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 문서와 실행의 관계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 연구 =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201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their implementation according to expert perce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480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문서와 실행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의도적 표집을 활용해 2회기의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고, 교육과정 문서의 실행요소를 살펴본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변화의 필요성, 실행의 명료성, 실행의 복잡성, 질 및 실용성의 4가지 주제와 놀이중심 가치의 재정립, 국가수준교육과정의 정체성 성찰, 대강화: 교육과정 실천과 문해력 차이, 포괄성: 놀이의 협소화, 놀이와 활동의 이분화, 실행수준의 모호함, 실행의 책임성과 전문성 인식, 학습공동체를 통한 실행지원, 이해를 지원하는 문서 양식 8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 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문서보완에 대한 연구와 체계적 구성으로 변경, 유아기 핵심역량 도출을 위한 필요성을 논의하였으며, ‘교육과정’ 고시문에 제시된 용어에 대한 세밀한 연구의 필요성, 대강화 정책 이전에 유아기에 가르쳐야 할 내용, 연령별 제시에 대한 기초 연구, 교육과정 실행지원을 위한 내용 포함의 필요성과이를 위한 기초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문서와 실행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의도적 표집을 활용해 2회기의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고, 교육...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문서와 실행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의도적 표집을 활용해 2회기의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고, 교육과정 문서의 실행요소를 살펴본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변화의 필요성, 실행의 명료성, 실행의 복잡성, 질 및 실용성의 4가지 주제와 놀이중심 가치의 재정립, 국가수준교육과정의 정체성 성찰, 대강화: 교육과정 실천과 문해력 차이, 포괄성: 놀이의 협소화, 놀이와 활동의 이분화, 실행수준의 모호함, 실행의 책임성과 전문성 인식, 학습공동체를 통한 실행지원, 이해를 지원하는 문서 양식 8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 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문서보완에 대한 연구와 체계적 구성으로 변경, 유아기 핵심역량 도출을 위한 필요성을 논의하였으며, ‘교육과정’ 고시문에 제시된 용어에 대한 세밀한 연구의 필요성, 대강화 정책 이전에 유아기에 가르쳐야 할 내용, 연령별 제시에 대한 기초 연구, 교육과정 실행지원을 위한 내용 포함의 필요성과이를 위한 기초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xpert percep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documents and their implementation. To achieve this, focus group interviews and an analysis based on execution factors were conducted. As a result, four main themes emerged: the need for change, clarity of execution, complexity of execution, and quality and practicality. These theme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eight subtopics, including the reevaluation of play-centered values, reflection on the national-level curriculum’s identity, magnification: the gap between curriculum practice and literacy, comprehensiveness: the narrowing of play/play and activity division, ambiguity at the execution level, perceptions of responsibility and expertise in execution, support for implementation through learning communities, and document formats that enhance understanding. Based on the findings, improvement and restructuring of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the importance of extracting core competencies for early childhood were discussed. Furthermore, in-depth research into the terminology, content, age-specific recommendations, and the need for future foundational research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xpert percep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documents and their implementation. To achieve this, focus group interviews and an analysis based on execution factors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xpert percep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documents and their implementation. To achieve this, focus group interviews and an analysis based on execution factors were conducted. As a result, four main themes emerged: the need for change, clarity of execution, complexity of execution, and quality and practicality. These theme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eight subtopics, including the reevaluation of play-centered values, reflection on the national-level curriculum’s identity, magnification: the gap between curriculum practice and literacy, comprehensiveness: the narrowing of play/play and activity division, ambiguity at the execution level, perceptions of responsibility and expertise in execution, support for implementation through learning communities, and document formats that enhance understanding. Based on the findings, improvement and restructuring of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the importance of extracting core competencies for early childhood were discussed. Furthermore, in-depth research into the terminology, content, age-specific recommendations, and the need for future foundational research were suggest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