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반어법의 문장형식, 공손성, 맥락인지가 반어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166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반어법에 관한 암묵적표시이론(IDT) 시각을 따르면 반어법은 화자의 기대가 무산된 상태에서 자신의 감정을 암시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사실과 반대로 이야기하는 전통적 형태뿐 아니라 수사적 질문이나 완곡어법과 같은 다양한 문장형식으로 반어법을 말할 수 있으며, 공손함도 반어법 성립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상황에 대해 화자가 느낄 부정적 감정 및 부정적 상황이 얼마나 일상적으로 발생하는가에 대한 추측 등 화자의 맥락에 대한 지식도 반어법을 평가하는 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논의를 경험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가상 화자의 반어법을 대상으로 피조사자들이 평가한 문장형식, 공손성, 화자의 맥락인지요인이 반어성 측정요인인 냉소성 및 유머성 평가에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냉소성 평가에 대해서 문장형식, 공손성 및 맥락인지요인들 모두 유의적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맥락인지요인 중 상황의 부정성, 문장형식 중 반대의 정적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공손성은 부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장형식 중 수사적 질문과 완곡어법, 맥락인지요인 중 부정상황의 일상성은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평가자들이 전형적인 반어법을 더욱 냉소적으로 지각한다는 것이며, 기대와 현실 사이 불일치 정도가 높은 발언을 더 냉소적으로 지각함을 시사한다. 유머성 평가에 대해서는 투입된 변인들 중 공손성 및 맥락인지요인 중 부정상황의 일상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공손성의 상대적 영향력이 더 컸다. 이는 과하지 않은 공손함은 반어법에 대한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부정적 상황일지라도 그것이 화자에게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평가자로 하여금 반어법을 유머로 느끼게 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반어법에 관한 암묵적표시이론(IDT) 시각을 따르면 반어법은 화자의 기대가 무산된 상태에서 자신의 감정을 암시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사실과 반대로 이야기하는 전통적 형태뿐 아니라 ...

      반어법에 관한 암묵적표시이론(IDT) 시각을 따르면 반어법은 화자의 기대가 무산된 상태에서 자신의 감정을 암시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사실과 반대로 이야기하는 전통적 형태뿐 아니라 수사적 질문이나 완곡어법과 같은 다양한 문장형식으로 반어법을 말할 수 있으며, 공손함도 반어법 성립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상황에 대해 화자가 느낄 부정적 감정 및 부정적 상황이 얼마나 일상적으로 발생하는가에 대한 추측 등 화자의 맥락에 대한 지식도 반어법을 평가하는 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논의를 경험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가상 화자의 반어법을 대상으로 피조사자들이 평가한 문장형식, 공손성, 화자의 맥락인지요인이 반어성 측정요인인 냉소성 및 유머성 평가에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냉소성 평가에 대해서 문장형식, 공손성 및 맥락인지요인들 모두 유의적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맥락인지요인 중 상황의 부정성, 문장형식 중 반대의 정적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공손성은 부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장형식 중 수사적 질문과 완곡어법, 맥락인지요인 중 부정상황의 일상성은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평가자들이 전형적인 반어법을 더욱 냉소적으로 지각한다는 것이며, 기대와 현실 사이 불일치 정도가 높은 발언을 더 냉소적으로 지각함을 시사한다. 유머성 평가에 대해서는 투입된 변인들 중 공손성 및 맥락인지요인 중 부정상황의 일상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공손성의 상대적 영향력이 더 컸다. 이는 과하지 않은 공손함은 반어법에 대한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부정적 상황일지라도 그것이 화자에게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평가자로 하여금 반어법을 유머로 느끼게 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mplicit display theory claims that verbal irony is an utterance or a statement that implicitly displays ironic environment, a proper situational setting in the discourse context, and that verbal irony is a prototype-based category. With this perspective, an irony is perceived through a complex interaction between an utterance and its context and serves many social functions such as to be sarcastic and to be humoro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what role linguistic style and contextual information play in the appreciation of ironic functions(i.e., assessing the degree of sarcasm and humor). An experiment demonstrated that the degree of sarcasm was affected by linguistic style(i.e., sentence type and politeness) and contextual information(i.e., context negativity and ordinariness of negative situation) both. Context negativity of contextual information and opposition of sentence type were higher than other factors. And the degree of humor was affected by politeness(linguistic style) and ordinariness of negative situation(contextual information). These results are almost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by the implicit display theory, a cognitive theory of verbal irony. Discussion of the findings also suggests that prototypical irony(opposition) was conceived as more sarcastic than other linguistic styles, and politeness in utterances was conceived as more humorous than other linguistic styles and contextual information. The implicit display theory can account for an indirect effect of context on the degree of irony.
      번역하기

      The implicit display theory claims that verbal irony is an utterance or a statement that implicitly displays ironic environment, a proper situational setting in the discourse context, and that verbal irony is a prototype-based category. With this pers...

      The implicit display theory claims that verbal irony is an utterance or a statement that implicitly displays ironic environment, a proper situational setting in the discourse context, and that verbal irony is a prototype-based category. With this perspective, an irony is perceived through a complex interaction between an utterance and its context and serves many social functions such as to be sarcastic and to be humoro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what role linguistic style and contextual information play in the appreciation of ironic functions(i.e., assessing the degree of sarcasm and humor). An experiment demonstrated that the degree of sarcasm was affected by linguistic style(i.e., sentence type and politeness) and contextual information(i.e., context negativity and ordinariness of negative situation) both. Context negativity of contextual information and opposition of sentence type were higher than other factors. And the degree of humor was affected by politeness(linguistic style) and ordinariness of negative situation(contextual information). These results are almost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by the implicit display theory, a cognitive theory of verbal irony. Discussion of the findings also suggests that prototypical irony(opposition) was conceived as more sarcastic than other linguistic styles, and politeness in utterances was conceived as more humorous than other linguistic styles and contextual information. The implicit display theory can account for an indirect effect of context on the degree of iron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연구목적
      • 2. 기존 문헌의 고찰
      • 3. 조사연구의 방법
      • 4. 연구결과
      • 5. 결론 및 논의
      • 1. 연구목적
      • 2. 기존 문헌의 고찰
      • 3. 조사연구의 방법
      • 4. 연구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oates, L. J., "collaborative theory of inversion: Irony in dialogue" University of Victoria 1991

      2 Roberts, R. M., "Why do people use figurative language?" 5 : 159-163, 1994

      3 Utsumi, A., "Verbal irony as implicit display of ironic environment: Distinguishing ironic utterances from nonirony" 32 : 1777-1806, 2000

      4 Pexman, P. M., "Understanding irony: How do stereotypes cue speaker intent?" 21 (21): 245-247, 2002

      5 Kreuz, R. J., "Two cues for verbal irony : Hyperbole and the ironic tone of voice" 10 : 21-31, 1995

      6 Wilson, D., "Truthfulness and relevance" 111 : 583-632, 2002

      7 Attardo, S., "The semantic foundations of cognitive theories of humor" 10 (10): 395-420, 1997

      8 Milosky, L. M., "The role of prosody in children’s inferences of ironic intent" 23 : 47-61, 1997

      9 Gibbs, R. W. Jr, "The poetics of mi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0 Sperber, D., "The mapping between the mental and the public lexicon" 184-200, 1998

      1 Coates, L. J., "collaborative theory of inversion: Irony in dialogue" University of Victoria 1991

      2 Roberts, R. M., "Why do people use figurative language?" 5 : 159-163, 1994

      3 Utsumi, A., "Verbal irony as implicit display of ironic environment: Distinguishing ironic utterances from nonirony" 32 : 1777-1806, 2000

      4 Pexman, P. M., "Understanding irony: How do stereotypes cue speaker intent?" 21 (21): 245-247, 2002

      5 Kreuz, R. J., "Two cues for verbal irony : Hyperbole and the ironic tone of voice" 10 : 21-31, 1995

      6 Wilson, D., "Truthfulness and relevance" 111 : 583-632, 2002

      7 Attardo, S., "The semantic foundations of cognitive theories of humor" 10 (10): 395-420, 1997

      8 Milosky, L. M., "The role of prosody in children’s inferences of ironic intent" 23 : 47-61, 1997

      9 Gibbs, R. W. Jr, "The poetics of mi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0 Sperber, D., "The mapping between the mental and the public lexicon" 184-200, 1998

      11 Lee, C. J., "The differential role of ridicule in sarcasm and irony" 13 : 1-15, 1998

      12 Haiman, J., "Talk is cheap: Sarcasm, alienation, and the evolution of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3 Grice, H. P., "Studies in the way of word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14 Coser, R. L, "Some social functions of laughter" 12 : 171-182, 1959

      15 Ducharme, L., "Sarcasm and interactional politics" 17 : 51-62, 1994

      16 Sperber, D., "Relevance: Communication and cogn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6

      17 Bryant, G. A., "Recognizing verbal irony in speech" 17 : 99-117, 2002

      18 Brown, P., "Politeness: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19 Okamoto, S., "Politeness and the perception of irony : Honorifics in Japanese" 17 (17): 119-139, 2002

      20 Wilson, D., "On verbal irony" 87 : 53-76, 1992

      21 Colston, H. L., "On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verbal irony comprehension" 8 : 277-324, 2000

      22 Giora, R., "On our mind: Salience, context, and figurative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3 Giora, R., "On irony and negation" 19 (19): 239-264, 1995

      24 Kreuz, R. J., "On being ironic : Pragmatic and mnemonic implications" 6 : 149-162, 1991

      25 Kreuz, R., "Metaphor: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Lawrence Erlbaum 23-38, 1996

      26 Seckman, M. A., "Jocularity, sarcasm, and relationships : An empirical study" 18 (18): 327-344, 1989

      27 Gibbs, R. W. Jr., "Irony in talk among friends" 15 : 5-27, 2000

      28 Attardo, S., "Irony as relevant inappropriateness" 32 (32): 793-826, 2000

      29 Yus, F., "Humor and the search for relevance" 35 : 1295-1331, 2003

      30 Kreuz, R. J., "How to be sarcastic: The echoic reminder theory of verbal irony" 118 : 374-386, 1989

      31 Ivanko, S. L., "How sarcastic are you? Individual differences and verbal irony" 23 (23): 244-271, 2004

      32 Kumon-Nakamura, S., "How about another piece of pie : The allusional pretense theory of discourse irony" 124 : 3-21, 1995

      33 Hay, J., "Functions of humor in the conversations of men and women" 32 (32): 709-742, 2000

      34 Lim, T. S., "Facework solidarity, approbation, and tact" 17 (17): 415-450, 1991

      35 Leggitt, J. S., "Emotional reactions to verbal irony" 29 : 1-24, 2000

      36 Pexman, P. M., "Does sarcasm always sting. Investigating the Impact of Ironic Insults and Ironic Compliments" 33 (33): 199-218, 2002

      37 Colston, H. L., "Contrast and assimilation in verbal irony" 34 (34): 111-142, 2002

      38 Tidwell, L. C.,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effects on disclosure, impressions, and interpersonal evaluations: Getting to know one another a bit at a time" 28 (28): 317-348, 2002

      39 Happé, 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heory of mind in autism: A test of relevance theory" 48 : 101-119, 1993

      40 Hancock, J. T., "Children’s comprehension of critical and complimentary forms of verbal irony" 1 : 227-248, 2000

      41 Gerrig, R. J., "Additive effects in the perception of sarcasm : Situational disparity and echoic mention" 15 : 197-208, 2000

      42 Suls, J. M., "A two-stage model for the appreciation of jokes and cartoons: An information-processing analysis" 1 : 81-100, 1972

      43 Fowler, H. W., "A Dictionary of Modern English Usage" Oxford University Press 196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론학연구 ->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외국어명 : Journalism & Communication -> Locality & Communication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 1.339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