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2016년에 종료되는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의 성과를 평가하고, 그 동안 제기되었던 쟁점과 문제점의 종합적 논의를 통해 향후 정책적 · 제도적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916651
2017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5-38(34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16년에 종료되는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의 성과를 평가하고, 그 동안 제기되었던 쟁점과 문제점의 종합적 논의를 통해 향후 정책적 · 제도적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
본 연구에서는 2016년에 종료되는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의 성과를 평가하고, 그 동안 제기되었던 쟁점과 문제점의 종합적 논의를 통해 향후 정책적 · 제도적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자료 수집은 델파이 기법을 활용해 지역신문발전특별법과 관련이 있는 지역신문 종사자, 언론학자, 지역 언론 시민단체 종사자 등 전체 20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서면인터뷰를 진행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특별법의 성과를 살펴보면, 지역신문의 저널리즘 강화와 지역신문의 경영악화 방지 등의 단기적 성과는 달성했으나, 지역신문의 자생력 확보와 지역신문 시장의 구조개선이라는 궁극적 목표 달성에는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 제기되고 있는 쟁점으로는 대상 신문사의 선정 방식과 중복수혜의 문제 등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당면 현안으로 제기되었다. 향후 주요 개선방향으로는 특별법의 연장 운영과 대상 신문사의 선정 및 사업운영에 대한 엄격한 심사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신문발전을 위한 구체적 정책적 · 제도적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overnment policy focusing on the special law for local newspaper support, which was supposed to terminate on December 31, 2016. Further,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past projects and the discus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overnment policy focusing on the special law for local newspaper support, which was supposed to terminate on December 31, 2016. Further,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past projects and the discussion about the raised issues regarding the government policy and law, we wanted to list up the improved dictions in the near future. The data used to analyze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Delphi survey with a total of 20 experts including local newspaper reporters, media scholars, and civil organization activist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 special law has helped the local newspapers to improve a variety of their journalistic activities in the short term. However, it has provided the limitations in helping them to develop the restructuring of the media market in the long term. Second, when it comes to the raised issues in regard of the special law,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criteria of local newspaper selection and duplicate support should be re-considered for the future projects. Last, the respondents pointed out that there should be more strict review for projects of the local press development fund and an extension of the special law. Based on the findings, discussions for the future directions were follow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신문의 미래전략: 디지털 시대의 건강한 뉴스 생태계를위하여"
2 박태순, "프랑스 언론의 위기와 정책적 대응" 49-68, 2009
3 이수범, "지역언론 발전을 위한 법적⋅제도적 환경 개선방안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4 이상기, "지역신문발전기금 사업 평가 및 3개년 계획 수립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5 한국언론진흥재단, "지역신문발전기금 5년 성과와 한계"
6 최현철, "지역신문발전 지원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7 문화체육관광부, "지역신문발전 3개년 지원계획(2014년∼2016년)"
8 문화체육관광부, "지역신문발전 3개년 지원계획(2011년∼2013년)"
9 최경진, "지역신문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정책 및 법제 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25 : 163-187, 2004
10 최경진, "지역신문 지원정책의 성과와 과제: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을 중심으로" (8) : 127-144, 2009
1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신문의 미래전략: 디지털 시대의 건강한 뉴스 생태계를위하여"
2 박태순, "프랑스 언론의 위기와 정책적 대응" 49-68, 2009
3 이수범, "지역언론 발전을 위한 법적⋅제도적 환경 개선방안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4 이상기, "지역신문발전기금 사업 평가 및 3개년 계획 수립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5 한국언론진흥재단, "지역신문발전기금 5년 성과와 한계"
6 최현철, "지역신문발전 지원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7 문화체육관광부, "지역신문발전 3개년 지원계획(2014년∼2016년)"
8 문화체육관광부, "지역신문발전 3개년 지원계획(2011년∼2013년)"
9 최경진, "지역신문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정책 및 법제 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25 : 163-187, 2004
10 최경진, "지역신문 지원정책의 성과와 과제: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을 중심으로" (8) : 127-144, 2009
11 이정기, "지역신문 지원 평가에 따른지역신문 지원정책 개선방안 연구 : 지역신문 종사자들에 대한 서면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7 (57): 386-416, 2013
12 이수범, "지역신문 발전지원 특별법 및 지역조례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향"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454-481, 2013
13 김덕모,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신문 지원조례 추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41-77, 2012
14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수용자의식조사(2014)"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15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수용자 의식조사(2012)"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16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산업실태조사(2014)"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17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산업실태조사(2013)" 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18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사 재무분석(2013)" 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19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구독 경로조사(2012)"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20 주형일, "세계의 언론법제: 신문지원제도" 한국언론진흥재단 2009
21 김영주, "세계의 언론법제" 한국언론진흥재단 183-235, 2009
22 이상기, "분석적 마르크시즘의 공과(功過) - ‘마르크스주의 경제학’과 ‘신고전파 경제학’의 방법론 논쟁을 통한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의 방향 찾기" 한국언론정보학회 45 (45): 7-48, 2009
23 이병남, "미디어 지원제도의 성과와 한계 :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46 (46): 280-322, 2009
24 문종대, "디지털 구조조정 시대의 지역신문 생존전략"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7 (17): 33-61, 2013
25 이종성,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2001
26 김영욱, "뉴스미디어의 미래: 델파이 조사와 시나리오 기법을 통한 탐색"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27 김영욱, "국가 미디어 정책의 목표와 신문법. 위기의 한국신문현황, 문제점, 지원방안" 한국언론진흥재단 2005
28 Gritcher, C., "Utilizing the Delphi technique in policy discussion:A case study of a privatised utility in Britain" 76 (76): 431-449, 1998
반어법의 문장형식, 공손성, 맥락인지가 반어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광고에 대한 태도와 유명인 모델에 대한 모방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물질주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1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언론학연구 -> 지역과 커뮤니케이션외국어명 : Journalism & Communication -> Locality & Communication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9 | 0.79 | 0.8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3 | 0.8 | 1.339 | 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