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팩트체크 정보 추구와 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에 대한 연구 : 국내 코로나19바이러스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723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mportance and the volume of fact-checking services have steadily increased since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in 2016, and Fact Checks have taken root in today’s world as a new typ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online information. We are living in a post-truth world where pleadind to people’s personal beliefs and emotions play a bigger role in creating the public opinion. Objective facts are often neglected, and frequent lies blur the line between truth and falsity while overwhelming people’s ability to discern truth. Eventually, people question the existence of objective truth. Against this backdrop, fact-check fights against the Infodemic as a response to misinformation, and as an information service that helps people to use their own discretion in judging information.
      Despite plenty of discussions over the effectiveness of Fact Checks as a countermeasure to misinformation and the automation of Fact Checks, there is still considerable ambiguity regarding who uses the fact-checking services, pursues correct information, and shares it. Fact Checks have become mainstream over the past four years. But few studies have looked into how fact-checking services users evalute those services. Studies related to Fact Checks today are heavily focused on the context of the U.S., which makes it even harder to observe users of fact-checking services in Korea.
      Due to the increased user demand, fact-check now covers broader topics, especially after the spread of COVID-19. Nonetheless, most preceding research only focused on political fact-check. Wrong information can aggravate the public health care crisis; thus, it needs to be keenly observed as it is directly linked to an individual’s health. On top of that, considering that many factors known to have affected the usage of political fact-checking services may have not affected people using health-related Fact Checks, there is an urgent need to research health-related fact-check.
      This study observed personal factors influencing users’ decisions in using and sharing COVID-19 related fact-checking services. The study took three steps: first, as a part of a theoretical approach, the researcher investigated preceding documents that studied users’ ‘Fact Checks’, ‘misinformation’, and ‘online-health information’. The researcher recognized personal factors that can affect information seeking and sharing when fact-checking health-related issues; second, as an empirical approach, the researcher had in-depth interviews with online information users residing in Korea who have used health-related fact-checked information. The analyzed interview data was utilized in complementing and improving the literature review while being reflected upon the hypothesis and creating a survey; third, the researcher carried out an online survey amongst information users who reside in Korea and reached a conclusion by statistically analyzing 304 sets of data using SPSS 25.0 program.
      Except for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all personal factors (such as personality traits, Health Beliefs, Health Anxiety, New-Media Literacy) presumed to have affected COVID-19 fact-check seeking and sharing behavior turned out to have affected the behavior in a meaningful way. The study has proven that Health Belief variables (such as health consciousness,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susceptibility), which were ignored in previous political fact-check user research, have proven to be influencing factors of fact-check usage. Also,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ritical presuming literacy, which has turned out to be the key predictor in sharing and disseminating misinformation in previous research has a strong causal relationship with fact-check seeking and fact-check sharing, which suggests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era of post-truth is paramount and follow-up studies regarding misinformation and fact-checking information combined are necessary.
      This study has expanded the notion of fact-check from a type of journalism to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ervices’ and suggested that ‘fact-check’ has the potential of growing as an expanded information service where experts in broader areas can participat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of help in pursuing ‘fact’ and ‘truth’ in this post-truth world.
      번역하기

      The importance and the volume of fact-checking services have steadily increased since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in 2016, and Fact Checks have taken root in today’s world as a new typ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online information. We are ...

      The importance and the volume of fact-checking services have steadily increased since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in 2016, and Fact Checks have taken root in today’s world as a new typ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online information. We are living in a post-truth world where pleadind to people’s personal beliefs and emotions play a bigger role in creating the public opinion. Objective facts are often neglected, and frequent lies blur the line between truth and falsity while overwhelming people’s ability to discern truth. Eventually, people question the existence of objective truth. Against this backdrop, fact-check fights against the Infodemic as a response to misinformation, and as an information service that helps people to use their own discretion in judging information.
      Despite plenty of discussions over the effectiveness of Fact Checks as a countermeasure to misinformation and the automation of Fact Checks, there is still considerable ambiguity regarding who uses the fact-checking services, pursues correct information, and shares it. Fact Checks have become mainstream over the past four years. But few studies have looked into how fact-checking services users evalute those services. Studies related to Fact Checks today are heavily focused on the context of the U.S., which makes it even harder to observe users of fact-checking services in Korea.
      Due to the increased user demand, fact-check now covers broader topics, especially after the spread of COVID-19. Nonetheless, most preceding research only focused on political fact-check. Wrong information can aggravate the public health care crisis; thus, it needs to be keenly observed as it is directly linked to an individual’s health. On top of that, considering that many factors known to have affected the usage of political fact-checking services may have not affected people using health-related Fact Checks, there is an urgent need to research health-related fact-check.
      This study observed personal factors influencing users’ decisions in using and sharing COVID-19 related fact-checking services. The study took three steps: first, as a part of a theoretical approach, the researcher investigated preceding documents that studied users’ ‘Fact Checks’, ‘misinformation’, and ‘online-health information’. The researcher recognized personal factors that can affect information seeking and sharing when fact-checking health-related issues; second, as an empirical approach, the researcher had in-depth interviews with online information users residing in Korea who have used health-related fact-checked information. The analyzed interview data was utilized in complementing and improving the literature review while being reflected upon the hypothesis and creating a survey; third, the researcher carried out an online survey amongst information users who reside in Korea and reached a conclusion by statistically analyzing 304 sets of data using SPSS 25.0 program.
      Except for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all personal factors (such as personality traits, Health Beliefs, Health Anxiety, New-Media Literacy) presumed to have affected COVID-19 fact-check seeking and sharing behavior turned out to have affected the behavior in a meaningful way. The study has proven that Health Belief variables (such as health consciousness,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susceptibility), which were ignored in previous political fact-check user research, have proven to be influencing factors of fact-check usage. Also,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ritical presuming literacy, which has turned out to be the key predictor in sharing and disseminating misinformation in previous research has a strong causal relationship with fact-check seeking and fact-check sharing, which suggests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era of post-truth is paramount and follow-up studies regarding misinformation and fact-checking information combined are necessary.
      This study has expanded the notion of fact-check from a type of journalism to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ervices’ and suggested that ‘fact-check’ has the potential of growing as an expanded information service where experts in broader areas can participat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of help in pursuing ‘fact’ and ‘truth’ in this post-truth wor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팩트체크는 2016 미국대선을 계기로 그 중요성과 공급량이 점점 증가하며, 오늘날 새로운 유형의 온라인 정보 행태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객관적인 사실보다 정서와 개인적인 믿음에 호소하는 것이 여론을 형성하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치고, 빈번한 거짓말이 무엇이 진실이고 거짓인지를 판단하는 개인의 능력을 압도할 때 진실이 존재한다는 생각에 대한 회의감을 갖게 만드는 사회적 현상인 탈진실 시대 속에서 팩트체크는 허위정보의 대응책으로써, 이용자들 스스로가 정보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돕고 교육하는 정보서비스로써 인포데믹에 맞서고 있다.
      이러한 팩트체크가 허위정보의 대응책으로서의 효과성, 팩트체크의 자동화 등에 대해서는 제법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누가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며 정보를 추구하고 공유하는지에 대해서는 이해가 여실히 부족하다. 또한, 팩트체크가 활성화 양상을 띠기 시작한 이후 약 4년의 세월 동안, 이러한 서비스 및 정보를 얼마나,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용자 관점에서의 관찰도 부족하였다. 오늘날의 팩트체크 관련 연구는 압도적으로 미국 문맥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국내의 경우는 더욱 그러할 것이다.
      오늘날의 팩트체크는 이용자의 수요에 따라 다루는 주제 영역이 넓어지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19바이러스에 관한 팩트체킹 수가 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은 정치 이슈를 기반으로 탐구되고 있었다. 보건 위기 상황에서 잘못된 정보는 위기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며, 개인의 건강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더욱 면밀하게 관찰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정치적 이슈 관련 연구에서 팩트체크 이용의 영향 요인으로 언급된 요인들이 건강 이슈 관련 팩트체크 이용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건강 이슈에 집중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바이러스에 관한 건강 이슈 팩트체크를 추구하고 공유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국내 정보 이용자의 개인적 요인에 대해 관찰하였다. 연구 진행은 세 가지 단계로 이루어졌다. 첫째, 이론적 접근으로 ‘팩트체크’, ‘허위정보’, ‘온라인 건강정보’의 이용자를 주제로 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건강 이슈 관련 팩트체크 정보 추구와 공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적 요인들을 일차적으로 파악하였다. 둘째, 실증적 접근으로 건강 이슈에 관한 내용으로 팩트체크 정보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국내 온라인 정보 이용자 4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내용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도출된 결론은 문헌 연구를 통해 구축한 내용을 보완하거나 발전시키는 데 활용하여 가설 수립 및 설문 문항 작성에 반영하였다. 셋째, 국내 정보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환경을 통해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이를 통해 확보한 총 304개의 데이터를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최종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코로나19 팩트체크 추구 및 공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한 개인적 요인(성격, 건강 신념, 건강 불안, 비판적 뉴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요인 중 신경증, 성실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직·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정치 이슈 관련 팩트체크 이용자 연구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건강 신념 변수(건강 관심,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개연성 등)가 팩트체크 이용의 영향 요인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그동안 허위정보 연구(염정윤 정세훈 2019; 이지형 2020)에서 허위정보의 공유 및 확산의 핵심 예측 요인으로 밝혀진 비판적 생비 리터러시가 본 연구에서는 허위정보와 대척점에 있는 정보라고 할 수 있는 팩트체크 정보의 추구와 공유에도 강한 인과관계를 맺는다는 점이 드러나, 오늘날의 탈진실 시대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이 중요하며, 차후 허위정보와 팩트체크 정보를 함께 고려하는 후속 연구에 대한 시도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대체로 저널리즘의 한 유형으로 여겨지던 팩트체크의 개념을 ‘정보’와 ‘정보서비스’로 확장함으로써, 팩트체크가 향후 더 광범위한 주제 영역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등 확장된 영역의 정보서비스로 성장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탈진실 시대 속에서 ‘사실’과 ‘진실’을 추구하려는 노력이 계속되는 데 있어 본 연구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팩트체크는 2016 미국대선을 계기로 그 중요성과 공급량이 점점 증가하며, 오늘날 새로운 유형의 온라인 정보 행태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객관적인 사실보다 정서와 개인적인 믿음에 호소...

      팩트체크는 2016 미국대선을 계기로 그 중요성과 공급량이 점점 증가하며, 오늘날 새로운 유형의 온라인 정보 행태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객관적인 사실보다 정서와 개인적인 믿음에 호소하는 것이 여론을 형성하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치고, 빈번한 거짓말이 무엇이 진실이고 거짓인지를 판단하는 개인의 능력을 압도할 때 진실이 존재한다는 생각에 대한 회의감을 갖게 만드는 사회적 현상인 탈진실 시대 속에서 팩트체크는 허위정보의 대응책으로써, 이용자들 스스로가 정보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돕고 교육하는 정보서비스로써 인포데믹에 맞서고 있다.
      이러한 팩트체크가 허위정보의 대응책으로서의 효과성, 팩트체크의 자동화 등에 대해서는 제법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누가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며 정보를 추구하고 공유하는지에 대해서는 이해가 여실히 부족하다. 또한, 팩트체크가 활성화 양상을 띠기 시작한 이후 약 4년의 세월 동안, 이러한 서비스 및 정보를 얼마나,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용자 관점에서의 관찰도 부족하였다. 오늘날의 팩트체크 관련 연구는 압도적으로 미국 문맥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국내의 경우는 더욱 그러할 것이다.
      오늘날의 팩트체크는 이용자의 수요에 따라 다루는 주제 영역이 넓어지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19바이러스에 관한 팩트체킹 수가 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은 정치 이슈를 기반으로 탐구되고 있었다. 보건 위기 상황에서 잘못된 정보는 위기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며, 개인의 건강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더욱 면밀하게 관찰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정치적 이슈 관련 연구에서 팩트체크 이용의 영향 요인으로 언급된 요인들이 건강 이슈 관련 팩트체크 이용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건강 이슈에 집중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바이러스에 관한 건강 이슈 팩트체크를 추구하고 공유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국내 정보 이용자의 개인적 요인에 대해 관찰하였다. 연구 진행은 세 가지 단계로 이루어졌다. 첫째, 이론적 접근으로 ‘팩트체크’, ‘허위정보’, ‘온라인 건강정보’의 이용자를 주제로 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건강 이슈 관련 팩트체크 정보 추구와 공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적 요인들을 일차적으로 파악하였다. 둘째, 실증적 접근으로 건강 이슈에 관한 내용으로 팩트체크 정보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국내 온라인 정보 이용자 4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내용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도출된 결론은 문헌 연구를 통해 구축한 내용을 보완하거나 발전시키는 데 활용하여 가설 수립 및 설문 문항 작성에 반영하였다. 셋째, 국내 정보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환경을 통해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이를 통해 확보한 총 304개의 데이터를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최종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코로나19 팩트체크 추구 및 공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한 개인적 요인(성격, 건강 신념, 건강 불안, 비판적 뉴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요인 중 신경증, 성실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직·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정치 이슈 관련 팩트체크 이용자 연구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건강 신념 변수(건강 관심,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개연성 등)가 팩트체크 이용의 영향 요인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그동안 허위정보 연구(염정윤 정세훈 2019; 이지형 2020)에서 허위정보의 공유 및 확산의 핵심 예측 요인으로 밝혀진 비판적 생비 리터러시가 본 연구에서는 허위정보와 대척점에 있는 정보라고 할 수 있는 팩트체크 정보의 추구와 공유에도 강한 인과관계를 맺는다는 점이 드러나, 오늘날의 탈진실 시대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이 중요하며, 차후 허위정보와 팩트체크 정보를 함께 고려하는 후속 연구에 대한 시도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대체로 저널리즘의 한 유형으로 여겨지던 팩트체크의 개념을 ‘정보’와 ‘정보서비스’로 확장함으로써, 팩트체크가 향후 더 광범위한 주제 영역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등 확장된 영역의 정보서비스로 성장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탈진실 시대 속에서 ‘사실’과 ‘진실’을 추구하려는 노력이 계속되는 데 있어 본 연구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1.3 연구 질문 5
      • 1.4 용어 정의 6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1.3 연구 질문 5
      • 1.4 용어 정의 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10
      • 2.1 팩트체크와 오늘날의 정보 환경 10
      • 2.1.1 사실과 탈진실 10
      • 2.1.2 팩트체크 14
      • 2.1.3 정보의 추구와 공유 22
      • 2.2 개인적 요인 25
      • 2.2.1 성격5요인(the Big Five factors in personality trait) 25
      • 2.2.2 건강 신념 29
      • 2.2.3 건강 불안 34
      • 2.2.4 리터러시 39
      • 제 3 장 연구 설계 46
      • 3.1 예비 연구 46
      • 3.1.1 예비 연구 설계 46
      • 3.1.2 예비 연구 결과 47
      • 3.2 연구 모형 55
      • 3.3 연구 질문 및 가설 56
      • 3.4 연구 대상자의 선정 63
      • 3.5 조사 도구의 구성 64
      • 3.5.1 독립변인의 설문지 구성 67
      • 3.5.2 종속변인의 설문지 구성 72
      • 3.6 데이터 수집 74
      • 3.7 조사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75
      • 3.8 데이터 분석 절차 76
      • 제 4 장 분석 결과 78
      • 4.1 표본의 특성 78
      • 4.1.1 설문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78
      • 4.1.2 데이터의 특성 80
      • 4.1.3 설문응답자의 팩트체크 정보 이용 경험 관련 특성 82
      • 4.1.4 설문응답자의 건강 관련 팩트체크 유용성 인식 특성 88
      • 4.2 측정변인 간 상관관계 검증 90
      • 4.3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93
      • 4.4 측정변인 간 영향관계 검증 94
      • 4.4.1 측정변인 간 직접효과 검증 94
      • 4.4.2 측정변인 간 간접효과 검증 98
      • 4.5 연구 가설 검증 106
      • 4.6 분석 결과의 요약 및 논의 112
      • 제 5 장 결론 119
      • 참고문헌 123
      • 부록 1. 설문지 152
      • ABSTRACT 1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