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궁중 기록 유물은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고도로 치밀하고 독자적이며 객관적인 기록들을 수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당수의 도서들과 반차도가 전해지는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566239
서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 한국화학과 , 2014. 8
2014
한국어
서울
Study on documentary painting for Hwaseongwonhangeulmyojeongri's Eugye
vii, 54 p.: 삽도; 26 cm.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최한동
참고문헌 : p.49-5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의 궁중 기록 유물은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고도로 치밀하고 독자적이며 객관적인 기록들을 수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당수의 도서들과 반차도가 전해지는데 ...
조선시대의 궁중 기록 유물은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고도로 치밀하고 독자적이며 객관적인 기록들을 수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당수의 도서들과 반차도가 전해지는데 의궤에 수록된 것들이 대다수다. 의궤로 남겨진 궁중기록화들은 왕실의 장례, 결혼, 잔치, 제사, 건축, 어진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는데, 그 기술내용이 상세하고, 정확하여 문화적 가치와 더불어 학술적 가치가 있다. 그러나 궁중의 기록화는 그동안 여러 문헌들에 수록된 부록 형식으로 인식되어온 탓에 회화로써의 가치와 기려(奇麗)함을 인정받지 못했다. 또한, 기록화에 대한 회화적 연구가 서지학적 연구나, 복식사 연구, 궁중음식연구, 건축학적 연구 등에 비해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의 내용을 회화적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궁중기록화의 종류와 특징, 구성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첫째로, 어진(御眞)에 대해 고찰하였다. 국왕의 초상화인 어진에 대한 내용은 조선시대 중심으로 서술하며, 어진의 정의와 제작방법, 그리고 형식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어진은 국왕의 초상화를 일컫는 말로 조선시대에는 태조부터 순종에 이르기까지 상당수의 수준 높은 작품을 제작했다. 어진제작의 목적은 첫째, 영면하신 조상을 추모하며 사후 평안을 기리는 것과 둘째, 어진을 진전에 모시고 제를 올리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왕실의 권력을 강화시키는 정치적인 목적이다. 이 때문에 도화서의 화원중 가장 능력이 뛰어난 화원들을 시재를 거쳐 선발하고 이를 어용화사라고 명명한 뒤 어진을 제작하게 했는데, 제작 시 가장 중점을 두었던 부분은 바로 전신사조를 어진에 담아내는 것 이었다.
Ⅱ장에서는 의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의궤란 문자기록과 현장 그림이 합쳐진 보고서 형식의 기록으로 조선의 독자적인 기록문화이다.
이 기록문화에 표현된 회화의 정밀도와 아름다움을 통해 의궤 편찬의 목적과 의궤의 특징, 의궤의 종류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현존하고 있는 의궤류 중 회화적으로 표현된 부분을 중점적으로 들여다보았고, 의궤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고증하였다. 그 결과 의궤의 종류로는 왕실의 잔치를 그린 연향 반차도(宴享 班次圖), 결혼식에 대한 세세한 정보를 남긴 가례 반차도(嘉禮 班次圖), 국장을 당했을 때의 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국장 반차도(國葬 班次圖)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 궁중기록화의 한 분류로 볼 수 있는 궁궐도(宮闕圖)에 대해서는 현존하고 있는 의궤 등과 규모나 내용면에서 예술적 위용을 자랑하는 동궐도와 서궐도안을 통해 왕실 기록화로서의 기능과 회화적인 측면에서그 우수성이 나타나고 있다.
제 Ⅲ장에서는 본 연구자가 가장 중점을 두고 화성원행정리의궤반차도 (園幸乙卯整理儀軌班次圖)의 구성 및 제작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화성원행정리의궤에 수록된 반차도는 18세기 이전의 반차도들과 비교하여 시점의 변화 및, 해학적 표현 등 획기적으로 괄목할만한 발전과 변화가 있었고, 특히 여러 의궤들과 비교했을 때, 두드러지는 화성원행을묘정리의궤 반차도만의 독자적인 구성과 회화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끝으로 반차도의 현대적인 회화로의 적용에 관한 연구를 본인의 작품과 관련하여 비교, 분석하며 반차도의 현대적 변용에 적합한 것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 내용을 종합하면 반차도는 기록적 측면의 가치와 더불어 독자적인 회화로써의 가치와 중요성이 있으며, 이는 회화사적 연구가 이뤄져야 함과 동시에 현대한국화에 새롭게 적용하여 전통의 계승과 더불어 현대적인 변모를 꾀할 수 있는 중요한 회화적 사료라고 생각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