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신공공관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비판적 실재론적 접근 = Critical Study of New Public Management: A Critical Realist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947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he critique of NPM-ontological, epistemological, methodological, substantial dimensions-according to the critical realism. Though there were a lot of works to critics of NPM, these were not sufficient to criticize NPM because of critique from empirical realist approach and idealist orientation. Bhaskar’ critical realism claims to be able to combine and reconcile ontological realism, epistemological relativism and judgmental rationality. NPM as the government reformation model have gained political popularity, supported by new political economics(public choice theory) critique of government failure. But NPM-one of the management mechanisms of welfare state crisis- has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weakening the legitimation of democratic state. This article criticizes atomic ontology, Human theory of causality,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substance of NPM, and suggests that the conception of governance from institutionalism is required for government reformation model.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paper is the critique of NPM-ontological, epistemological, methodological, substantial dimensions-according to the critical realism. Though there were a lot of works to critics of NPM, these were not sufficient to criticize NPM because...

      The aim of this paper is the critique of NPM-ontological, epistemological, methodological, substantial dimensions-according to the critical realism. Though there were a lot of works to critics of NPM, these were not sufficient to criticize NPM because of critique from empirical realist approach and idealist orientation. Bhaskar’ critical realism claims to be able to combine and reconcile ontological realism, epistemological relativism and judgmental rationality. NPM as the government reformation model have gained political popularity, supported by new political economics(public choice theory) critique of government failure. But NPM-one of the management mechanisms of welfare state crisis- has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weakening the legitimation of democratic state. This article criticizes atomic ontology, Human theory of causality,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substance of NPM, and suggests that the conception of governance from institutionalism is required for government reformation mod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부혁신 모델로서 신공공관리의 이론적 기초로는, 한편으로 조직 내 경영혁신을 통한 성과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신테일러주의(효율성과 통제에 관심을 가짐)와 다른 한편으로 공공선택이론, 주인대리인이론, 거래비용이론 등과 같은 교환이론의 시각에서 정치현상을 설명하는 신제도주의 경제학을 들 수 있다. 시장 중심적 정부개혁 모델인 신공공관리론의 이론적 한계 및 이에 대한 비판적 논의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논의에 기초한 정부혁신은 그 세를 더해가고 있다.
      이데올로기의 성격을 갖고 있는 신공공관리의 위력이 사그라들지 않는 것은(인간적인 모습을 한 신자유주의로 채색되는 ‘좋은 거버넌스’로 이어지고 있음), 이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사회적 실재를 소극적으로 방어하는 경험주의 실재론과 인식론에 기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신공공관리의 다양한 비판들은 해석틀 및 패러다임의 차이에 따른 비판으로서의 한계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문화적 맥락을 강조하는 문화적 상대주의라는 관념론의 오류에 빠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조직경제학의 가정과 가치를 대부분 담고 있는 신공공관리론을, 초월적 실재론의 전통에 서있는 바스카(Bhaskar)의 비판적 실재론에 기초하여 존재론적 측면, 인식론 및 방법론적 측면, 실질내용 측면 등에 대해 체계적으로 비판하고자 하였다. 또한 신공공관리에 대한 대안적 담론으로서의 거버넌스 논의를 새로운 행정개혁의 이론적 기초로 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신희영은
      서울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경주대학교 법정학부 행정학전공 교수로 재직중이다.
      번역하기

      정부혁신 모델로서 신공공관리의 이론적 기초로는, 한편으로 조직 내 경영혁신을 통한 성과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신테일러주의(효율성과 통제에 관심을 가짐)와 다른 한편으로 공공선...

      정부혁신 모델로서 신공공관리의 이론적 기초로는, 한편으로 조직 내 경영혁신을 통한 성과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신테일러주의(효율성과 통제에 관심을 가짐)와 다른 한편으로 공공선택이론, 주인대리인이론, 거래비용이론 등과 같은 교환이론의 시각에서 정치현상을 설명하는 신제도주의 경제학을 들 수 있다. 시장 중심적 정부개혁 모델인 신공공관리론의 이론적 한계 및 이에 대한 비판적 논의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논의에 기초한 정부혁신은 그 세를 더해가고 있다.
      이데올로기의 성격을 갖고 있는 신공공관리의 위력이 사그라들지 않는 것은(인간적인 모습을 한 신자유주의로 채색되는 ‘좋은 거버넌스’로 이어지고 있음), 이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사회적 실재를 소극적으로 방어하는 경험주의 실재론과 인식론에 기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신공공관리의 다양한 비판들은 해석틀 및 패러다임의 차이에 따른 비판으로서의 한계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문화적 맥락을 강조하는 문화적 상대주의라는 관념론의 오류에 빠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조직경제학의 가정과 가치를 대부분 담고 있는 신공공관리론을, 초월적 실재론의 전통에 서있는 바스카(Bhaskar)의 비판적 실재론에 기초하여 존재론적 측면, 인식론 및 방법론적 측면, 실질내용 측면 등에 대해 체계적으로 비판하고자 하였다. 또한 신공공관리에 대한 대안적 담론으로서의 거버넌스 논의를 새로운 행정개혁의 이론적 기초로 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신희영은
      서울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경주대학교 법정학부 행정학전공 교수로 재직중이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Governmental Studies(JG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6 1.36 1.72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