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연과학편 :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의 강도가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과산화지질 및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Intensity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MDA, and Antioxidant Enzymes in Middle-aged Obese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468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의 강도가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과산화지질, 그리고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7명)은 VO<sub>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의 강도가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과산화지질, 그리고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7명)은 VO<sub>2</sub>max의 70%로 일회 42.87분간, 저강도 트레이닝 집단(7명)은 VO<sub>2</sub>max의 50%로 일회 72.88분간, 주 3~5회, 14주간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7명)은 동일한 처치기간 동안 일상생활을 유지하였다. 처치 전과 후에 종속변인을 측정하여 집단 간, 그리고 검사 간에 비교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의 체중, BMI, 그리고 체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된 반면, 저강도 트레이닝 집단의 경우 관련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2) MDA는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과 저강도 트레이닝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3) GPx의 활성도는 모든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SOD는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과 저강도 트레이닝 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CAT는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증가된 반면, 저강도 트레이닝 집단과 통제 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에서 기술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에 의하여 강도에 관계없이 MDA가 감소되고 SOD가 증가되었지만,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에서만 체지방이 감소되고 CAT 활성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 고강도 트레이닝이 저강도 트레이닝에 비하여 비만의 해소와 항산화 시스템의 강화에 보다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nsity of 14 week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concentration of malondialdehyde(MDA) and activation of antioxidant enzymes in middle aged women. Twenty-one inactive healthy obes...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nsity of 14 week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concentration of malondialdehyde(MDA) and activation of antioxidant enzymes in middle aged women. Twenty-one inactive healthy obese females (mean BMI=26.7), aged 30-49, were divided into one of three groups, i.e., high intensity training group (HTG: jogging at 70%VO<sub>2</sub>max, n=7), low intensity training group (LTG: walking at 50%VO<sub>2</sub>max, n=7), and control group (CON, n=7). Equal amount of exercise was given to both training groups. Repeated two-way ANOVA and proper post hoc test were performed to find difference of means between two tests and among three groups.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Weight, BMI, and fat mass (P<.05)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HTG, but not in LTG and CON. 2) The concentration of MDA significantly decreased in HTG and LTG, but not in CON. 3) Glutathione peroxidase (GPx)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all groups. Superoxide dismutase (SOD) increased significantly in HTG and LTG, but not in CON. Catalase (CAT) increased significantly in HTG, but not in LTG and CON. It was concluded that high intensity exercise training had greater antioxidant effects compared to low intensity exercise trai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경, "중년여성의 12주간 에어로빅댄스 운동이 SOD, CAT, MDA와 카테콜라민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7 (17): 755-766, 2008

      2 김승환, "종목별 운동 선수들의 혈중 GPx, GR 활성과 과산화지질에 관한 연구" 40 (40): 779-790, 2001

      3 김수남, "유산소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복부지방, 혈중지질 및 렙틴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영양학회 12 (12): 95-103, 2008

      4 박진기, "유산소운동이 중년 비만 남성의 신체조성 및 최대산소섭취량과 경동맥 내경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7 (17): 31-38, 2008

      5 권유찬, "유산소 트레이닝이 고령여성의 림프구 활성도 및 NK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1 (41): 543-552, 2002

      6 남상남, "유산소 운동을 병행한 근 저항성 운동이 노인 여성의 혈중 MDA 및 SOD, GPx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9 (9): 391-398, 2009

      7 정행곤, "유산소 운동과 웨이트 트레이닝이 중년비만 여성의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349-356, 2005

      8 이윤미, "운동강도에 따른 MDA와 SOD의 변화" 한국운동영양학회 12 (12): 83-88, 2008

      9 엄우섭, "운동강도에 따른 12주간 유산소성 운동이 지질 과산화물(MDA)과 항산화 효소(SOD)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3 (13): 355-350, 2004

      10 박일봉, "운동 강도에 따른 장기간 저항성 운동이 중년여성들의 과산화지질(MDA)과 항산화효소(SOD)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7 (17): 11-18, 2006

      1 김은경, "중년여성의 12주간 에어로빅댄스 운동이 SOD, CAT, MDA와 카테콜라민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7 (17): 755-766, 2008

      2 김승환, "종목별 운동 선수들의 혈중 GPx, GR 활성과 과산화지질에 관한 연구" 40 (40): 779-790, 2001

      3 김수남, "유산소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복부지방, 혈중지질 및 렙틴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영양학회 12 (12): 95-103, 2008

      4 박진기, "유산소운동이 중년 비만 남성의 신체조성 및 최대산소섭취량과 경동맥 내경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7 (17): 31-38, 2008

      5 권유찬, "유산소 트레이닝이 고령여성의 림프구 활성도 및 NK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1 (41): 543-552, 2002

      6 남상남, "유산소 운동을 병행한 근 저항성 운동이 노인 여성의 혈중 MDA 및 SOD, GPx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9 (9): 391-398, 2009

      7 정행곤, "유산소 운동과 웨이트 트레이닝이 중년비만 여성의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349-356, 2005

      8 이윤미, "운동강도에 따른 MDA와 SOD의 변화" 한국운동영양학회 12 (12): 83-88, 2008

      9 엄우섭, "운동강도에 따른 12주간 유산소성 운동이 지질 과산화물(MDA)과 항산화 효소(SOD)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3 (13): 355-350, 2004

      10 박일봉, "운동 강도에 따른 장기간 저항성 운동이 중년여성들의 과산화지질(MDA)과 항산화효소(SOD)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7 (17): 11-18, 2006

      11 김홍인, "스트레칭운동과 유산소운동이 중년 여성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13 (13): 211-219, 2004

      12 김기진, "비만인의 지방대사 활성화르 위한 운동의 역할" 한국운동생리학회 12 (12): 553-573, 2003

      13 주용식, "근저항 트레이닝이 혈중 과산화지질 및 황산화효소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22) : 603-613, 2004

      14 우진희, "개별 열량 소비 트레이닝이 비만 어린이의 산화-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9 (19): 75-81, 2008

      15 Evans, W. J, "Vitamin E, Vitamin C and Exercise" 72 (72): 647-652, 2000

      16 Hadjigogos, K, "The role of free radical in the pathogenesis of rheumatoid arthritis" 45 (45): 7-13, 2003

      17 Miyazaki, H, "Strenuous endurance training in humans reduces oxidative stress following exhausting exercise" 86 : 1-6, 2001

      18 양윤권, "Selenium과 Vitamin E 혼합 섭취가 항산화효소 활성과 과산화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영양학회 12 (12): 157-162, 2008

      19 Wilmore, J. H, "Physiology of Sport and Exercise" Human Kinetics 2002

      20 Fatouros, I. G, "Oxidative stress responses in older men during endurance training and detraining" 36 : 2065-2072, 2004

      21 Vincent, H. K, "Oxidative stress and potential interventions to reduce oxidative stress in overweight and obesity" 9 (9): 813-839, 2007

      22 Yacine, A, "Obesity,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61 (61): 653-659, 2007

      23 Olusi, S. O, "Obesity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plasma lipid peroxidation and depletion of erythrocyte cytoprotectic enzymes in humans" 26 (26): 1159-1164, 2002

      24 Vincent, H. K, "Obesity exacerbates oxidative stress levels after acute exercise" 36 : 772-779, 2004

      25 Vincent, H. K, "Obesity and post-exercise oxidative stress in older women" 37 : 213-219, 2005

      26 Higdon, J. V, "Obesity and oxidative stress: a direct link to CVD" 23 (23): 365-367, 2003

      27 Wanagat, J, "Mitochondrial DNA deletion mutations colocalize with segmental electron transport system abnormalities, muscle fiber atrophy, fiber splitting, and oxidative damage in sarcopenia" 15 (15): 322-332, 2001

      28 Jenkins, R. R, "Introduction: oxidant stress, aging, exercise" 25 : 210-212, 1993

      29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8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9

      30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7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

      31 Horowitz, J. F, "Fatty acid mobilization from adipose tissue during exercise" 14 (14): 386-392, 2003

      32 Alessio, H. M, "Exercise-induced oxidative stress" 25 : 218-224, 1993

      33 Ozcelik, O, "Exercise training as an adjunct to orlistat therapy reduces oxidative stress in obese subject" 206 (206): 313-318, 2005

      34 Stewart, K. J, "Exercise effects on bone mineral density relationships to changes in fitness and fatness" 28 (28): 453-460, 2005

      35 Kim, S. H, "Effect of panax ginseng extract on exercise-induced oxidative stress" 45 : 1-5, 2005

      36 Mougios, V, "Does the intensity of an exercise programme modulate body composition changes" 27 (27): 178-181, 2006

      37 노성규, "Coenzyme Q10 섭취가 노인들의 혈중 산화적 스트레스 지표 및 항산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영양학회 13 (13): 29-35, 2009

      38 Ji, L. L, "Antioxidant enzymes response to exercise and aging" 35 : 225-231, 2003

      39 Heywood, V. H, "Advanced Fitness Assessment and Exercise Prescription" Human Kinetics 2002

      40 Imbeault, P, "Acute effects of exercise on energy intake and feeding behaviour" 77 (77): 511-521, 1997

      41 Ohkawara, K, "A dose-response relation between aerobic exercise and visceral fat reduction: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trials" 31 (31): 1786-1797, 2007

      42 조양현, "8주 간의 유산소운동이 비만여성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간효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8) : 755-764, 2009

      43 김구, "12주간의 댄스스포츠 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및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영양학회 12 (12): 77-82, 2008

      44 이신호, "12주 동안의 운동 강도 차이가 중년여성의 산화스트레스, 항산화 효소 및 백혈구 DNA 텔로미어 길이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8 (18): 34-43, 2007

      45 박수현, "12주 걷기 운동 프로그램의 운동강도가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복부지방, 심폐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6 (16): 1-10,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5 1.2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