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수용과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에 있어 타인수용이 나타내는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일반 성인 남성 150명, 여성 227명을 선정하여 총 성인 377명을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41559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교육전공 , 2020. 8
2020
한국어
서울
iii, 54장 ; 26 cm
지도교수: 고영건
부록수록
참고문헌: 장 39-46
I804:11009-00000023134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수용과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에 있어 타인수용이 나타내는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일반 성인 남성 150명, 여성 227명을 선정하여 총 성인 377명을 대...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수용과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에 있어 타인수용이 나타내는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일반 성인 남성 150명, 여성 227명을 선정하여 총 성인 37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수용 척도, 정신적 웰빙 척도, 타인수용 척도 그리고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 응답 자료를 취합하여 SPSS 23.0을 이용한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수용, 타인수용, 정신적 웰빙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발견되었다.
둘째, 자기수용은 정신적 웰빙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하여도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이 정신적 웰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자기수용이 정신적 웰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 외에도 타인수용을 매개로 하였을 때도 정신적 웰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인의 정신적 웰빙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자원들을 정리해보았고 정신적 웰빙의 향상에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제시하고 앞으로 후속연구를 하는 연구자들을 위한 필요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