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프랑스 파견무관(attaché militaire)이 본 러일전쟁: 제0차 세계대전에서 제1차 세계대전으로 = The russ-japanese war (1904~1905) studied by french military observer: from world war 0 to world war 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539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french military observer during the russ-japanese war. The development of the regular military attaché system shared similar roots of the plenipotentiary emissaries in 19th century. During the russ-japanese war, the french military attaché, nothing in the Far-Eastern Asia experience required a revision of their manuals. The french observers’ comments were often twisted to support concepts of offensive mobility and firepower which, combined with élan and an aggressive “sprit”, would permit successful strategic envelopments and the decisive battles needed to grantee a shot conflict. Therefore, the military lessons finally learned from their reports were of questionable value in 1914.
      번역하기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french military observer during the russ-japanese war. The development of the regular military attaché system shared similar roots of the plenipotentiary emissaries in 19th century. During the russ-japanese war, t...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french military observer during the russ-japanese war. The development of the regular military attaché system shared similar roots of the plenipotentiary emissaries in 19th century. During the russ-japanese war, the french military attaché, nothing in the Far-Eastern Asia experience required a revision of their manuals. The french observers’ comments were often twisted to support concepts of offensive mobility and firepower which, combined with élan and an aggressive “sprit”, would permit successful strategic envelopments and the decisive battles needed to grantee a shot conflict. Therefore, the military lessons finally learned from their reports were of questionable value in 1914.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프랑스 파견무관들은 근대적 전쟁을 러일전쟁을 통해 경험하면서도 전쟁의 근대적 성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였다. 프랑스 본국의 참모부 또한 러일전쟁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전망이 부재하였다. 전쟁발발 직전 전쟁부가 생산한 정보에 바탕을 둔 프랑스 외교부와 전쟁부가 수립한 전쟁결과에 대한 전망은 완전히 빗나갔다. 전쟁을 직접 가까이에서 관찰한 파견무관들이 전쟁에서 나타난 근대적 무기(기관총, 대포)가 변환시킨 전쟁양상을 직접적으로 경험하였다. 하지만 제1차 세계대전 중에 나타났던 원거리 포격으로 전장이 확장되고 전투원과 비전투원의 경계가 희미해지는 총력전과 참호전이 낳은 파멸적 결과를 인지하지 못하고 나폴레옹 시대의 전쟁관에 머물렀다.
      번역하기

      프랑스 파견무관들은 근대적 전쟁을 러일전쟁을 통해 경험하면서도 전쟁의 근대적 성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였다. 프랑스 본국의 참모부 또한 러일전쟁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전망이 부...

      프랑스 파견무관들은 근대적 전쟁을 러일전쟁을 통해 경험하면서도 전쟁의 근대적 성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였다. 프랑스 본국의 참모부 또한 러일전쟁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전망이 부재하였다. 전쟁발발 직전 전쟁부가 생산한 정보에 바탕을 둔 프랑스 외교부와 전쟁부가 수립한 전쟁결과에 대한 전망은 완전히 빗나갔다. 전쟁을 직접 가까이에서 관찰한 파견무관들이 전쟁에서 나타난 근대적 무기(기관총, 대포)가 변환시킨 전쟁양상을 직접적으로 경험하였다. 하지만 제1차 세계대전 중에 나타났던 원거리 포격으로 전장이 확장되고 전투원과 비전투원의 경계가 희미해지는 총력전과 참호전이 낳은 파멸적 결과를 인지하지 못하고 나폴레옹 시대의 전쟁관에 머물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존 엘리스, "트렌치 코트에 낭만은 없었다: 참호에 갇힌 제1차 세계대전" 마티 2006

      2 버나드 로 몽고메리, "전쟁의 역사" 책세상 2004

      3 잭 런던, "잭 런던의 조선사람 엿보기: 1904년 러일전쟁종군기" 한울 1995

      4 가스통 르루, "러일전쟁, 제물포의 영웅들" 작가들 2006

      5 이주천, "러일전쟁 110주년을 기념하여: 과거 10년 동안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한국세계문화사학회 (33) : 221-252, 2014

      6 Prochasson, Christophe, "Vrai et faux dans la Grande Guerre" La Découverte 2004

      7 Paléologue, Maurice, "Un grand tournant de la politique mondiale 1904-1906" Plon 1934

      8 Nish, Ian, "The origins of the Russo-Japanese war" Longman 1985

      9 Kowner, Rotem, "The impact of the Russo-Japanese War" Routledge 2007

      10 Steinberg, John W., "The Russo-Japanese War in global perspective: world war zero, vol. II" Brill 2007

      1 존 엘리스, "트렌치 코트에 낭만은 없었다: 참호에 갇힌 제1차 세계대전" 마티 2006

      2 버나드 로 몽고메리, "전쟁의 역사" 책세상 2004

      3 잭 런던, "잭 런던의 조선사람 엿보기: 1904년 러일전쟁종군기" 한울 1995

      4 가스통 르루, "러일전쟁, 제물포의 영웅들" 작가들 2006

      5 이주천, "러일전쟁 110주년을 기념하여: 과거 10년 동안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한국세계문화사학회 (33) : 221-252, 2014

      6 Prochasson, Christophe, "Vrai et faux dans la Grande Guerre" La Découverte 2004

      7 Paléologue, Maurice, "Un grand tournant de la politique mondiale 1904-1906" Plon 1934

      8 Nish, Ian, "The origins of the Russo-Japanese war" Longman 1985

      9 Kowner, Rotem, "The impact of the Russo-Japanese War" Routledge 2007

      10 Steinberg, John W., "The Russo-Japanese War in global perspective: world war zero, vol. II" Brill 2007

      11 Steinberg, John W., "The Russo-Japanese War in global perspective: world war zero, vol. I" Brill 2005

      12 "Service Histoirque de l’Armée de Terre(S.H.A.T)"

      13 Ganiage, Jean, "L’Expansion coloniale de la France : sous la troisième république (1871-1914)" Payot 1968

      14 Guedj, François, "Le XXe Siècle des guerres" Editions de l’Atelier 2004

      15 Moon, JongHyun, "La guerre russo-japonaise (1904-1905) et une diffusion du péril jaune: Une étude sur les rapports entre la guerre et la représentation des Asiatiques" Universite Paris VII 2014

      16 Renouvin, Pierre, "La Question d’Extrême-Orient: 1894~1905" Centre de documentation universitaire 1952

      17 "Japon"

      18 Cosson, Olivier, "Expériences de guerre et anticipation à la veille de la Première Guerre mondiale. Les milieux militaires francobritanniques et les conflits extérieurs" (50) : 2003

      19 France, "Etat-major de l’armée de terre, Enseignements de la guerre russo-japonaise" 1907

      20 France, "Document diplomatique français, 2e série"

      21 Frémeaux, Jacques, "De quoi fut fait l’empire: Les guerres coloniales aux XIXe siècle" CNRS 2010

      22 "Chin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이민인종연구회 -> 이주사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Migration and Ethnicity Studies -> Korean Society for Migration History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