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교육인구의 감소와 도시로의 유입으로 인하여 학교·학급 규모가 농어촌에서는 소규모화 소인수화 되어 가고, 도시에서는 대규모화 과밀화 되어 가는 추세가 점차 가속화 되어 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2165335
光州 : 全南大學校, 1994
學位論文(碩士) --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 敎育學科 , 1994
1994
한국어
371
광주
vi, 64 L. ; 26cm
참고문헌 : l.48-4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교육인구의 감소와 도시로의 유입으로 인하여 학교·학급 규모가 농어촌에서는 소규모화 소인수화 되어 가고, 도시에서는 대규모화 과밀화 되어 가는 추세가 점차 가속화 되어 가...
이 연구는 교육인구의 감소와 도시로의 유입으로 인하여 학교·학급 규모가 농어촌에서는 소규모화 소인수화 되어 가고, 도시에서는 대규모화 과밀화 되어 가는 추세가 점차 가속화 되어 가고 있는 교육현장에서 교육활동의 투입변인이 되는 환경적 요인인 학교·학급 규모와 산출변인이 되는 교육생산성의 관계에 대한 지각분석을 통해 정상적인 교육활동과 교육생산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적정학교·학급 규모 변인을 탐색, 제시하는 데 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시도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생들은 학업성취를 높이고 학습정서를 함양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가 적정한 학교·학급 규모라고 지각하고 있는가?
둘째, 교사들은 직무수행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가 적정한 학교·학급 규모라고 지각하고 있는가?
셋째, 교장들은 학교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어느 정도가 적정한 학교·학급 규모라고 지각하고 있는가 ?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이론과 선행연구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전집 762개 학교 중(전라남도공립국민학교) 약 5%인 70개 학교를 유층무선표집하여 교장 70명, 교사 150명, 학생 700명을 선정하여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여 SAS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산처리하였고, 통계적 방법은 cross-tab, ANOVA 등을 적용하였고 F 검증 통계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에서는 학교·학급 규모가 교육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학생, 교사, 교장에게 지각하고 있는 바를 학교·학급 규모별로 응답한 결과를 가지고 문제의 정도와 적정규모를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의 분석을 통하여 학교·학급 규모가 교육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학급 규모별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고, 대규모 학교·학급에서의 문제가 심각한 반면 소규모 학교·학급에서도 학습동기, 경쟁적 학습분위기, 인간관계 형성의 사회성 발달과 학교행사의 적극 참여, 특별활동 운영, 교사의 수업지도, 교사의 업무부담, 학교재정 및 시설관리와 학생들의 안전관리 등에서 문제점이 심각하였다. 정상적인 교육활동과 교육생산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적정학교·학급의 규모를 학생, 교사, 교장 들이 지각하고 있는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학업성취를 높이고 학습정서를 함양하기 위해서 13∼24학급 규모의 학교와 31∼40명 규모의 학급규모를 적정학교·학급 규모로 지각하고 있다.
둘째, 교사들이 직무수행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18∼25학급 규모의 학교와 25명 내외의 학급규모를 적정학교·학급 규모로 지각하고 있다.
셋째, 교장들이 학교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12∼24학급 규모를 적정학교 규모로 지각하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