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륙문학’의 기획과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 = The ‘Continent-Literature’ Project and Lee Gi-young’s The Son of the Ear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052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e Gi-young’s The Son of the Earth and ‘continent exploitation literature’,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novel was a ‘continent literature’ designed by Chosun Ilbo. Chosun Ilbo proceeded with thi...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e Gi-young’s The Son of the Earth and ‘continent exploitation literature’,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novel was a ‘continent literature’ designed by Chosun Ilbo. Chosun Ilbo proceeded with this plan, which originated from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of the literary world at a time when total mobilization systems of writers started with the ‘corps of the pen’. It was also labelled ‘continent literature’, despite clear awareness that it represented ‘continent exploitation literature’ that eclipsed the typical continental literature of that time. Therefore, Lee Gi-young’s The Son of the Earth was product sandwiched between external pressure as a ‘planned novel’ and the inner desires of the writer. In turn, such internal-external antipodal relationship presented several gaps in the novel’s composition, presenting several limitations on the novel as a who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일보>에서 ‘대륙문학’으로 기획한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이 사실은 식민지말기 집중적으로 생성된 ‘대륙개척문학’의 한 양상이었음을 살펴보았다. 비록 ‘대륙...

      본고는 <조선일보>에서 ‘대륙문학’으로 기획한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이 사실은 식민지말기 집중적으로 생성된 ‘대륙개척문학’의 한 양상이었음을 살펴보았다. 비록 ‘대륙문학’이라는 이름으로 기획되었지만 그것은 ‘대륙개척문학’을 지칭하는 또 다른 별칭일 뿐이었다. ‘대륙개척문학’은 ‘생산문학’과 마찬가지로 식민지말기 국책문학의 하위 장르의 하나였고 주로 1938~1942년 ‘농민문학간화회’와 ‘대륙개척문예간화회’의 회원들에 의해 집중적으로 창작되었다. 조선일보가 이와 같은 기획을 진행하였던 것은 당시 ‘펜 부대’를 시작으로 하는 문인총동원체제와 일본에 의해 주도되었던 새로운 만주이민정책의 시행이 시기적으로 조응하면서 새롭게 부각되기 시작했던 ‘만주 개척’에 대한 관심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대지의 아들>은 소재나 구성, 인물형상의 부각 등 몇몇 면에서는 ‘대륙개척문학’의 형식과 요소들을 갖추고 있지만 ‘개척문학’의 중요한 이념이었던 ‘개척정신’과 ‘만주 명랑’을 서사화하는 데에는 실패하고 있다. 이는 작가 이기영이 ‘대륙문학’의 이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거나 내면화하는 데에는 협조적이지 않았음을 말해준다. 이렇듯 『대지의 아들』은 ‘기획소설’이라는 외적인 압력과 그 문학적 이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없었던 작가의 내적인 갈등 사이에서 길항하면서 생성된 텍스트였다. 동시에 이 작품은 식민지말기 ‘만주 개척’의 의미를 다시 천착해 볼 필요가 있음을, 특히 1940년대 초반에 집중적으로 생성되었던 만주 재현 문학을 ‘개척’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시 읽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용, "협력과 저항" 소명출판 2005

      2 김종욱, "한국 근대문학과 중국" 소명출판 2016

      3 "조선일보"

      4 "조광"

      5 이경재, "일제말기 생산소설의 정치적 성격 연구" 한중인문학회 (29) : 201-230, 2010

      6 민족문학연구소, "일제말기 문인들의 만주체험" 역락 2007

      7 장성규, "일제 말기 카프 작가들의 만주 형상화 양상" 한국현대문학회 (21) : 175-196, 2007

      8 이경재, "일제 말기 이기영 소설에 나타난 생산력주의" 민족문학사학회 (40) : 36-69, 2009

      9 서영인, "일제 말기 생산소설 연구 ―강요된 국책과 생활현장의 리얼리티 ―" 한국비평문학회 (41) : 145-176, 2011

      10 차성연, "일제 말기 농촌/농민문학에 나타난 일본 농본주의의 영향과 전유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46) : 187-217, 2015

      1 김재용, "협력과 저항" 소명출판 2005

      2 김종욱, "한국 근대문학과 중국" 소명출판 2016

      3 "조선일보"

      4 "조광"

      5 이경재, "일제말기 생산소설의 정치적 성격 연구" 한중인문학회 (29) : 201-230, 2010

      6 민족문학연구소, "일제말기 문인들의 만주체험" 역락 2007

      7 장성규, "일제 말기 카프 작가들의 만주 형상화 양상" 한국현대문학회 (21) : 175-196, 2007

      8 이경재, "일제 말기 이기영 소설에 나타난 생산력주의" 민족문학사학회 (40) : 36-69, 2009

      9 서영인, "일제 말기 생산소설 연구 ―강요된 국책과 생활현장의 리얼리티 ―" 한국비평문학회 (41) : 145-176, 2011

      10 차성연, "일제 말기 농촌/농민문학에 나타난 일본 농본주의의 영향과 전유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46) : 187-217, 2015

      11 양예선, "일본의 만주문학: 「대륙 개척 문예 간화회」를 중심으로" 7 : 2007

      12 김성경, "인종적 타자의식의 그늘 - 친일문학론과 국가주의" 민족문학사학회 24 : 126-158, 2004

      13 "인문평론"

      14 이상경, "이기영, 시대와 문학" 풀빛 1994

      15 이경훈, "오빠의 탄생" 문학과 지성사 2003

      16 와타나베나오키, "식민지 조선의 프롤레타리아 농민문학과 ‘만주’" 한국문학연구소 (33) : 7-47, 2007

      17 윤대석, "식민지 국민문학론" 역락 2006

      18 "삼천리"

      19 "문장"

      20 "매일신보"

      21 서영인, "만주서사와 반식민의 상상적 공동체 - 이기영, 한설야의 만주서사를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46 : 323-351, 2009

      22 이원동, "만주 담론과 이기영 소설의 변화" 한국어문학회 (97) : 291-314, 2007

      23 이기영, "대지의 아들" 도서출판 역락 2016

      24 "국민문학"

      25 국학자료원, "韓國文壇의 歷史와 側面史" 국학자료원 1996

      26 王向遠, "“筆部隊”和侵華戰爭" 崑崙出版社 2005

      27 이상경, "‘기획소설’과 생산소설 그리고 검열 - 이기영 장편소설 ≪대지(大地)의 아들≫론 -" 한국현대소설학회 (62) : 275-307,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3 1.73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