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들잔디와 금잔디 수집종의 지역별 적응성 및 봉분 실증 평가 = Comparative Evaluation of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Ecotypes at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and Grave Moun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44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are native turfgrass in Korea. Z. japonica is used throughout the country, but Z. matrella is weak in the cold climate and restricted to the southern areas. Z. matrella has a lot of advantages such as fine leaves, high ...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are native turfgrass in Korea. Z. japonica is used throughout the country, but Z. matrella is weak in the cold climate and restricted to the southern areas. Z. matrella has a lot of advantages such as fine leaves, high density and excellent texture, so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for various purpo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verwintering survival of the Z. japonica 10 and Z. matrella 18 ecotypes collected from across the country in Yangju, Eumseong, and Namhae areas from 2014 to 2015. Each of the two species was also selected and compared with the adaptability as grave covering grass in virtual grave mounds of actual size in Hapcheon, Gyeongnam province from 2017 to 2018. All of Z. japonica ecotypes overwintered in three areas, but 38.9, 83.3, and 88.9% of Z. matrella ecotypes in the Yangju, Eumseong, and Namhae areas survived through winter, respectively. The strip-sodded graves with two species were established in May 2017. In both Z. japonica and Z. matrella graves, ground-coverages were over 90% by Korean thanksgiving day’ mowing (Beolcho), indicating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pecies in coverage rates. Survival rates of grave-cover plants of Z. japonica and Z. matrella in the following year with over-wintering were 80% and 28%, respectively. Z. japonica suffered damage in the northern slopes of the grave, but Z. matrella plants suffered with great damage in the northern and western slopes. In green-up timing, Z. japonica was faster than Z. matrella, and the slope of the grave proceeded in the order of south>east>west>north. During the winter season, soil temperatures and moisture in the grave remained low in the order of south>east>west>north slop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들잔디와 금잔디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한국잔디이다. 들잔디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사용되지만, 내한성이 약한 금잔디는 남부 지방에 제한되어 사용되고 있다. 금잔디는 세엽, 높은 밀...

      들잔디와 금잔디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한국잔디이다. 들잔디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사용되지만, 내한성이 약한 금잔디는 남부 지방에 제한되어 사용되고 있다. 금잔디는 세엽, 높은 밀도, 우수한 질감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용도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금잔디의 묘지 잔디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등지에서 수집한 들잔디 10 계통과 들잔디 18 계통을 3개 지역(경기 양주, 충북 음성, 경남 남해)에서 2014년-2015년 중에 월동 후 생존율과 그린업 시기를 조사하였다. 또한 2017년-2018년에는 금잔디 1계통과 중엽 들잔디 1품종 􏍁밀록􏍂을 경남 합천에서 실제 조성한 가상의 봉분에 피복하여 묘지 잔디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들잔디는 모든 평가 지역에서 월동 후 생존하였으나, 금잔디는 양주, 음성, 남해에서 각각 38.9, 83.3, 88.9%의 개체가 월동하였다. 들잔디와 금잔디 봉분에서는 모두 5월 줄떼 식재 후 9월 추석 전 벌초까지 90% 이상이 피복되어 두 종 사이에는 피복 속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들잔디와 금잔디의 월동 후 생존율은 각각 80%와 28%로 큰 차이를 보였다. 들잔디는 봉분의 북쪽 방향에서 동해를 입었으나, 금잔디는 북쪽과 서쪽 방향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봉분에서의 그린업은 들잔디가 금잔디보다 빨랐으며, 봉분의 남쪽>동쪽>서쪽>북쪽 방향 순서로 진행되었다. 동계 기간 중 묘지의 토양 온도와 수분은 남쪽>동쪽>서쪽>북쪽 순으로 높게 유지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솔, "한국잔디류의 자생지 토양 및 생육지별 형태적 특성" 한국잔디학회 2 (2): 55-61, 2013

      2 최준수, "한국잔디 신품종 ‘세밀(Semil)’ 개발" 한국잔디학회 2 (2): 198-201, 2013

      3 태현숙, "한국잔디 신품종 ‘그린에버’의 개발 및 특성" 한국잔디학회 3 (3): 329-335, 2014

      4 장석원, "추석 전 잔디 깍기(벌초) 시기 및 높이에 따른들잔디와 금잔디의 생육" 한국잔디학회 7 (7): 140-147, 2018

      5 안병구, "잔디류가 토양유실 방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 2 (2): 381-386, 2013

      6 장석원, "우리나라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와 직원의 운동장 종류에 대한 인식 조사 비교 연구" 한국잔디학회 8 (8): 49-56, 2019

      7 우재욱, "산지묘지의 훼손지 복원을 위한 수목장지로의 전환" 한국조경학회 40 (40): 69-80, 2012

      8 최수아, "모세관 현상에 의한 토양 환경에서의 지하수 거동에 관한 연구" 한국물환경학회 27 (27): 115-119, 2011

      9 조덕용, "대한민국 장묘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11 (11): 127-142, 2009

      10 최준수, "국내 잔디 주 생산지역에서 수집된 한국잔디류의 형태적 특성 및 생육속도" 한국잔디학회 26 (26): 1-7, 2012

      1 이솔, "한국잔디류의 자생지 토양 및 생육지별 형태적 특성" 한국잔디학회 2 (2): 55-61, 2013

      2 최준수, "한국잔디 신품종 ‘세밀(Semil)’ 개발" 한국잔디학회 2 (2): 198-201, 2013

      3 태현숙, "한국잔디 신품종 ‘그린에버’의 개발 및 특성" 한국잔디학회 3 (3): 329-335, 2014

      4 장석원, "추석 전 잔디 깍기(벌초) 시기 및 높이에 따른들잔디와 금잔디의 생육" 한국잔디학회 7 (7): 140-147, 2018

      5 안병구, "잔디류가 토양유실 방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 2 (2): 381-386, 2013

      6 장석원, "우리나라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와 직원의 운동장 종류에 대한 인식 조사 비교 연구" 한국잔디학회 8 (8): 49-56, 2019

      7 우재욱, "산지묘지의 훼손지 복원을 위한 수목장지로의 전환" 한국조경학회 40 (40): 69-80, 2012

      8 최수아, "모세관 현상에 의한 토양 환경에서의 지하수 거동에 관한 연구" 한국물환경학회 27 (27): 115-119, 2011

      9 조덕용, "대한민국 장묘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11 (11): 127-142, 2009

      10 최준수, "국내 잔디 주 생산지역에서 수집된 한국잔디류의 형태적 특성 및 생육속도" 한국잔디학회 26 (26): 1-7, 2012

      11 최준수, "국내 자생 한국잔디류의 내한성 및 내염성 조사" 한국잔디학회 25 (25): 138-146, 2011

      12 Patton, A.J., "Zoysiagrass species and genotypes differ in their winter injury and freeze tolerance" 47 : 1619-1627, 2007

      13 Emmons, R. D., "Turfgrass science and management" Delmar Publishers 1984

      14 Warmund, M. R., "Survival and recovery of Meyer zoysiagrass rhizomes after extracellular freezing" 123 (123): 821-825, 1998

      15 Seog-Won Chang, "Survey of Current Status of the Graveyard Lawn Maintenance in Korea" The Korean Society of Weed Science 6 (6): 130-135, 2017

      16 Schaap, M. G., "Rosetta: A computer program for estimating soil hydraulic parameters with hierarchical pedotransfer functions" 251 : 163-176, 2001

      17 NIAST, "Methods of soil and plant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2000

      18 Munshaw, G. C., "Influence of late-season iron, nitrogen, and seaweed extract on fall color retention and cold tolerance of four bermudagrass Cultivars" 46 (46): 273-283, 2006

      19 Hinton, J. D., "Freeze tolerance of nine zoysiagrass cultivars using natural cold acclimation and freeze chambers" 47 : 112-115, 2012

      20 Anderson, J. A., "Freeze tolerance of bermudagrasses: Vegetatively propagated cultivars intended for fairway and putting green use, and seed-propagated cultivars" 42 : 975-977, 2002

      21 Hummel, N.W. Jr., "Factors influencing moss encroachment into golf course greens, and its control" 135 : 1986

      22 Xuan, J., "Evaluation of low-temperature tolerance of zoysia grass" 43 : 118-124, 2009

      23 Bae, E. J., "Distribution and morphology characteristics of native zoysiagrasses (Zoysia spp.) grown in South Korea" 24 (24): 97-105, 2010

      24 Beard, J. B., "Direct low temperature injury of nineteen turfgrasses" 48 : 377-383, 1966

      25 Chang Hyun Sung, "Different Responses of Zoysiagrass (Zoysia spp.) Ecotypes against Puccinia zoysiae Causing Rust Disease in Field" The Korean Society of Weed Science 5 (5): 256-259, 2016

      26 Choi, J.S., "Development of new cultivar “Millock” in zoysiagrass" 19 (19): 131-140, 2006

      27 Choi, J.S., "Comparison of growth rate and cold tolerance with basic species, commercial lines, and breeding lines of zoysiagrass" 19 (19): 131-140, 2005

      28 Pompeiano, A., "Carbohydrate metabolism during wintering period in four zoysiagrass genotypes" 18 (18): 43-51, 2015

      29 Li, Y., "Assessment of cold-tolerance of China’s Zoysia spp" 11 : 240-245, 2003

      30 NTEP (Natural Turfgrass Evaluation Program), "A guide to NTEP turfgrass rating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2-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Weed & Turfgrass Science
      외국어명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Weed & Turfgrass Science
      KCI등재
      2011-06-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잔디학회지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4 0.596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