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가정 화목의 이면과 여성 = The Reverse of Home Reconciliation, and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 후기 가정 화목의 이면과 그것에 관련하여 기대되는 여성의 역할이 어떠했는지, 그리고 그러한 기대에 따라 여성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어가는 양상을 고찰해 본 것이다. 조선 후기 사대부 여훈서와 여훈류는 가도 융성의 당위에 의한 화목을 위해 여성이 인척들과 화합할 것을 주장했다. 그러나 가훈에 드러난 인척 관계의 본질은 골육의 은혜가 없고 정은 소활하며, 특히 동서지간은 다른 가문의 사람들이 갑자기 시댁에서 만난 사이로 취향과 뜻이 달라 쉽게 화합하기 어려운 관계였다. 이러한 관계의 본질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 후기 사대부들은 여성을 인척간의 화합을 비롯한 가정 화목 전반에 대한 책임을 짊어진 존재로 명시했고, 여성이 가도융성 및 가정 화목이라는 대의를 위해 희생하고 화합해야 한다는 담론을 만들어갔다.
      그리고 그 책임이 무거워진 만큼 여성에 대한 통제도 강화되는 양상이 관찰되는데, 그 중심에는 여성의 언어에 대한 구속이 자리하고 있었고, 며느리를 관리하기 위한 실제의 의식으로까지 발전하게 된다. 이러한 고찰은 화목한 가정이라는 이상향이 어느 시대에나 있었지만 또 어느 시대에도 쉬운 일은 아니었으며, 그것은 당연히 여성만의 희생과 노력이 아니라 가족 구성원 모두가 서로 배려하고 합심하는 결과로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조선 후기 가정 화목의 이면과 그것에 관련하여 기대되는 여성의 역할이 어떠했는지, 그리고 그러한 기대에 따라 여성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어가는 양상을 고찰해 본 것이다. 조선 ...

      본고는 조선 후기 가정 화목의 이면과 그것에 관련하여 기대되는 여성의 역할이 어떠했는지, 그리고 그러한 기대에 따라 여성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어가는 양상을 고찰해 본 것이다. 조선 후기 사대부 여훈서와 여훈류는 가도 융성의 당위에 의한 화목을 위해 여성이 인척들과 화합할 것을 주장했다. 그러나 가훈에 드러난 인척 관계의 본질은 골육의 은혜가 없고 정은 소활하며, 특히 동서지간은 다른 가문의 사람들이 갑자기 시댁에서 만난 사이로 취향과 뜻이 달라 쉽게 화합하기 어려운 관계였다. 이러한 관계의 본질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 후기 사대부들은 여성을 인척간의 화합을 비롯한 가정 화목 전반에 대한 책임을 짊어진 존재로 명시했고, 여성이 가도융성 및 가정 화목이라는 대의를 위해 희생하고 화합해야 한다는 담론을 만들어갔다.
      그리고 그 책임이 무거워진 만큼 여성에 대한 통제도 강화되는 양상이 관찰되는데, 그 중심에는 여성의 언어에 대한 구속이 자리하고 있었고, 며느리를 관리하기 위한 실제의 의식으로까지 발전하게 된다. 이러한 고찰은 화목한 가정이라는 이상향이 어느 시대에나 있었지만 또 어느 시대에도 쉬운 일은 아니었으며, 그것은 당연히 여성만의 희생과 노력이 아니라 가족 구성원 모두가 서로 배려하고 합심하는 결과로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지영, "질서의 구축과 균열 : 조선후기 호적과 여성들" 서강대학교출판부 2015

      2 한의숭, "조선후기 한문소설에 나타난 여성과 가족 서사의 관계" 민족문학사연구소 (74) : 267-293, 2020

      3 성민경, "유교 가부장제 가족의 인척 관계에 대한 남녀의 시각차에 대하여" 인문학연구원 (6) : 73-109, 2022

      4 顔之推, "안씨가훈" 전통문화연구회 2012

      5 李擎根, "顧菴家訓" 을유문화사 1976

      6 權寧徹, "閨房歌詞硏究" 二友出版社 1980

      7 "重山齋集"

      8 "近齋集"

      9 "詩經"

      10 "荷汀草稿"

      1 정지영, "질서의 구축과 균열 : 조선후기 호적과 여성들" 서강대학교출판부 2015

      2 한의숭, "조선후기 한문소설에 나타난 여성과 가족 서사의 관계" 민족문학사연구소 (74) : 267-293, 2020

      3 성민경, "유교 가부장제 가족의 인척 관계에 대한 남녀의 시각차에 대하여" 인문학연구원 (6) : 73-109, 2022

      4 顔之推, "안씨가훈" 전통문화연구회 2012

      5 李擎根, "顧菴家訓" 을유문화사 1976

      6 權寧徹, "閨房歌詞硏究" 二友出版社 1980

      7 "重山齋集"

      8 "近齋集"

      9 "詩經"

      10 "荷汀草稿"

      11 "紫東集"

      12 "皇明啓運錄"

      13 成炳禧, "民間誡女書" 형설출판사 1980

      14 "戒懼菴集"

      15 "屛谷集"

      16 "小學"

      17 김경미, "家와 여성" 도서출판 여이연 2012

      18 "宋子大全"

      19 "女誡"

      20 성민경, "女訓書의 편찬과 역사적 전개 : 조선시대~근대전환기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9

      21 "增補山林經濟"

      22 "南塘集"

      23 이동인, "南塘先生韓氏婦訓 해제"

      24 "保閑齋集"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