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의 내재화 문제와 공격 행동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and Aggressive Behavior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74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내재화 문제와 공격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B시 소재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만 8세의 발달장애(심한) 남자 ...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내재화 문제와 공격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B시 소재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만 8세의 발달장애(심한) 남자 아동이다. 본 연구는 주 1회 40분씩 총 40회기 진행하였으며 측정 도구는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CBCL 6-18)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발달장애 아동의 미술치료 회기별 변화에 따른 내재화 문제와 공격 행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 발달장애 아동의 내재화 문제(불안/우울, 위축/우울, 신체 증상)와 공격 행동에 대한 사전・사후・추후 T점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내재화 문제 중 불안/우울, 위축/우울, 신체 증상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공격 행동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내재화 문제 완화와 공격 행동 완화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춘, "정신지체아 교육" 신아출판사 1989

      2 이현아, "정서행동장애아동의 내면화, 외현화 문제의 완화 및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사례 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0 (20): 763-789, 2013

      3 보건복지부, "장애인현황 통계정보보고서"

      4 홍강의, "자폐장애 : 본질과 개념변천에 관한 고찰" 4 (4): 3-26, 1993

      5 최윤희, "임상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정서 변화에 미치는 영향"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0

      6 황윤세,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일과적응과 놀이특성 및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의 구조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2) : 213-230, 2010

      7 손진실, "유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과 적응기술, 공감능력, 작업기억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8 장혜경, "위축, 불안, 공격성을 가진 정서행동장애아동을 위한 모자(母子) 중심 가족미술치료 사례 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17 (17): 257-275, 2010

      9 Violet Oaklander, "아이들에게로 열린 창" 학지사 2006

      10 오경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CBCL 6-18)" ㈜휴노 2010

      1 이상춘, "정신지체아 교육" 신아출판사 1989

      2 이현아, "정서행동장애아동의 내면화, 외현화 문제의 완화 및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사례 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0 (20): 763-789, 2013

      3 보건복지부, "장애인현황 통계정보보고서"

      4 홍강의, "자폐장애 : 본질과 개념변천에 관한 고찰" 4 (4): 3-26, 1993

      5 최윤희, "임상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정서 변화에 미치는 영향"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0

      6 황윤세,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일과적응과 놀이특성 및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의 구조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2) : 213-230, 2010

      7 손진실, "유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과 적응기술, 공감능력, 작업기억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8 장혜경, "위축, 불안, 공격성을 가진 정서행동장애아동을 위한 모자(母子) 중심 가족미술치료 사례 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17 (17): 257-275, 2010

      9 Violet Oaklander, "아이들에게로 열린 창" 학지사 2006

      10 오경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CBCL 6-18)" ㈜휴노 2010

      11 안동현, "아동정신병리" 학지사 2018

      12 정현희 ; 정순화,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자기유능성지각과 문제행동" 대한가정학회 45 (45): 93-103, 2007

      13 오환영,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기능변인 및 또래공격피해가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4 김은정, "상반적 행동의 차별강화와 Time out이 자폐성 장애아동의 공격성 행동 감소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0

      15 권옥, "분노조절 훈련이 정신지체 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6

      16 김효정 ; 장현진 ; 신명선 ; 전희숙,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 중재에 관한 문헌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25 (25): 223-239, 2016

      17 금혜진, "발달장애아동의 모-자간 상호작용 특성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5

      18 임은숙, "발달미술치료가 정신지체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2

      19 Rubin, Judith A., "미술치료학개론" 학지사 2016

      20 박선희,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성인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단일대상 사례연구"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8

      21 김영자, "미술치료가 자폐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 위니컷의 정서발달 이론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22 서민혜, "미술치료가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공격성과 Tic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2010

      23 최외선, "미술치료 열두 달 프로그램(장애영역별 특성에 맞춘)" 학지사 2015

      24 이근매 ; 김혜영, "다양한 미술매체를 통한 미술치료가 발달지체아동의 불안 위축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장애학회 6 (6): 73-86, 2002

      25 신현숙, "가정환경 역경에 적응유연한 청소년의 보호요소에 관한 연구 : 학교적응,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5 (5): 141-161, 2004

      26 Turk J.,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young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49 (49): 872-875, 2005

      27 Hurtig, T., "Multi-informant reports of psychiatric symptoms among high-functioning adolescents with Asperger syndrome or autism" 13 (13): 583-598, 2009

      28 Achenbach, T. M., "Manual for the ASEBA School-Age Forms & Profiles" Unversity of Vermont, Research Center for Children, Youth, & Families 2001

      29 Dekker, M. C.,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nd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 43 (43): 1087-1098, 2002

      30 Koskentausta, T., "CBCL in the assessment of psychopathology in Finnish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25 (25): 341-354,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