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안보의식의 성별 차에 대한 담론 = Reassessing gender -based differences in the security perce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5222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십여 년 동안 한반도 내부 및 주변 정세가 급변하면서 국가안보의 개념이 재해석되고 또한 그 적용 범위도 확대되고 있으나, 국가안보에 대한 남성과 여성 간 인식차이를 둘러싸고 체...

      지난 십여 년 동안 한반도 내부 및 주변 정세가 급변하면서 국가안보의 개념이 재해석되고 또한 그 적용 범위도 확대되고 있으나, 국가안보에 대한 남성과 여성 간 인식차이를 둘러싸고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더구나 오랜 기간동안 안보에 관한 한 여성은 무관심하거나 무지하다는 통념에서 벗어나지 못한 결과, 성별 차에 근거한 안보의식의 격차를 단순하게 생물학적 차이나 경험부족에 기인한다고 상정함으로써 안보의식 성별 차에 관한 토론 자체가 불필요하다고 결론짓는다. 그러나`국가안보 (national security)`라는 개념 자체가 오랜 기간 동안군사주의 및 남성성 (masculinity)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던 점에 주목한다면, 안보의식의 성별 차는 안보와 관련된 정책과정에서 여성의 참여가 배제되는 것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실시된 국민 안보의식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안보의식의 성별 차에 대한 검토를 주요 목적으로 한다. 우선 안보의식의 성별 차에 관한 이론적 설명을 정리한 후, 전반적인 안보상황 및 안보 위협요인에 관해 남성과 여성 간 관점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피고, 안보와 관련된 문항에서 구체적으로 안보의식의 성별 차가 추상적 개념에 국한된 것인지 아니면 연관된 개별적 정책에서 보다 명백하게 나타나는지 검토한다. 본 논문은 안보의식에 관련된 설문 조사 결과에 근거해 표준치와 성별 차간의 격차를 제시함으로써 안보의식의 차이가 남성과 여성 간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는지 정리한다. 이러한 작업은 후에 안보와 관련된 사안에 대해 성별 차가 연령, 직업, 교육수준, 경제력, 거주지 등 다른 변수들과 구별되는 주요 변수로 작용하는지, 혹은 안보와 관련된 정책결정과정에서 여성 참여의 확대가 필요한지, 나아가 여성주의적 관점을 독려함으로써 탈냉전기 시대가 요구하는 안보정책이 가능 한지 등에 대한 논의로 발전하는데 필수적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1990s, demands have arisen to expand, if not modify, the definition of security in accordance with multi-faceted changes both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to incorporate the subsequent shifts in the public opinion on security need...

      Since the 1990s, demands have arisen to expand, if not modify, the definition of security in accordance with multi-faceted changes both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to incorporate the subsequent shifts in the public opinion on security needs into corresponding policies. In the absence of surveys conducted specifically among women who are in the position of influencing security policies, and then compared between elites and general public, however, it is rather premature to determine the nature of linkage between the perceptual gap across gender and its policy implication. This paper analyzes survey results on gender gap in the security perception from 1999 through 2002 among general public, thus it does not substantiate any claim regarding women`s enlarged participation in the policy-making policy. Yet by providing general insights into the significance of gender gap in the security perception, it illuminates how the perceptual gap manifests across gender and whether such a gender-based gap is limited to abstract ideas or applicable to specific policy questions regarding security issues. Based on these findings, I will contemplate how gender gap in the perception, if there exists any, may be reflected in policies, although my speculation is in no way specific to any definit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based perception gap on the one hand, and formation and implementation of security policies on the other hand. Nevertheless, this paper is a meager but meaningful effort to contributes to the study of gender gap by identifying exactly how men and women display different patterns of perception regarding security in Kore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n National Security Affairs -> Research Institute for National Security Affai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1 0.97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