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토피아적 글쓰기로서의 자화상 영화 = 아녜스 바르다의 2000년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291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현대 영화의 주목할 만한 경향으로서의 ‘자화상 영화’가 지니는 서사적 특징과 미학적 가치를 살펴보기 위해 아녜스 바르다의 최근 작품들을 고찰한다. <이삭 줍는 사람들과 나>, <아녜스의 해변>, <이곳 저곳의 아녜스 바르다> 등 바르다가 2000년부터 최근까지 발표한 영상작품 및 멀티미디어 설치작품들을 대상으로 미셸 보주르, 레몽 벨루르 등에 의해 전개된 자전적 서술에 관한 논의에 근거해 자화상 영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첫째, 자전적 서사의 속성을 살펴보면서 자화상 장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다. 자서전이 연속된 이야기를 토대로 한 시간성의 서사라면, 자화상은 파편적 이미지들을 바탕으로 한 공간성의 서사라 할 수 있다. 바르다의 자화상 영화에서 부각되는 공간성과 자아의 형상화에 대해 조명한다. 둘째, 자화상 장르가 지닌 탈경계성이라는 측면을 다양한 층위에서 분석한다. 텍스트의 안과 밖, 자아와 타자 사이, 이질적 매체 사이에 발생하는 역동성과 긴장의 양상에 대해 살펴본다. 셋째, 이러한 탈경계적 서사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유토피아적 글쓰기로서의 특징적 측면을 살펴본다. 종결 없는 유연한 글쓰기로서의 자화상은 바르다 고유의 ‘시네크리튀르’ 개념과도 연관되며, 즉흥성과 생기, 유머의 원천이 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현대 영화의 주목할 만한 경향으로서의 ‘자화상 영화’가 지니는 서사적 특징과 미학적 가치를 살펴보기 위해 아녜스 바르다의 최근 작품들을 고찰한다. <이삭 줍는 사람들과 ...

      본 논문은 현대 영화의 주목할 만한 경향으로서의 ‘자화상 영화’가 지니는 서사적 특징과 미학적 가치를 살펴보기 위해 아녜스 바르다의 최근 작품들을 고찰한다. <이삭 줍는 사람들과 나>, <아녜스의 해변>, <이곳 저곳의 아녜스 바르다> 등 바르다가 2000년부터 최근까지 발표한 영상작품 및 멀티미디어 설치작품들을 대상으로 미셸 보주르, 레몽 벨루르 등에 의해 전개된 자전적 서술에 관한 논의에 근거해 자화상 영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첫째, 자전적 서사의 속성을 살펴보면서 자화상 장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다. 자서전이 연속된 이야기를 토대로 한 시간성의 서사라면, 자화상은 파편적 이미지들을 바탕으로 한 공간성의 서사라 할 수 있다. 바르다의 자화상 영화에서 부각되는 공간성과 자아의 형상화에 대해 조명한다. 둘째, 자화상 장르가 지닌 탈경계성이라는 측면을 다양한 층위에서 분석한다. 텍스트의 안과 밖, 자아와 타자 사이, 이질적 매체 사이에 발생하는 역동성과 긴장의 양상에 대해 살펴본다. 셋째, 이러한 탈경계적 서사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유토피아적 글쓰기로서의 특징적 측면을 살펴본다. 종결 없는 유연한 글쓰기로서의 자화상은 바르다 고유의 ‘시네크리튀르’ 개념과도 연관되며, 즉흥성과 생기, 유머의 원천이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siders the characters of the self-portrait genre in cinema, focusing principally on Agnès Varda"s recent films, such as The Gleaners and I (2000), Two years after (2002), The Beaches of Agnès (2008), Agnès de ci de là Varda (2011). It examines also her video installations exhibited between 2006 and 2013, which are related to those self-portrait films.
      First, we will think about the narrative features of self-portrait, revisiting the concepts by Philippe Lejeune, Michel Beaujour, and Jacques Derrida. While the autobiography in general is constructed in a chronological structure, the self-portrait has specific characters that lead a fluid writing about aleatory topics or fragmentary images. This "lack of continuous narrative" or "the fragmentary discours" opens the possibility of a freer writing for intimate representation.
      Then, the trans-boundary characters of the self-portrait film will be studied in relation with the notion of "Between-the-image" coined by Raymond Bellour. In Varda"s films, her self-image gets new forms and significations in Between-the-image, as it passes from cinematic images to photographs or video installations.
      Finally, the utopian writing that constitutes her self-portrait films will be considered. This can be related to the "cinécriture", which describes Varda"s unique method of filmmaking, whereby a film is a continuous writing through all the process of production.
      번역하기

      This study considers the characters of the self-portrait genre in cinema, focusing principally on Agnès Varda"s recent films, such as The Gleaners and I (2000), Two years after (2002), The Beaches of Agnès (2008), Agnès de ci de là Varda (2011). I...

      This study considers the characters of the self-portrait genre in cinema, focusing principally on Agnès Varda"s recent films, such as The Gleaners and I (2000), Two years after (2002), The Beaches of Agnès (2008), Agnès de ci de là Varda (2011). It examines also her video installations exhibited between 2006 and 2013, which are related to those self-portrait films.
      First, we will think about the narrative features of self-portrait, revisiting the concepts by Philippe Lejeune, Michel Beaujour, and Jacques Derrida. While the autobiography in general is constructed in a chronological structure, the self-portrait has specific characters that lead a fluid writing about aleatory topics or fragmentary images. This "lack of continuous narrative" or "the fragmentary discours" opens the possibility of a freer writing for intimate representation.
      Then, the trans-boundary characters of the self-portrait film will be studied in relation with the notion of "Between-the-image" coined by Raymond Bellour. In Varda"s films, her self-image gets new forms and significations in Between-the-image, as it passes from cinematic images to photographs or video installations.
      Finally, the utopian writing that constitutes her self-portrait films will be considered. This can be related to the "cinécriture", which describes Varda"s unique method of filmmaking, whereby a film is a continuous writing through all the process of produ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2. 자화상의 서사
      • 3. 자화상의 탈경계성
      • 4. 유토피아적 글쓰기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2. 자화상의 서사
      • 3. 자화상의 탈경계성
      • 4. 유토피아적 글쓰기
      • 5. 나오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