Избран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Правда》 1989

      8 Геллер, Леонид и Нике, "Мишель. Утопия в России. Санкт-Петербург: 《Гиперион》" 2003

      9 Достовеский, Ф.М, "Братья Карамазовы // 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30 т. Ленин-град: Издательство 《Наука》" 1976

      10 Gregg, Richard A., "Two Adams and an Eve in the Crystal Palace: Dostoevsky, the Bible, and We" 24 (24): 680-687, 1965

      1 이형숙, "『우리들』 속의 우리들, 우리들 속의 『우리들』: 자먀찐의 안티유토피아" 문예미학회 (7) : 213-237, 2000

      2 Waterfield, Robin, "“Introduction.” Republic" Oxford University Press 11-12, 2008

      3 Платонов, А.П, "Чевенгур // Котлован. Роман. Повести. Рассказы" У-фактория 2005

      4 Святловский, В, "Утопический социализм // Русский утопический роман"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922

      5 이형숙, "Роман Евг. Замятина “Мы” как “роман о романе" 한국러시아문학회 (2) : 433-442, 1996

      6 Федоров, Н.Ф, "Ни эгоизм, ни альтруизм, а родство! //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4 т" Издательская группа 《Прогресс》 198-199, 1995

      7 Замятин, Е.И, "Мы // Избран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Правда》 1989

      8 Геллер, Леонид и Нике, "Мишель. Утопия в России. Санкт-Петербург: 《Гиперион》" 2003

      9 Достовеский, Ф.М, "Братья Карамазовы // 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30 т. Ленин-град: Издательство 《Наука》" 1976

      10 Gregg, Richard A., "Two Adams and an Eve in the Crystal Palace: Dostoevsky, the Bible, and We" 24 (24): 680-687, 1965

      11 Morson, Gary Saul, "The Bounrdaries of Genre: Dostoevsky's Diary of a Writer and the Traditions of Literary Utopia"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81

      12 Plato. Republic, "Robin Waterfield"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3 Jacoby, Russell, "Picture Imperfect: Utopian Thought for an Anti-Utopian Ag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14 Seifrid, Thomas, "Andrei Platonov: Uncertainties of Spiri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6 0.16 0.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9 0.3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