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법 교육에서 창의, 인성의 방향과 내용 =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08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article aims to review the direction and the contents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 grammar education. The study adopts interpretative and internal approaches as basic methodology in investigating grammar education wi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e study sets its own direction as "Bupgochangsin grammar education" and reviews specific educational contents mainly from the perspective of grammar education focusing on thoughts. This study especially divides the meaning of grammar into two: grammar as a set of rules and grammar as a set of exposition and examines possible contents according to each semantic vale. Through these efforts, this study strives to describe grammar educa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n education where creativity/personality is imposed from the outside but be the one that begins from the basics of grammar education and innovates the basics at the same time so that it can change into more fresh and optimal one.
      번역하기

      The present article aims to review the direction and the contents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 grammar education. The study adopts interpretative and internal approaches as basic methodology in investigating grammar education with creativity and p...

      The present article aims to review the direction and the contents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 grammar education. The study adopts interpretative and internal approaches as basic methodology in investigating grammar education wi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e study sets its own direction as "Bupgochangsin grammar education" and reviews specific educational contents mainly from the perspective of grammar education focusing on thoughts. This study especially divides the meaning of grammar into two: grammar as a set of rules and grammar as a set of exposition and examines possible contents according to each semantic vale. Through these efforts, this study strives to describe grammar educa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n education where creativity/personality is imposed from the outside but be the one that begins from the basics of grammar education and innovates the basics at the same time so that it can change into more fresh and optimal on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8

      2 안성호, "통사론 교육과 창의성 계발" 한국생성문법학회 21 (21): 333-354, 2011

      3 김은성, "초등 문법과 태도 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79-207, 2012

      4 김홍범, "창의성 계발을 위한 문법교육" 한국문법교육학회 10 : 93-118, 2009

      5 구본관, "원리 중심의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27) : 261-297, 2011

      6 안재원, "예외론(anomalia)과 유비론(analogia): 문법의 성립과정 탐구 -바로의 『라틴어에 대하여』를 중심으로-" 한국서양고전학회 (35) : 149-183, 2009

      7 이상태, "사고력 함양을 위한 국어교육 설계" 박이정 2010

      8 문용린,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창의․인성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9 김수업, "배달말 가르치기" 나라말 2006

      10 신명선, "문법교육에서 추구하는 교육적 인간상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회 (28) : 423-458, 2007

      1 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8

      2 안성호, "통사론 교육과 창의성 계발" 한국생성문법학회 21 (21): 333-354, 2011

      3 김은성, "초등 문법과 태도 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79-207, 2012

      4 김홍범, "창의성 계발을 위한 문법교육" 한국문법교육학회 10 : 93-118, 2009

      5 구본관, "원리 중심의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27) : 261-297, 2011

      6 안재원, "예외론(anomalia)과 유비론(analogia): 문법의 성립과정 탐구 -바로의 『라틴어에 대하여』를 중심으로-" 한국서양고전학회 (35) : 149-183, 2009

      7 이상태, "사고력 함양을 위한 국어교육 설계" 박이정 2010

      8 문용린,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창의․인성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9 김수업, "배달말 가르치기" 나라말 2006

      10 신명선, "문법교육에서 추구하는 교육적 인간상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회 (28) : 423-458, 2007

      11 민현식, "문법 교육의 정신" 한국문법교육학회 181-197, 2012

      12 윤여탁, "독서와 문법Ⅰ" 미래엔 2011

      13 김광해, "국어지식교육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14 주세형, "국어지식 영역의 규범성 패러다임 : 창의성과 균형 잡기" 한국어교육학회 (119) : 397-429, 2006

      15 이상태, "국어교육의 길잡이" 한신문화사 1993

      16 김수업, "국어교육의 길" 나라말 1998

      17 Dilthey, W.,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교육" 지만지 1960

      18 Harris, W. T., "What shall the public schools teach?" 4 : 573-581, 1888

      19 Honda, M., "Thinking linguistically: a scientific approach to language" Oxford: Blackwell Pub 2008

      20 Derzhanski, I., "The linguistic olympiads: academic competitions in linguistic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Linguistics at School" 213-226, 2010

      21 Fabb. N., "Linguistics for Ten-Years Olds" MITWPL 6 : 45-61, 1985

      22 Hudson, R., "Linguistics at School: The UK Linguistics Olympiad"

      23 Clart. B., "Language Detective: A Course for Young Linguists" 6 (6): 506-516, 2012

      24 Mulder, J., "Grammar in English Curricula: Why Should Linguists Care?" 12 (12): 835-847, 2011

      25 Mulder, J., "Establishing Linguistics in Secondary Education in Victoria, Australia" 1 (1): 133-154, 2007

      26 Mulder, J., "Envisioning Linguistics in Secondary Education: an Australian Exemplar, In Linguistics at School" 62-75, 2010

      27 Van Gelderen, A., "Does Explicit Teaching of Grammar Help Students to Become Better Writers?: Insights from Empirical Research, In Beyond The Grammar Wars: A Resource for Teachers and Students on Developing Language Knowledge in the English / Literacy Classroom" 109-128, 2010

      28 이경현, "CPS에 기반한 문법교육" 한국문법교육학회 (11) : 229-258, 2009

      29 Hudson, R., "Becoming a grammar teacher: Why? What? How?(draft)"

      30 Mulder, J., "Accessing grammar in senior secondary English: A Victorian exemplar"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6 1.335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